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09 Download: 0

自動主義的 發想에 의한 形態表現 硏究

Title
自動主義的 發想에 의한 形態表現 硏究
Other Titles
From of expression by automatic idea
Authors
강혜원.
Issue Date
1982
Department/Major
대학원 회화학과
Keywords
자동주의발상형태표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Regardless of time, artist belongs to his period and affects the view of the nature or the society, and in turn, he is affected by them. Today's modern civilization has made man loose from his instinct and has created boundaries between instinct and mind as well as between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Accordingly, artists directed their attentions from the outside world to human inwardness, the idea of which developed further and was able to fully assert itself. At the end of nineteenth century, symbolism emphasized expression of the spiritual world while expressionism and abstract paintings of W. Kandinsky further developed the spiritual. In particular, Paul Klee brought out images from the psychic realm, completely relying on the evocative power of the pictorial elements without any intension. In other words, this can be interpreted as unconsciousness phsychology. The concept of unconsciousness was first developed by Freud which affected arts and artists of the twentieth century. On the other hand, surrealists expressed the neglected area of life such as dreams and unconsciousness by directly revealing the expression of the unconscious mind through applying the technique of automatism in their paintings. In this thesis, I attempt to reveal the unconscious inner matter by expressing froms by automatism and thus, give a deep meaning to the process of my work. I begin my picture without any intentional objects or contents by merely moving my hands. I repeat this process until changes begin to appear on my canvas, so that finally, forms appear through the intervention of reason and chance. From these froms appear vitality, further heightening the transcendal and imaginative mood owing to the blue color in the painting. For the foundation of theorical basis, I have made a careful study of Miro who expressed the organized forms by automatism, Klee who expressed images through pure harmony of the pictorial elements, and the abstract expressionistic paintings of Gorky. Finally, through the analysis of my own work, looking for possible expressive techniques and the formative pursuit, I intend to establish view for the arts.;예술가는 어느 시대를 막론하고 그 시대에 속하고 있으며 그 사회의 자연관이나 사회관에 서로 영향을 주고 받고 있다. 오늘날 인간이 이룩해 놓은 현대문명은 인간을 본능으로 부터 탈피시켜 이성과 본능, 의식과 무의식 사이에 벽을 만들어 놓았다. 따라서 미술가는 외부 세계에서 내적세계로 눈을 돌렸으며 이러한 생각은 더욱 발전되어 내적세계를 추구할 수 있게 되었다. 마침내 19C말경 상징주의는 정신세계에 대한 표현을 강조하고, 표현주의, Kandinsky의 추상회화에서 정신주의를 더욱 발전시켰다. 특히 Klee는 어떤 목적을 갖지 않고 조형적인 요소가 불러 일으키는 힘에 철저히 의존하면서 정신적 영역에서 영상을 떠올렸다. 이것은 심리학적 해석으로 무의식이라 할 수 있다. 무의식의 개념은 Freud에 의하여 처음으로 심리학의 대상으로 다루어졌으며, 20C예술과 예술가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다. 한편으로 Surrealist들은 꿈과 무의식같은 지금까지 무시되어 온 삶의 영역을 표현하였고, 자동기술의 방법을 회화에 적용시켜 무의식의 직접적인 경험을 드러내 주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서 자동주의적 발상에 의한 형태를 표현함으로써 무의식적 내면의 실체를 드러내려고 시도하였으며, 작품제작 과정 자체에도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였다. 의도적인 대상이나 내용없이 단순한 손놀림으로 작품을 시작하였으며 반복되는 이러한 과정을 거쳐 변화가 이루어지고 마침내 이성과 우연의 중복된 개입으로 형태를 드러냈다. 이러한 형태는 생명력이 있는 형태이며 아울러 푸른색의 사용으로 초감각적이고 환상적인 분위기를 더욱더 느끼게 하여 준다. 이론적으로는 자동기술법을 구사하여 유기적 형태를 표현한 Miro′의 작품과 조형적 요소의 순수한 조화를 통해 이미지를 표현한 Klee의 작품과 Gorky의 추상표현주의 회화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이론적 기반을 두었으며 한편으로는 그들의 작품이 본작품 제작에 미친 영향과 각 작품제작의 진행과정을 서술하여 무의식적 자동주의적 발상이 형태의 표현으로 구체화되는 과정을 밝히고 있으며, 화면상의 조형적 요소의 탐구와 표현기법을 살피면서 본인의 회화적 가치관을 성립시키고자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