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4 Download: 0

彩色畵의 追求

Title
彩色畵의 追求
Other Titles
(The) Research of colored painting
Authors
孫京美.
Issue Date
1981
Department/Major
대학원 순수미술과
Keywords
채색화추구순수미술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oday we are drawing an oriental painting within the considerably westernized culture; however, we have a fixed idea that an oriental painting is an absolutely traditional work expressing purified abstraction. It requires us to impose carefulness on 'expression', the most fundamental desire in art. Therefore, to search for one's own root, an approach to one's own work by systematic and academic analysis might be useful for a student majoring in oriental painting, as it can improve one's more effective and more esthetic composing ability and would be of great help for establishing distinct direction.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report was derived from books concerned, and the analyses were performed within my works. With classification of my works in chronological order, I tried to re-recognize the factors - lines, colors, composition on canvas, and concept of modern oriental painting - which consist of principal motives. Finally I attempt to combine all these factors in my works. We live in the world in which various values exist, so artists strive to express their emotion by means of their works. However, I agree with the viewpoint that development of art is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 subjective factors toward the objective values. Therefore I made an attempt to produce and analyze my works by reflecting the factors of composition of a traditional oriental painting. A modern oriental painting should sufficiently contain the factors of a traditional oriental painting even though its subject is that of our age, and also express purified emotion rather than powerful impression, I think. That is fit for my characteristic and objective senstivity of our times, and I would like to attempt such a way of expression in my works in the future.;오늘날 우리는 西歐 指向的인 예술 문화 속에서 東洋畵를 창작하고 있다. 그러면서도 동양화란 지극히 전통적인 것이고 그 精製된 抽象性의 표현이라는 것으로 관념화 되어 있다. 그러므로 그것은 우리에게 표현이라는 예술의 가장 근본적인 욕구에 어떤 조심스로움을 附加시키고 있다고 생각된다. 여기서 자신의 줄기를 찾아내기 위하여 자기 작품의 학구적이고도 체계적인 분석의 접근방법은 보다 효과적이고도 美的인 구성능력을 개발시켜주며, 또한 오늘날 동양화를 창작하는 우리에게 확고한 전개 방향을 설정해 주는 데에 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本考의 이론적 배경은 문헌을 중심으로 연구했으며 나의 작품을 통해서만 이를 분석해 보았다. 작품을 時期的으로 구분지어서 그 動機가 되었던 문제들 즉 線, 色彩, 화면구성, 현대 동양화의 개념 등에 대한 再認識을 해보았으며, 마지막으로는 그들 요소들을 함께 담아 보려 시도해 보았다. 우리가 워낙 가치관이 다양한 속에 있어서인지 작가들이 저마다 작품을 통해 자신을 호소하고 있는 듯하다. 그러나 나는 예술 발전이라는 것은 객관적 요소에 의한 주관적 요소 극복의 과정이라는 관점을 받아들였으며, 고로 지극히 전통적인 회화의 構成要因에 접근하여 작품을 제작 분석했다. 전통적인 회화의 形成要因들이 풍부히 담겨져 있고 그 素材가 우리 시대의 것이면서도 강한 호소력 보다는 純化된 정서를 전달할 수 있는 것이 가장 나의 개성에 밀착되어지면서도 객관적 시대적 感受性에도 어우러지는 현대 동양화라고 나름대로 이끌어 내었으며, 앞으로도 좀 더 그 방법의 표현을 指向해 보고저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