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7 Download: 0

훈민정음 창제당시 한글 문자꼴의 연구

Title
훈민정음 창제당시 한글 문자꼴의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a direction of the typography of han geul
Authors
金眞雅.
Issue Date
1982
Department/Major
대학원 생활미술학과
Keywords
훈민정음한글문자꼴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based on the way of the study of Hangeul at the formative artistic viewpoint and on the selections of a suitable philosophical and cultural meaning and also on the direction in which this study should be, because of the point at issue which is due to the fact that today's culture Hangeul loses its autonomy at the formative artistic viewpoint under Chinese culture and that it is reduced to the form changed by the calligraphic style. Thus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point of the formative artistic autonomy of Hangeul and on the assumption that the lettering forms of Hangeul of those days include its modern feelings rather more than those of these days and that Hangeul can include its philosophical and cultural circumstances and its directions to develop in if we describe its feelings as those of King Sejong's years'. The assumption like this is supported by Chapter Ⅱ which is saying that letter is not only a tool for communications but a representation of its cultural circumstances in another respects of the formative arts. To use a metaphor for this case, we assum that we are preparing a dish for the nutrition intake of him, then we should make an effort for a good one to stimulate his appetite of him in order to help him take in the nutrition effetively. Thus Chapter Ⅱ insists on its assumption logically by saying that the letterings should be studied with the fact that letter is not only the physical systems for massages but those which decrease one's eye strain in reading due to the valuable forms of the letterings and to the gladness in reading. To give shape to this study, in Chapter Ⅲ, Ⅰ have examined the formative artistic mental heritage of us and the auto-nomy in those days of King Sejong's Hangeul creation and the process of its changes from those days to these days, from Yong-bi-eo-cheon-ka (1445. Sejong 27) Ban-ya-shim-kyong-eon hae (1464. Sejo 10) Du-Si-eon-hae (1480. Seongjong 12) Hun-mong-ja-hwe (1527. Jungjong 22) Song-kang-ka-sa (1680. Sookjong 16) Ko-San-ka-sa (1798. Jeongjo 22) and then tried to find out the directions of letterings developments and the ways of its studies. In Chapter Ⅳ - A Desirable way to go for Hangeul - I have tried to make new feelings of Hangeul by wood printings and by adapting the autonomies of artistic spirits in King Sejong's and King Sejo's years for those of today's for one's easyreading by modifying the method of intergrated-written form to that of spread-written form for its rhythmical description and also tried to take the method of the new descriptions of and then to consolidate the formation for the method of spread-writings. In Chapter Ⅴ - Summary - a desirable direction in which Hangeul must go with all discussions through the whole contents of this Paper, That is to say, the autonomy of the artistic spirit in King Sejong's years must develops progressively more and more and the spirit like this should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event for a development of the letter mechanizations and of the information systems of Hangeul and also of our nation and for the construction of our subjecthood against the neighboring culture. And I have found out the fact that letter which has not been considered as such an important thing has such a great factor and thus I hope this paper can be helpful for many graphic designers, particularly those who are studying the letterings to have a view point that letter has not only a property of the simple symbolic system but also has another important functional properties.;본 연구는 한글이 훈민정음 창제당시에 갖었던 조형적 주체의식이 시대를 거듭하면서 오늘날의 문자체가 한글문화의 조형의식을 잃고 중국문화의 지배를 받아 서체에 의해 변화된 문자체로 전락하였다는 사실에 대하여 문제점이 있다고 생각되어 우리 한글의 문자꼴이 어떻게 연구되어야 하며, 한글의 앞으로의 방향은 무엇이고, 그 방향이 지니고 있는 철학적 의미와 문화적 배경을 어디에 둘 것인가를 확립하려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글의 창제당시의 조형의식에 그 초점을 두었으며, 창제당시의 문자꼴이 오히려 현대적 이미지를 다분히 지니고 있다는 발견과 그 당시의 감각을 그대로 정리할 경우 현대적인 문자의 방향과, 철학적 문화적 배경을 충분히 나타낼 수 있지 않겠는가? 란 가설에 그 초점을 두었다. 이 같은 가설의 타당성을 위하여 Ⅱ장의 문자의 이론적 배경에서 문자는 메시지만을 전달하기 위한 단순한 기호체계가 아니라 문자의 꼴이 지니고 있는 조형감각은 그 문자가 처해 있는 문화적 상징이라고 볼 수 있다. 마치 우리가 영양을 섭취하기 위하여 음식을 미각적으로 다듬고 요리하여, 먹는것에 대한 흥미를 일으키고 먹고싶은 충동을 자극시킴으로써 영양을 효과적으로 섭취하게 하는 것과 같다. 따라서 문자는 메시지의 물리적인 기호체계일 뿐만 아니라, 조형적 가치는 물론 문자꼴에 대한 시각적 즐거움을 통하여 읽고 싶은 흥미를 일으킴과 동시에 문자를 읽는데서 오는 시각적 피로를 감소시키며 문화적 상징을 통한 의식의 일체화를 갖춘 체계라는 의미에서 문자가 연구되어야 한다는 것을 Ⅱ장에서 논함으로써 가설의 당위성을 논리화하였다. Ⅲ장의 한글 연구에서는 이를 구체화하기 위하여 훈민정음 창제당시 세종27년(1445)간행된 「용비어천가」부터 세조10년(1464)간행된 「반야심경언해」성종12년(1480)의 「두시언해」 중종22년(1527)의 「훈몽자회」 숙종16년(1680)에 간행된 「송강가사」 정조22년(1798)에 간행된 「고산가사」를 역사적으로 조형의식을 검토하면서, 한글 창제당시 가지고 있었던 조형적 주체의식은 무엇이며, 어떻게 변천되어 오늘에 이르렀는가를 살펴봄으로써 앞으로의 우리 문화방향은 무엇이고, 어떻게 연구되어야 하는가를 찾아보았다. Ⅳ장의 바람직한 한글의 나아갈 길에서는 세종, 세조, 성종시대에 훈민정음이 가지고 있었던 주체적 조형의도를 오늘에 되살려, 목판화에 의한 새로운 감각을 시도했으며 한극의 사각형에 모아쓰기에 의한 구조적 단점을 시정하여 문자에 리듬감을 주어 가독성을 높일 수 있도록 개발하였고, 복합 종성의 풀어쓰기를 시도하여 우리문자가 궁극적으로 풀어쓰기를 하기 위한 밑거름이 되도록 했다. Ⅴ장의 결론에서는 본 연구의 전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한글의 바람직한 방향에 결론을 맺는다. 즉, 세종당시의 조형적 주체의도는 앞으로도 계속 살려 나가야 하며, 이러한 조형적 주체성은 한글의 기계화, 정보화를 위하여, 그리고 국가발전을 위하여 주변문화에 대하여 민족의 주체성을 확립하기 위하여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본다. 그리고 이러한 커다란 목표들에 대하여 평소에 그다지 중요시 여기지 않고 있던 문자가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된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으며 많은 그래픽 디자이너, 그 중에서 문자를 연구하는 사람들에게 본 연구가, 문자는 단순한 기호 이상의 커다란 역할을 하는 대상이라는 관점을 갖게 해주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