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5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다그미트마-
dc.creator다그미트마-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5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5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64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40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644-
dc.description.abstract세계의 많은 지역에 걸쳐 무교는 지역·종족마다 다소 변형된 형태로 존재해 왔다. 한국의 무교는 비교적 무교의 원형을 많이 소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몽골 무교의 비교를 시도한 것이다. 그러나 많은 차이점을 찾게 되었고, 이러한 차이점은 혹은 특성은 각 국가의 역사, 문화, 사회, 종교 등의 여러 요인에서 비롯된 것임을 알게 되었다. 몽골과 한국 무교의 형태와 양상은 다르며, 또한 시대변천에 따라 문화가 변하듯이 무교도 변하기 마련이다. 무교는 현대 문명과 현대종교를 말미암아 점차 약화되거나 혼합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급적 각 국가의 무교의 전체를 통하여 무교의 특성을 비교 하기로 하였다. 따라서 몽골과 한국 무교를 무복과 무구, 무가와 굿의 의례와 특성을 중심으로 비교하여 보았다. 성무과정과 유형, 무복과 무구, 무가와 굿 등을 중심으로 비교하고자 하는 이유는 이 모든 것이 무교의 기반이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또한 그것이 무교의 특성을 근본적으로 이해하는 길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얻는 이러한 차이점을 밝히려 시도한 것이다. 본 연구는 크게 3 부분으로 구성된다. 제 2장에서 먼저 문헌 조사를 바탕으로 하여 몽골 무교의 기원과 역사 변천과정을 고찰한다. 몽골과 한국 무교의 역사적 변천을 논할 때는, 다소 한정된 시대에서 벗어나 무교의 전 역사를 대상으로 하는 포괄적 의미를 사용했다. 제 3장에서 몽골과 한국 무교의 성무과정과 숭배대상 그리고 제사의식을 살피고자 한다. 또한 몽골과 한국 무교의 유형과 성무과정을 특징을 고찰한다. 제 2절에서는 무교의 신앙대상과 제사의식을 살피고자 한다. 불교에서는 부처라고 하는 신앙 대상이 있다고 하면 몽골 무교에서는 옹고드라는 신앙대상이 있다. 그리고 한국 무교에서는 신앙 대상이 되는 신령은 신관에 따라서 존재한다. 따라서 옹고드와 신령은 무속 신앙의 핵심이 되기 때문에 각 국가의 신관의 기능과 내용을 통해서 특징을 살피고자 한다. 제3절에서는 오보와 서낭당 신앙을 고찰하고자 한다. 오보는 몽골인들의 지혜와 삶의 방식을 엿볼 수 있는 신앙의 상징물이다. 서낭당신앙은 고대로부터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그것은 한국의 고유한 신앙만이 아니고 몽골의 오보신앙과 유사한 점을 갖고 있었기 때문에 오보와 서낭당의 공통점을 고찰하고자 한다. 제 4장에서 몽골과 한국 무교의 의례와 풍습을 비교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그 이유는 이 비교가 외면으로 노출된 각 국가의 무교의 특성을 근본적으로 이해하는 길이 되기 때문이다. 먼저 1절에서는 굿을 이해하기 위해서 몽골과 한국 무복과 무구의 상징성과 특성을 살피고자 하였다. 굿을 하는 과정에서 무당은 특별한 옷 즉 巫服을 입고 화려한 巫具로 장식하며, 이 무복은 거의 완벽한 상징 체계를 구성하고 있다. 무복은 여러 가지 장식으로 꾸며져 있고 그 장식은 각각 특별한 의미와 뜻을 갖고 있기 때문에 무복과 무구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은 무교 이해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제 2절에서는 몽골과 한국 무가와 굿의 특징을 살피고자 한다. 몽골 무가의 주인공은 惡神과 善神으로 나타나는데 악신의 성격은 파괴적인데 비해 선신의 성격은 창조적이다. 그러나 한국 무가의 주인공은 집안을 보호해주는 집안 신으로 나타나고 있다. 한국 무가의 내용은 집을 중심으로 한 조상 숭배 관념을 기반으로 하는 가족의식이 현저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이 몽골과 한국 巫歌의 내용과 그 성격을 통해서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무교의 특성을 잘 드러내어 주는 굿의 특징을 살피고자 한다. 그러므로 <굿>을 통하여 몽골과 한국 무교의 차이점을 분석하고자 한다. ;As Socialism began to collapse in Eastern Europe in 1980's, other socialist countries started to accept market economy based on capitalism and democracy. In 1990, Mongolia became a democratic country and religious activities were allowed for the general public. Shaman's residence and Buddhist temples has been started to be built all over the country, and the number of religious people started to increase as old religious places were allowed to open its doors to the public. After 70 years of suppression under socialism, Mongolia's shamanism however never faded away, but became a culture which has melted in Mongolian's everyday lives. Before Buddhism was introduced, Mongolia's indigenous religious tradition was rooted in nomadic culture. Mongolian's religion was shamanism and folk belief which satisfied their everyday needs. Korean Shamanism has played very important role in Korean history, and has distinctive characteristics. Shamanism is the oldest primitive religion in Korea and has influenced Korean consciousness for thousands of years. Shamanism was a religion until Buddhism was introduced to Korea. There is a theory that Korean Shamanism was from North Siberia, and its characteristics are different from that of Mongolian Shamanism. Therefore, I want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Mongolian and Korean Shamanism from macroscopic view of Asia. I tried to explain the correlation as well as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Mongolian Shamanism. I also tried to explain from which cultural backgrounds those differences were generated in Mongolian's point of view. This dissertation is about types of Mongolian and Korean Shamanisms, their differences and characteristics. Shamanism was modified according to regional tribes worldwide. I tried to compare Korean Shamanism with Mongolian because Korean Shamanism still retains its original form. However, I found many differences, and they were generated by each country's history, culture, society and religion, etc. This research paper is consisted of 3 chapters. In chapter 2, the origins, historical development, types and establishment process of Mongolian shamanism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was presented. When I deal with the origins and historical development of Mongolian and Korean Shamanism, I have used the comprehensive meaning of Shamanism which is free from limited time In the chapter 3, I would like to see the process of shamanism establishment and the subject of shaman worship as well as the shaman rites.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Mongolian Shamanism and their establishment process was also studied. In the paragraph 2, I studied the religious object and rituals of Shamanism. While Buddhism has Buddha, Shamanism has Onggod. In Korean Shamanism, the spirits of spiritual object exists according to perspectives of spirits. Because Onggod and spirits are the cores of Shamanism, I analyzed their characteristics through functions and contents of two countries' spiritual perspectives. In the paragraph 3, I looked at Oboo and Se-Nang-Dang shaman belief. Oboo is a symbol from which we can understand Mongolian's wisdom and their way of life. Se-Nang-Dand shaman belief has a long history from ancient Korea. However, it is not Korea's peculiar shaman belief and it has many common features in comparison with Mongolia's Oboo. Therefore, I would like to look at the commonness of two countries shaman believes. I looked at ceremonies and customs of Mongolian and Korean Shamanism because I believe this is the right path to understand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Shamanism of each country. In the chapter 4, I inquired into symbolism and distinctive features of Mongolian and Korean Shamanism costumes and instruments because Shamans wear special shaman costumes and decorate themselves with ornaments. Shaman costume is a small religious universe, which is different from our ordinary world. Shaman costume itself is having a perfect symbolic system. Since Shaman costumes are decorated with many ornaments and each ornaments has special meanings, it is very important to analyze their characteristics to understand Shaman. In the second paragraph, I studied special features of Shaman songs and exorcism of Korea and Mongolia. The main characters of Mongolian Shaman songs are evil spirit and good spirits. Evil spirits are destructive while good spirits are creative. Therefore, Evil spirits are the ones who bring misfortunes and good spirits are the ones who bring good luck and fortune. However, the main characters of Korean Shaman songs are the spirits who protect a family. The content of Korean Shaman song is based on adoration of family ancestors. I, therefor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Shamanism through the contents of Mongolian and Korean Shaman songs. In addition, I studied the exorcism which well reveals the traits of Shamanism, because it expresses most of the religious experience through the action. This is why I analyzed the differences of Mongolia and Korean Shamanism through it. Now, I have compared Modern Shamanism of Mongolia and Korea. The difference of those two Shamanism was derived from the cultural difference of the two countries, which are nomadic and agricultural, respectively. If I elaborate more, Mongolian Shamanism preserved only some of its original form because it has deteriorated and was not developed much over the history. However, Korean Shamanism was modified and has had many varieties in each period. Though there's a possibility that Korean Shamanism originally has its connection to the Shamanism of North Eastern Asia, current Korean Shamanism does not seem related. Korean Shamanism is understood that it was developed from distinctive natural and cultural environment of Korea.-
dc.description.tableofcontents국문초록 = iii I. 서론 = 1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1 (2) 연구의 범위 = 5 (3) 연구 방법 = 6 II. 무교의 기원과 역사 = 7 (1) 몽골 무교의 기원과 변천 = 7 (2) 한국 무교의 기원과 변천 = 16 III. 몽골과 한국 무교의 성무과정과 숭배대상 = 21 (1) 성무과정과 형태의 비교 = 21 1) 몽골 무교의 형태와 성무과정 = 21 2) 한국 무교의 유형과 성무과정 = 29 (2) 숭배대상과 제사의식 = 33 1) 몽골 무교의 숭배대상과 제사의식 = 33 2) 한국 무교의 숭배대상과 제사의식 = 42 (3) 오보와 서낭당 = 49 1) 몽골 오보 [사진 1] = 49 2) 한국 서낭당 [사진2] = 51 IV. 몰골과 한국 무교의 의례 특징 = 55 (1) 무복과 무구의 비교 = 55 1) 몽골 무복과 무구 = 56 2) 한국 무복 [사진 11] = 60 (2) 무가와 굿의 특징 = 65 1) 몽골 무가와 굿 = 65 2) 한국 무가와 굿 = 74 V. 결론 = 82 부록 = 86 참고문헌 = 88 사진 = 93 ABSTRACT = 10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7963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몽골과 한국 무교의 비교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iv, 10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학과-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