View : 780 Download: 0

하회 별신가면극 연구

Title
하회 별신가면극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mask play of Ha Hoe
Authors
元美映.
Issue Date
198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어학교육전공한국어교육분야
Keywords
하회가면가면형상별신가면극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As is generally known recently, many disputes and studies on folklore plays, especially mask plays, have been made for the proper inheritance and further development of them. And, as a result, considerable achievements have been obtained by concern and studies from various aspects or points of view. But it can hardly be said that the real contents and meanings behind words have been interpreted properly and precisely despite the facts that concern and studies have grown rapidly. Ha-hoe mask play, the oldest one among Korean plays, has not beer made public since two scripts made by Sangsoo-Choi and Hansang-Ryu were published in 1959. Its origin has not been definitely ascertained, but according to village people, it has been hand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for more than five centuries. Furthermore, this mask play has been highlighted after nine masks used during the performance of play were designated as national treasure 121 and have been in the custody of National Museum. As of today, general study has not been made even though specific studies on certain points have been done. To make matters worse, the performance of this play has been stopped since 1928, which eventually made it difficult to inherit the proper and precise performance of the play and it is very difficult to collect data or material on this play compared to other folklore plays. Therefore, it forces us to approach this play from a different way of study. In other words, we are forced to establish a lot of hypotheses which play special roles as span to bridge the past to the present. Ha-hoe, where the mask play originated, is located some 15 miles west of Andong, a town the upper reaches of the Nag-Dong river. For about 400 years from the time of So-Ae (Yu Song-Yong, a famous statesman in the reign of Sonzo, the 14th King of the Yi dynasty), several Yang-Ban (noble families made their living in this village. Therefore, we can find the conspicuous contrasts between the higher and lower class in this village, which draw us to interesting concern on the background of these two different classes and the combination struggles between two different cultures. This study will pay keen attention to these points. Ha-hoe mask play is characterized by several distinctive features. Firstly, satire should be mentioned. This satire is mainly made in the 4th scene, "the depraved monk" and the 5th scene, "An aristocrat and a Scholar". Sarcasm is on the behavior of the corrupt monk, formalism, foolish-centeredness and the superficial dignity of the aristocracy. These kinds of satire mean, in the long run, insults against the higher classes who were allowed to oppress the commoners without any real dignity and value in nature. It can be said insults through insinuated satire or innuendo were the commoner's last resort to express his oppressed complaints openly in such a society so closed to them. Therefore, it could be an entertainment of the lower class. Secondly, the shape of masks have their own unique characteristics, representing the nature of each mask's role. Thirdly, commoner's pathose should be pointed out. Above-mentioned satire is not only directed against the ruling class but also represents the hardship of the commoner's life. But commoner's hardship was not expressed through direct complaints or struggle against the ruling class but through insinuated innuendo, common dialogue or sympathy between the old man woman in the 6th scene. Therefore, the commoner's sorrow and sadness is curtained behind sympathy, which can be called pathos. Fourthly it was firmly believed masks used in Ha-hoe mask play are consecrated or spirited, different from other masks. Hence masks were carefully kept in the shrine, untouched or out of reach during the time when the masks were not used. This indicates very significant meaning. In other words, Ha-hoe mask play can be protected from the intended intervention or interruption by the higher class even though they are satirized or insulted during the performance of play. It is easily guessed that they were afraid of the spirit who they believed in old times governed man's fortune and misfortune. Lastly, from the first sight of the scenarios, it seems that there are rot related connections between each scene, which I think partly resulted from incomplete scenarios and partly from symbolic meanings. Therefore as mentioned in the introduction of the paragraph, various hypotheses were tried to cover obstacles, through which the organic relation between each scene can be found. This study mainly concentrates its focus on the above several distinctive features which explain the proper, and precise interpretation of Ha-hoe play.;민속극에 관해서는 한국 예술의 주체적 성격 가치를 구명하기 위한 각 계의 관심속에서 계승을 둘러싼 많은 논의를 비롯한 여러 측면에서의 연구가 집적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관심의 상승에 비해 일부 민속극의 경우는 그자체의 내용이 뜻하는 바를 정확히 이해하고 그 의미를 찾는 연구가 성실히 진행되었다고 보기 어렵다. 우리나라 가면극사에서 그 기원이 가장 오랜 것으로 알려진 하회별신 가면극은 최 상수, 유 한상 두 분의 채록본이 1959년 발표되고 난 후에 비로소 세상에 알려졌다. 또, 허도령이라는 전설의 인물이 제작한 9개의 가면이 국보 제121호로 지정되어 국립 박물관에 소장되면서부터 학계의 관심의 대상이 되었으며 몇몇 연구자들에 의해 단편적인 해석이 내려졌으나, 하회 별신 가면극 전반에 걸친 종합적인 연구는 아직까지 없었다. 본考는 다른 가면극의 기존연구와 방향을 달리하여, 가면극 자료의 해석을 중심과제로 한다. 하회별신가면극은 1928년을 마지막으로 중단되었으므로, 이 가면극의 전수가 불가능해지고, 연구 자료는 다른 가면극에 비해 빈약한 점이 많다, 또, 하회별신가면극이 행해진 하회동은 경상북도 안동읍에서 西로 약 60리 남짓한 낙동강이 8字로 굽이도는 상류지대로서 李祖 선조때 名臣 西崖 柳 成龍이 거주한 마을로 약 400년간 이어져 내려오는 유씨의 동족부락이다. 도시가면극이라 알려진 다른 가면극은 풍부한 대사와 그 상업적 성격, 그리고 자료 수집이 비교적 완벽하게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상대적으로 쉽게 연구되어질 수 있으나, 그 모체라 알려진 하회별신가면극은 그렇지 못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굳이 하회별신 가면극에 관심을 갖는 이유는 도시가면극의 모체로 알려진 농촌가면극의 진지한 연구없이는 도시 가면극에의 올바른 접근은 어렵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또, 하회동은 소위 양반계층의 동족부락인데도 불구하고, 그들을 풍자하는 하회별신 가면극이 행해졌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하회 가면의 형상과 그 의미를 살피고, 각 과장별 내용 검토하여 각 과장이 담고있는 상징적인 내용을 해석하고자 한다. 하회별신 가면극이 행해진 하회동은 현재 국가에서 보존지역으로 규정한 다섯개 마을 중의 하나로 이조 500년의 역사와 풍물을 아직까지 비교적 많이 보존해 온 풍산 유씨의 동족부락이다. 이 곳에 양반들의 아흔 아홉 칸 집이 있는가 하면 상민들의 다 찌그러진 오막살이가 있다는 것은 지배계층과 피지배계층의 차이를 확연히 말해주는 점이다. 따라서, 하회별신가면극의 내용은 크게 두가지로 나뉘는데 지배계층에 대한 비리, 횡포 등을 풍자한 것과 피지배계층의 생과 애환을 그린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하회가면의 형상과 그 의미를 살핌으로써 알 수 있고, 각 과장별 내용을 검토함에 있어서도 더욱 분명해지는 사실이다. 하회가면은 가장 原態的인 가면극에 쓰여진 것이지만, 신성가면의 성격을 지니며, 한국인의 생활감정을 매우 심원하게 표현하고 있다. 그리고, 가면 중에는 '切顎'으로 턱을 따로 달아 움직이게 되어 있는 것들이 있다. 턱이 움직이지 않는 가면은 할미, 각시, 초랭이, 이매, 부네 등이고, 턱이 움직이는 가면은 양반, 선비, 중, 백정, 주지 등이다. 하회별신가면극에 극적갈등이 가면에도 반영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즉, 지배계층인 중, 선비, 양반과 그들의 사주를 받는 하수인 격인 백정, 그리고 모든 것을 정화하는 큰 힘을 갖고 있는 주지 가면은 턱을 따로 달아 움직이게 했는데 이들은 극에서의 역할이 강력한 힘의 소유자들이다. 또한 피지배계층인 할미, 각시, 초랭이, 이매, 부네 등의 가면은 턱을 따로 달지않아 움직이지 않는데 이들은 하나같이 극중역할이 힘없는 자들이다. 이에서 턱을 움직이게 한 것은 강대한 힘의 소유자인 그들이 하고자 하는 일과 말들을 마음대로 할 수 있었음을 나타내고 턱이 움직이지 않는 것은 그들에 억압, 횡포, 부조리 등에 대해 항거할 수 있는 수단을 봉쇄당하고 침묵할 수 밖에 없었다는 것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가면 제작은 극을 진행함에 있어서 선명한 부각을 위한 의도적 창안이었음을 알 수 있으며, 선조들의 슬기를 엿볼 수 있다. 각 과장의 내용을 검토해보면, 각 과장은 일반적으로 평가되고 있는 별개의 독립적 과장이 아니라 유기적 관계에 있음을 볼 수 있다. 또, 제의적인 부분과 연희적인 부분을 겸하고 있는 것은 피지배계층이 지배계층의 동의없이, 또는 경제적인 뒷받침이 없이 가면극을 행하기 어려워 지배계층을 끌어들이기 위함이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하회별신가면극은 각 과장이 일관성있는 스토리를 극화시키며 현실을 다양하게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미약하기는 하지만 연극으로서의 형식을 갖추고 있음을 볼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