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6 Download: 0

兒童의 數세기와 數보존의 發達에 관한 硏究

Title
兒童의 數세기와 數보존의 發達에 관한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unting and number conservation in children
Authors
文英珠.
Issue Date
198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심리학과
Keywords
수학교육아동교육아동발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本 硏究의 目的은 兒童의 數 機能의 하나로서 數세기의 發達과 數 知識의 하나로서 數保存의 發達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었다. 被驗者는 서울에 있는 幼兒園, 幼稚園, 어린이 집에 다니는 3, 4, 5, 6세의 아동 128명으로서 그들의 社會·經濟的 居住地域에 따라 그 階層이 中上集團과 下集團으로 分類되었다. 本 硏究에서는 數세기 과제에 Piaget의 數保存 과제 그리고 Gelman의 Magic Task를 實驗課題로 사용하였으며 모든 被驗者에게 個別的으로 이 세 가지 과제를 전부 實施하였다. 數세기 과제에서 사용된 集合크기는 2, 3, 4, 5, 7, 9, 11, 13으로 이 과제를 통해서 각 年令別 아동의 전반적인 數세기의 發達程度와 階層, 年令, 集合크기에 따른 數세기의 發達에 대해 알아보려 하였다. 本 硏究에서 다루고자 했던 數保存課題는 Gelman의 Magic Task였으며 그 결과와 비교하기 위해 Piaget의 數保存 과제도 實施하였다. 따라서 本 硏究에서는 Magic Task에서의 옳은 反應을 保存의 준거로 삼았으며, 保存을 보인 者의 階層別·年令別 차이를 알아보고 保存形成과 年令과의 관계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數세기와 數保存의 發達에 대한 결과를 가지 保存者와 非保存者의 數세기 發達程度를 알아보려 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各 年令別로 정확한 數세기의 發達程度를 보면 3세 아동의 약 50%는 집합크기 4까지 정확히 세며, 4세아동의 약 50%는 집합크기 7까지 정확히 세고, 5세 아동의 약 50%는 집합크기 11가지 정확하게 세고, 6세 아동은 약 80%가 집합크기 13까지 정확하게 數세기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事物의 집합크기가 2와 3인 경우에는 數세기 正確性에 年令別 차이가 없었지만 집합크기 4이상부터는 年令이 增加할수록 정확한 數세기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아직 모든 年令에서 數세기 正確性은 집합크기가 커질수록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3. Piaget 과제와 Magic Task의 두 保存課題 모두에서 年令이 증가할수록 保存反應이 增加하였다. Piaget 과제에서 非保存을 보이던 아동이 Magic Task에서는 保存을 보인 變化가 意義있게 나타나 Piaget 과제의 문제점을 고려한 Magic Task의 效果가 검증되었다. 4. 數세기에서 階層間의 차이는 집합크기 9이상에 대해 4세에서 나타났고 數保存에서 階層間의 차이 역시 4세에서 나타났다. 5. 保存을 보인 아동이 保存을 보이지 않은 아동보다 전반적으로 數세기를 더 잘하고 있으며, 保存을 보이지 않은 아동도 數세기는 이미 잘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아동들이 數保存을 이해하기 전에 정확하게 數세기를 한다는 견해를 지지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ildren's development of counting as a number skill and the development of number conservation as a kind of number knowledge. The sample consisted of 128 3-, 4-, 5-, and 6-year-old children from nursery schools,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Seoul.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upper middle class and low class according to the socioeconomic area. Each subject was presented individually with the counting task, the Piaget's number conservation task, and the Gelman's magic task. The set sizes used in the counting task were 2,3,4,5,7,9,11, and 13. The concern was to study, through this task, children's overall counting development and its difference in each class, age, and set size. The number conservation task used in this study was the Gelman's magic task and in order to have a comparison, the Piaget's number conservation task was also administered. Thus, the criteria for number conservation task were provided by the correct responses in the magic task. The differences in each class and age among those who show conservation were analysed, and the association between conservation formation and age was analysed. With the results from the counting task and the number conservation task, the development of counting of conservers and non-conservers was studi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development of accurate counting at each ag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50% of 3-year-olds accurately counted up to set size 4; 50% of 4-year-olds accurately counted up to set size 7; 50% of 5-year-olds accurately counted up to set size 11; 80% of 6-year-olds accurately counted up to set size 13. 2. There was no age difference in cases of the set size of 2 and 3. From the set size 4, the counting accuracy increased with the age. However, at all ages the counting accuracy depended on the set size. 3. The conservation response increased with the age in the Piaget is task and in the magic task. Many of those who did not show conservation in the Piaget's task showed conservation in the magic task, and this difference was significant. This result shows the effect of magic task which took into consideration the problems faced in the Piaget's task. 4. There was significant class difference in 4-year-olds' counting performance for set sizes larger than 9. There also was significant class difference in 4-year-olds' conservation formation. 5. In General, the conservers did the counting task better than non-conservers, but many of the non-conservers also showed good counting ability. Thus this result supports the view that children show accuate counting performance before they understand number conserv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