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24 Download: 0

국내외 환경경영 기업의 환경교육 현황 비교 및 분석

Title
국내외 환경경영 기업의 환경교육 현황 비교 및 분석
Authors
민세진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환경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환경의 시대라 불리는 21세기에는 기업의 환경경영 및 정착이 피할 수 없는 시대적 과제가 될 것이며,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환경교육에 대한 정부의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고 기업도 사회환경교육의 주체로서 환경교육의 중요성을 공유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두산, 삼성테스코, 유한킴벌리, LG, POSCO의 국내 기업과 BODYSHOP, NICHIREI, SONY, STARBUCKS, VOLVO의 국외 기업을 선정하여 각 기업의 환경경영의 특징과 환경교육 현황을 비교·분석해보고, 사회환경교육의 주체로서 기업이 추구해야 할 환경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수행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조사한 기업들은 환경중시 경영으로 기업의 이미지를 향상시키고 타기업과의 차별화를 도모하며 사회공헌 활동으로 환경교육을 실시하고 있었다. 국내 기업의 환경교육 대상은 학생, 일반시민, 사내직원으로 교육대상이 다양한 반면, 국외 기업은 대부분 사내직원 중심으로 환경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교육장소는 국내 기업은 현장견학 중심이었고, 국외 기업은 사내에서 정보와 지식전달을 위주로 하는 강의중심으로 환경교육을 실시하고 있었다. 교육기간은 국내외 기업 모두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있었고 교육주체로는 사내 교육담당자나 환경전담부서에서 실시하였다. 교육방법은 강의와 현장체험을 중심으로 캠페인을 이용한 교육 프로그램을 주로 사용하여 교육을 실시하고 있었다. 교육목표의 영역을 살펴보면 국내 기업은 인식·지식, 가치·태도, 행동·참여, 기능의 4가지 영역을 골고루 포함하여 교육을 실시하고 있었지만, 국외 기업에서는 각 영역의 교육목표를 모두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기업은 환경 관련 연구기관을 모두 운영하고 환경보고서를 매년 발간하여 기업의 환경경영 및 환경교육 현황을 구체적으로 공개하고 있었다. 이에 비해 국외 기업은 2개의 기업만이 환경 관련 연구기관을 운영하고 있었고, 국내 기업의 환경보고서와 비슷한 'Auunal Report'를 두 곳에서만 발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기업이 추구해야 할 환경교육의 방향을 제시해보면 다음과 같다. 기업은 환경경영을 토대로 하는 사회환경교육의 주체로서 학교나 지역사회 및 환경단체에 재정적인 지원을 지속적으로 하고 교육대상이나 교육방법을 다양화해야 하며, 정부는 기업의 환경교육 활동을 평가하고 각 기업들이 환경교육을 의무화 하도록 하여 학교나 지역사회와 연계할 수 있는 환경교육을 확대해서 실시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환경교사 교육을 위한 연수 및 교육장소를 제공하고 체계적인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기업이 사회환경교육의 주체로서 역할을 감당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추후 연구에서는 기업이 실시하고 있는 환경교육이 지속적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더욱 다양하고 체계적인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In the 21st century, called the age of environment, it will be an essential task to manage and give priority to environment as well as to share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as the subject of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for business part, while to change its recogni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to support development for the government part. Hence, this study is intended to find what direction a business has to follow for environmental education as the subject of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For the study, it selected domestic companies such as DOOSAN, SAMSUNGTESCO,YUHAN-KIMBERLY,LG,andPOSCOand international enterprises such asBODYSHOP,NICHIREIINTERNATIONAL SONY, STARBUCKS, and VOLVO to compare to and analyze on the features and status of environmental management of each busines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Domestic enterprises have conducted environmental education with various trainees, such as students, the general citizen, and internal workers, whereas foreign enterprises have focused it with internal workers. A field trip has been used for education by domestic enterprises, compared to lecture-oriented method used by foreign ones conveying primarily information and knowledge to trainees. For a period of education, both domestic and foreign enterprises have scheduled education regularly, with a internal trainer and environment departments having been responsible for the education. Methods used for education include training programs using campaigns centered with lectures and field experiences. In terms of the aim of education, domestic enterprises have conducted training with the purpose of including all the 4 areas such as recognition·knowledge, value·attitude, behavior·participation, and function, while foreign enterprises did not include the aim of training for each area. In addition, domestic enterprises have operated agencies for environment research and study, published environmental reports every year, and open the status of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training to the public. In contrast, only 2 foreign enterprises have had environmental research agencies, and other 2 enterprises have issued ‘Annual Report-Environment’ similar to the environmental reports of the domestic enterprises. Based on the results stated above, the researcher suggests which way to take a enterprises should for environmental education as follows; As the subject of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based on environmental management, a business is required to provide schools, communities and environmental groups with financial support continually, with diverse education targets and methods. On the other hand, the government is required to evaluate the environmental education activities of each company and encourage a company to regulate the environmental education as one of responsibilities. Besides. it is necessary for the government to make plans to expand environmental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schools and communities. Also, it has to provide with in-service training places for environment teacher and involve in the development of systemic environmental programs, so that a enterprises may cope with the role of the main body of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To ensure the continua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follow-up studies will focus on the development of more various and systemic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available for enterpris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환경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