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현미-
dc.creator김현미-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5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5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73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40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736-
dc.description.abstractIn this thesis, the gender difference in self-construal typ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s has been studied.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show whether the relational-interdependent self-construal, independent self-construal, self-estee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re different across sexual groups and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strual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as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To assure our proposition, we propose that the relational-interdependent and independent self-construals are predictors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effect of an independent self-construal on psychological well-being is mediated through self-esteem. The process to generate psychological well-being has been examined throughout the study for the multi-sample analysis based 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r this study, the AMOS 4.01 program has been used. Total 308 college students, from the 7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nd Kyungki area, have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y answered questions on Relational-Interdependent Self-Contrual Scale, Independent Self-Construal Scale, Rosenberg Self-Esteem Scal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t test using gender difference was non significant on relational-interdependent self-construal, independent self-constual, self-esteem. psychological well-being. But the correlations among all variables for the men and women samples are slightly different tendency. In man case, relational-interdependent self-construa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dependent self-constual, self-esteem, psychological well-being. In woman case, relational-interdependent self-construal was correlated with independent self-constual, psychological well-being, but it was non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elf-esteem. Independent self-constua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esteem, psychological well-being in both samples. Secondly, the self-construals model to psychological well-being was non significant across sexual groups. As a result of comparing parameter estimates, both self-construals are differently influenced psychological well-being according to gender. The effect of independent self-constual on psychological well-being was significant in the man, whereas the effect of relational-independent self-constual on psychological well-being was significant in the woman. ;본 연구의 목적은 성별에 따른 관계적-상호의존적 자아해석과 독립적 자아해석의 차이, 자아해석 양식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성별에 따른 자아해석 양식의 차이 및 상관을 분석하였다. 또한 자아해석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를 밝히고자 자아해석 양식을 심리적 안녕감의 예측변인으로, 자아존중감을 독립적 자아해석과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변인으로 가정한 후, 성별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의 처리과정을 구조방정식 모형에 근거한 다집단 분석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 및 경기도 소재 7개 대학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308명을 대상으로 관계적-상호의존적 자아해석 척도, 독립적 자아해석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 심리적 안녕감 척도를 사용하여 이루어졌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계적-상호의존적 자아해석, 독립적 자아해석, 자아존중감, 심리적 안녕감에서 성별에 따른 정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성별에 따른 관계적-상호의존적 자아해석과 독립적 자아해석이 자아존중감 및 심리적 안녕감과 어떠한 관련성을 나타내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남자의 경우 관계적-상호의존적 자아해석은 독립적 자아해석, 자아존중감, 심리적 안녕감과 모두 상관을 나타냈으며, 여자의 경우 관계적-상호의존적 자아해석은 독립적 자아해석, 심리적 안녕감과 약한 상관을 나타냈으나 자아존중감과의 상관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남녀 모두 독립적 자아해석은 자아존중감, 심리적 안녕감과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셋째, 성별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자아해석 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즉, 남녀 집단에서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자아해석 모형의 구조 동일성과 측정 동일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으므로 두 집단 모두 동일한 모형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동일한 잠재변인을 측정하고 있다. 넷째, 관계적 자아해석과 독립적 자아해석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가 성별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는지 알아보았다. 남녀 집단에 대한 모수추정치들을 비교한 결과, 남자의 경우 독립적 자아해석이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계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나 관계적-상호의존적 자아해석이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계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반면 여자의 경우 관계적-상호의존적 자아해석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경로계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나 독립적 자아해석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경로계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살펴보면, 독립적 자아해석과 관계적-상호의존적 자아해석이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것은 친밀한 대인관계를 중요하게 여기고, 청소년기의 독립성을 강조한 현대 한국 문화의 변화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남녀 모두에게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자아해석 모형은 개인 수준에서 일반적인 처리과정이며 두 종류의 자아해석이 심리적 안녕감의 산출과정에 유사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성별에 따라서 독립적 자아해석과 관계적-상호의존적 자아해석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는 상대적으로 그 중요성이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B. 연구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자아해석 양식 = 5 1. 독립적 자아해석(Independent Self-Construal) = 5 2. 상호의존적 자아해석(Interdependent Self-Construal) = 7 3. 상호의존적 자아해석의 두 가지 양식 = 8 4. 자아해석에서 나타나는 문화차 및 성차 = 10 B. 자아해석과 심리적 안녕감 = 13 1. 심리적 안녕감의 개념적 정의 = 13 2. 자아해석과 심리적 안녕감간의 관계 = 15 3. 심리적 안녕감에서 나타나는 문화차 및 성차 = 16 Ⅲ. 연구방법 = 18 A. 연구대상 = 18 B. 연구절차 = 18 C. 연구도구 = 19 1. 관계적-상호의존적 자아해석 척도 = 19 2. 독립적 자아해석 척도 = 19 3. 자아존중감 척도 = 20 4. 심리적 안녕감 척도 = 20 D. 자료분석 = 21 1. 성별에 따른 척도별 검증 = 21 2. 다집단 분석 = 22 1) 자료통합 = 22 2) 통계적 분석 = 23 (1) 구조 동일성(configural invariance) = 23 (2) 측정 동일성(metric invariance) = 23 3) 모형 평가의 기준 = 24 Ⅳ. 연구결과 = 25 A. 성별에 따른 관계적-상호의존적 자아해석, 독립적 자아해석, 자아존중감, 심리적 안녕감 차이분석 = 25 B. 성별에 따른 관계적-상호의존적 자아해석과 독립적 자아해석이 자아존중감과 심리적 안녕감간의 상관분석 = 26 C.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자아해석 모형의 다집단 분석 = 27 1. 동일성 검증 = 27 1) 구조 동일성 검증 = 28 2) 측정 동일성 검증 = 30 2. 성별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자아해석 모형의 경로계수 비교 = 31 1) 남녀 집단 간의 상관계수 및 경로계수 차이 비교 = 31 2) 남녀 집단에 대한 모수추정치 비교 = 34 Ⅴ. 결론 및 논의 = 38 A. 결과 요약 및 논의 = 38 B. 연구의 의의 및 제언 = 42 참고문헌 = 45 부록 목차 = 50 Abstract = 5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2294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성별에 따른 자아해석 양식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i, 5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