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혜진.-
dc.creator정혜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40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40Z-
dc.date.issued1982-
dc.identifier.otherOAK-00000003550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35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5503-
dc.description.abstract19세기 이래 추상 繪畵는 實在의 對象을 추방하고 순수한 영상의 世界를 추구하여 왔지만 추상 繪畵는 완전한 현실의 存在로서의 오브제(Objects)와 완전한 허구로서의 이미지(Image)의 아슬아슬한 밸런스 위에서 성립되어 왔다. 이러한 추상회화의 흐름은 1,2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이지적 성향의 「차가운 추상」과 감정적 성향의 「뜨거운 추상」으로 대립 되었다. 이것은 추상회화가 가진 하나의 숙명적 과제라고 볼 수 있으며 이런 형식화된 추상에 맞서, 보다 자유롭고 本能的이고 자율적인 창조 활동으로 또 다른 추상의 길이 요구된 것은 당연한 결과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 두가지 추상의 대립을 다소 극복해 보고자 연구분석 되었다. 또한, 투명성의 문제에서는 입체주의에서 출발한 추상 작가들의 작업내용을 연구하여, 본 작품에서는 광선이 화면 그 자체에서 만들어져 내부에서 발생되도록 시도하였다. 본 論文에서는 자연적 유기적 대상과 現代文明의 실내 공간에서 가해지는 수직, 수평의 기하적인 소재와의 結合으로 전체 화면을 단순화, 평면화 시켰다. 이것은 원근감을 배제시켜 나가면서 화면 전체를 구조적으로 탐구하여 자연의 서정적 이미지를 창출시키려 함이다. 본 論文의 理論的 기반으로, 내용적인 면에서는 회화 공간의 평면화를 강조한 Matisse와 자연과 추상으로의 접근을 가능하게 해 준 유 영국의 작품 내용을 연구하였고, 방법적인 면에서는 지형과 계절의 감각을 정적이며 서정적으로 표현하여 평면 추상으로 완성시킨 Richard Diebenkorn의 表現 기법과 Piet Mondrian의 순수조형론을 근거로 연구하였다. 본 작품의 분석을 통해 작품에 대한 이론과 실재를 결부시키고, 작가의 의식의 반영과 더불어 畵面의 造形的 探究와 기법과 表現의 가능성을 추구해 나가면서 회화의 기본적 가치관을 정립해 나가고자 한다.;Since 19th century, paintings have expelled the reality of objects and studied the world of pure image. However, it has been based on the dangerous balance of real objects and fictitious image. It can be said that the contrast of intellectual cold abstraction and sensitive hot abstrac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blems which modern painting had. Therefore another way of studing the obstraction which pursuits liberal and instinctive work of creation is required is very natural. The writer was influenced by works of abstactive painters who had started on the cubism in the field of transparency. The writer tried to make canvas to be simple and flat, combinating organic object of outside nature and geometical materials of inside space in modern civilization. This aims at creating the lyrical image through studing whole canvas to be structural while trying to expell the perspective. The writer studied Henri Matisse's painting in contents which hae emphasized on the flat surface of picture and You Yong Gook's painting which helped me to approach the nature and abstraction and on the other hand the writer studied methodically Richard Diebenkon who had completed the techniques of expression by expressing the feelings of seas on lyrically and also studied pure plastic theory of Piet Mondrian. Though the analy sis of my own work, looking for possible expressive techniques and the formative pursuit. I intend to establish view for the ar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서론 = 1 A. 연구 문제의 진술 = 1 B. 연구의 목적 = 1 C. 연구의 내용 = 2 D. 연구의 방법 = 3 1. 표현 대상과 결합된 평면 = 3 2. 공간의 평면적 구성과 형, 색, 선의 조형성 탐구 = 4 본론 = 6 A. 이론적 기반 = 6 1. 내용적인 면 = 6 2. 방법적인 면 = 7 B. 본인작품의 분석 = 12 결론 = 30 참고문헌 = 32 ABSTRACT = 3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2075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공간구성-
dc.subject투명성-
dc.subject추구-
dc.title空間構成과 透明性 追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ransparent and projectile expression of the space figured-
dc.format.pagevi, 33 p. : 삽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회화학과-
dc.date.awarded198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