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金美辰.-
dc.creator金美辰.-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55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55Z-
dc.date.issued1982-
dc.identifier.otherOAK-00000003521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50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521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한글 헤드라인용의 종류가 극히 빈약하고, 이런 실정인데도 사회 일반에서는 한글에 대한 관심을 별로 갖고 있지 않다는데 대해 한 나라 문자가 그 나라 문화를 나타내 주는 척도라는 문화적 관점에서 문제점이 있다고 생각하고, 앞으로의 한글 헤드라인용의 다양한 개발을 위한 방향모색을 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Ⅱ장에서는 과거부터 우리나라를 지배 해 왔던 문화적 측면을 한자문화시대, 일본문화시대, 서구문화시대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타문화의 지배 하에서의 한글에 대한 관심의 정도는 어떻게 이어져 왔으며 어떠한 의식을 형성하고 있었는가 하는 것을 실제 이론들을 등장시켜 가면서 알아보았고 Ⅲ장에서는 한글세대와 알파벳문화시대의 환경에 있어서 Ⅱ장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의식의 흐름은 우리 문화의 주체성 확립이라는 오늘에 있어서 그대로 지속되어서는 안 되겠다는 것과, 매스 미디어·매스 커뮤니케이션시대에 있어서의 한글의 문제 즉 출판문화가 급증되는 현 시점에서 나타나는 한글 기계화 쪽에서의 문제점, 네모꼴 안에 들어가는 모아쓰기의 문제점 등을 알아보고, 또 한글 꼴의 위치와 수준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 가를 알아본다. Ⅳ장에서는 이러한 한글의 조형적 연구를 가로막고 있는 요소는 무엇인가를 검토해 보고 바람직한 한글의 조형적 연구는 어떻게 되어져야 하는가 하는 방향모색과 아울러 실제 시작품들을 제시해봄으로써 앞으로 한글 헤드라인용 개발에 대한 시도를 해 보았고 Ⅴ장에서는 앞에서 제기되었던 문제점들을 연구해 오는 과정에서 본 논문이 설정한 몇 가지의 방향을 제시했다. 첫째, 매스 커뮤니케이션시대에 있어서 원활한 매스 미디어의 기능, 문화의 주체성을 확립하기 위하여 한글 꼴의 조형적 연구는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매스 미디어의 기능을 위해서 본문용보다는 헤드라인용에 대한 개발이 먼저 시급하다. 셋째, 지금까지 고장관념으로 전해 내려온 네모꼴 방식에서 벗어나서 하나의 조형적 요소의 연구라는 개념을 가지고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져야 하며 이러한 형태는 영자(英字)와 같이 쓰이는 상황에서도 잘 조화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넷째, 한글 기계화와 인스턴트 레터링의 보급을 위해서 자음과 받침은 동일하게 디자인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섯째, 앞으로의 본격적인 영자(英字)와의 병용을 위해서 영자에서 나타나는 조형감각을 바탕으로 한글문자와 디자인이 된다면 다양한 한글의 헤드라인용이 개발될 것으로 믿는다.(여기서 주의할 것은 영문감각에 우리를 강제로 맞추는 것이 아니라 그와 어울리는 독자적 문자를 삼는다면…) 여섯째, 문자는 그 나라 문화를 나타내 주는 척도가 되므로, 시각디자이너들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들 또한 한글의 헤드라인용 개발에 대한 의식이 각성되어져야만 한다. 이상과 같은 여섯 가지의 방향이 헤드라인을 위한 한글 문자 체 연구의 바람직한 방향모색이라고 여겨졌으며, 가독성, 가시성에 대한 단점을 최소한으로 줄여서 해 본 본인의 시작품들이 앞으로 많이 이용이 되었으면 좋겠고, 또한 더욱 깊은 연구가 뒤따라야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The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set a direction into which diverse letter forms for headline of Hanguel can be developed in the future with a thought that there still remains a problem, from the cultural viewpoint that a letter of a country is a scale of its culture, because the people in the society seldom are interested in Hanguel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 kind of letter forms of Hanguel for Headline is extemely rare as it is. The cultural viewpoint that has ruled over our country since the past can be divided into three parts such as Chinese character culture age, Japanese culture age, and western culture age in Chapter Ⅱ, and considerations for how the degree of concern of our nation has been built under the rule of other culture and what consciousness was been making are researched by instances of practical theory in order to achieve such objective. In Chapter Ⅲ, some issues are dealt with such as the fact that the stream of consciousness researched in Chapter Ⅱ should be accomplished, what the problem of Hanguel in the age of mass media and mass communication is, and on what level the position of Hanguel can be standed under the circumstances of Hanguel generation and alphabet culture age. In Chapter Ⅳ, it is reviewed that what the element that prevents from such moulding study on Hanguel is, and some development of letter form for headline of Hanguel has been attempted by suggesting some practical trial products along with setting a direction into which how the desirable moulding study on Hanguel should be made, and the suggestion of some directions which were set up in the course of studying the problems brought up previously is offered in Chapter V. First, a moulding study on Hanguel form must be made in order to settle the vital function of mass media and the subjectivity of culture in the mass communication age. Second, development of letter form for headline rather than for body is needed first for the function of mass media. (Because we are already accustomed to the present letter, and it will take a long time to acclimate ourselves to the letter form for body. But it was considered that the letter form for headline should be applied in advance since it has the very functional effect.) Third, diverse forms with concept of study of a moulding element must be developed breaking from the tetragon form that came down as fixed idea up to date, and such form will accord well with the condition under which the alphabet is used together. Fourth, it is desirable that the consonants and the under consonants should be designed equally for the extension of the mechanization of Hanguel and the instant lettering. Fifth, it is believed that more kinds of diverse letter forms for headline of Hanguel will be developed when Hanguel letters are designed based on the moulding sense that appears in the alphabet for the parallelism with the alphabet forward. Sixth, since a letter of a country is a scale of its culture, the consciousness for development of letter form for headline of Hanguel must be come to the senses of the general people as well as of the visual designers.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ix directions mentioned above are regarded as the desirable directions related to the setting of moulding direction of Hanguel letter forms. Subsequently I could come to a conclusion that deeper study must follow on in the futu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방법 및 범위 = 3 Ⅱ. 한글의 문화적 환경의 변천 = 5 A. 한자문화시대 - 한자조형감각의 지배시대 - = 5 1. 훈민정음의 창제 당시의 상황을 통해 본 한자문화의 지배 = 7 2. 한글 발전의 역사를 통해 본 한자문화의 지배 = 11 B. 일본문화시대 - 한자와 일본자의 조형감각의 지배시대 - = 13 C. 서구문화시대 - 알파?賈?? 한자의 혼용시대 한글과 영문의 새로운 시대 - = 18 Ⅲ. 한글의 현황과 문제점 = 32 A. 한글세대와 알파?賈???시대에서의 환경 = 32 B. 매스 미디어·매스 커뮤니케이션 시대에 있어서의 한글의 문제 = 36 C. 한글 기계화 시대에 접한 한글꼴의 문제 = 42 Ⅳ. 한글꼴의 문제점의 해결방안 = 44 - 작품사진 및 그 방법 설명 = 47 Ⅴ. 결론 = 57 참고문헌 = 59 ABSTRACT = 6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7429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한글꼴-
dc.subject한글세대-
dc.subject매스미디어-
dc.title헤드라인을 위한 한글문자체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setting a moulding direction of letter form of hanguel-
dc.format.pageviii, 66 p. : 삽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생활미술학과-
dc.date.awarded198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