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8 Download: 0

自然의 生動的 이미지의 전개

Title
自然의 生動的 이미지의 전개
Other Titles
(The) Pursuit of vital image of nature
Authors
文竹林.
Issue Date
1982
Department/Major
대학원 생활미술학과
Keywords
자연생활이미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An artist had made intuitive experiences with the formative arts and been interested in the image rather than the external analysis of an object. Therefore the intuitive experience of an object which the artist has met his internal consciousness which means the restoration to the essence of nature. In oriental, combining Oriental Gi of all the nature with his own Oriental Gi, pouring cosmic Oriental Gi into his body, the artist was considered to express the moments at which the inspiration occurs. So the approach to essential vitality is mental thing which most of artist pursues. Understanding this intuitive experience toward essential vitality as cosmic order which internalized object of nature, and to prescribe the value of its aesthetic expression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For this aim, the author is to probe one part of tree, the object of nature, to the bottom microscopically, to drive the universal symbol of nature as the vital image in it, and to intend to express fundamental vitality of nature are expressible of Oriental Gi, and the theories about existence alternation of energy and material which the modern physics achieved supports the universal validity of Oriental Gi. Therefore, the object of the study, tree, is meaningless as a visual form. Transcending the internalized time and space, only the flowing substance, formalization of vitality, is valuable. And not supposing to express one visual object, so called image itself characteristic of universality of tree is not mattered and so its color and form is also expressed by subjective aesthetic experience of myself which is achieved on the ground of natural circumstances or general experiences. The result obtained through the works in which the vital image is formalized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art begins in understanding all aspect of nature. By discovery of the vitality with universal characteristic of nature which is formed by philosophical and scientific understanding about the object, the intuitive aesthetic experience can be developed as vital image which has more positive dynamics and macrescopic world. Second, the expression by the batik is. dynamic and can express various atmosphere of canvas owing to its material features, and the technics of scattering, defending, and overlapping were very effective in expressing of fluidity and spaceforming. Third, it is possble to get an aesthetic experience when the image is expressed by batik. That is, I can experience the object with aesthetic value. However, its the porcess of the practical production, the sensitive and irregular characteristics of dye stuffs and fibers, are counterparted against visual image, because the dye stuffs and fibers vary according to the extend and effect of mixture. Therefore, this sensitive and variable characteristic shows difference as to its choice and usage in the effect, and owing to it, the unique occasional effect which only the batik has been latented. So the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 of batik is empirical but if we preceed to make an experiment and observe with more scientific promptness. the various atmosphere of canvas which is characteristic of batik is considered to be developed more broadly.;예술가는 직관적인 체험을 조형 예술로 이루어 왔으며, 대상에 대한 外的인 분석보다도 그 心象에 관심을 기울였다. 그러므로 예술가가 대하는 대상에 대한 직관적인 체험은 자신의 내면의식과 만나는 것이며, 그것은 곧 자연의 본질로 환원하는 것이다. 동양에서는, 예술가는 자연 만물의 靈氣를 자기의 氣와 조화시켜 우주의 靈氣를 자신의 몸속에 불어넣어 영감이 일어나는 순간 표현하게 된다고 생각했다. 그러므로 본질적인 生命力의 접근은 대부분의 예술가가 추구하는 정신적인 것이다. 이러한 본질적인 생명력에의 직관적인 체험을 자연 대상에 내재한 우주적 질서로 파악하고 그것의 美的表現의 가치를 규명하려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자연 대상인 나무의 한 부분을 微視的으로 관찰하며, 그 속에서 자연의 생동적 이미지를 이끌어내어 자연의 근원적 生命力을 변화있는 운동의 흐름으로 나타내려 했다. 이러한 자연의 우주적 생명력은 '氣'로서 표현이 가능하며, 현대 물리학이 이룬 에너지와 물질과의 존재 교체에 관한 이론들은 '氣'의 타당성을 뒷받침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대상인 나무란 눈에 보이는 형태로서는 의미가 없다. 그안에 내재된 時空을 초원하여 流動하는 실재인 生命力의 形象化만이 가치가 있는 것이다. 또한 눈에 보이는 하나의 대상으로써의 나무, 그 자체의 이미지를 표현하려한 것이 아니므로 나무의 특수한 성격이나 보편성을 문제삼지 않았고, 색채나 형태에 있어서도 자연 환경이나 전통적인 경험의 바탕에서 이루어진 본 연구자의 주관적인 미적 체험에 의하여 형성했다. 이와같이 자연의 생명적 이미지를 形象化한 작품 제작을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술은 자연의 모든 면을 이해하면서 시작된다. 따라서 대상에 대한 철학적이고 과학적인 이해로 이루어진 자연의 보편적 특성으로써 생명력의 발견에 의해, 직관적인 미적 체험은 좀더 적극적인 역동성과 巨視的 세계를 지닌 시각적 이미지로 전개 될 수 있었다. 둘째, 염색에 의한 표현은 그 재료적인 특성으로 해서 力動的이며 다양한 분위기를 표출할 수 있었고, 파라핀을 이용하여 뿌리고 막으며 겹쳐가는 효과는 자연 대상에 나타나는 구체적인 재질감과 유동성, 공간성 형성에 매우 효과적이었다. 셋째, 염색을 통해 역동적 형식으로 형상화될 때 그 실재와 만나는 美的體驗을 얻게 되었다. 그러나 작품제작에 있어 문제점도 발견되었다. 따라서 염색의 문제점과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면 다음과 같다. 1. 염료와 섬유의 매우 예민하고 불규칙적인 특성은 시각적 이미지와 대립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특성은 매우 독특한 우연적 효과를 잠재하고 있으므로 연구적인 자세로 장기적인 경험을 쌓아 간다면, 염색의 독특한 분위기는 한층 폭넓은 표현 기법의 개발로 다양한 가능성이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 2. 美的 감동을 이루려했던 작품 제작 과정을 통해 얻은 조형의식을 바탕으로 생활 공예의 차원으로 까지 발전해나갈 수있도록 연구해 나가려 한다. 3. 작품 속에서 이루려던 전통적인 감각과 감동의 좀 더 철저한 분석을 통해 현대적 감각과 잘 조화시키므로써 미래를 이끌어 갈 수 있는 형태나 색체의 구성을 이루는 작품 연구에 주력하고자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