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21 Download: 0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어 소개 화행 연구

Title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어 소개 화행 연구
Authors
신경선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speech act of introduction of native Korean speakers which will suggest norm of introducing in Korean and allow better understanding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o learners of Korean language. The data from native speakers of Korean gathered from television drama scripts and screen plays as well as real life conversation and analyzed by relationship, relative status and situation. The major findings are follows. First, Korean people consider themselves as 'We'and when they introduce themselves to a group of people, they first acquaint their group and remind the listeners that they belongs in the same group. Then they tell their age to determine the rank in the group and then finally tell their name. However, in the Korean textbook, the introduction starts with telling the names which does not agree to Korean culture of weism. Second, in business meeting Korean people usually introduced by not themselves but a third party first and self-introduction is followed. When the introducer gives the most important information about the introducee then he or she introduce himself or herself by telling the name. But textbook could not cover various relationship between introducer and introducee. Third, Korean respect the seniors so the seniors are usually introduced by others and his or her age or social status is included in the introduction. However, the textbook too much weight on the introductions between friends. Finally, when Korean people introduce themselves in formal situation, they tend to give various personal information while they only tell their name or relationship with the introducer in informal situation. However, there are no such lessons on introducing strategies in Korean textbook. This study will suggest the direction for teaching the speech act of introduction and guideline for the textbooks. It will also contribute greatly to building up baseline data necessary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line research at the same time can provide a new approach to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make the development of various teaching methods and materials possible. ;외국어 교육에 있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언어 학습에서 언어의 기능적인 면뿐만 아니라 목표 언어를 사용하고 있는 사회의 규범과 문화에 대한 이해인 화용 능력의 중요성이 인식되었다. 이에 화행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도 활발한 화행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타인과의 교류의 시작인 소개 화행의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자신의 의해서든 제 3자에 의해서든 목표어의 문화에서 처음 만난 사람에게 자신을 드러내는 데 사용되는 개인적인 신상 정보를 누구에게 언제 얼마나 어떻게 제공해야 하는지에 대한 사전 지식이 없다면 외국인 학습자들은 대인 관계를 맺는 데 있어 관계 자체를 맺지 못하는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로 하여금 한국어 소개 화행에 반영되어 있는 한국 사회 규범과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화용 능력의 향상을 도모하여 가장 자연스럽고 적절한 소개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한국어 모어 화자의 소개 화행의 실제 자료를 소개를 받는 대상과 소개가 이루어지는 방법에 따라 분류하고 화자와 청자의 관계와 상대적 지위, 그리고 소개가 이루어지는 상황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와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소개 화행을 비교 분석한 결과와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사람은 우리라는 집단의 일부로 자신을 생각하고 여러 사람 앞에서 자기를 소개할 때 이름을 먼저 밝히기보다는 소속 기관을 먼저 밝혀 화자와 청자가 모두 같은 집단에 소속되어 있음을 상기시키고 학번이나 나이를 밝혀 집단 내에서의 자신의 위치를 알린 후에 비로소 자신의 이름을 밝힌다. 그에 비해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소개 화행은 이름을 먼저 밝히는 방식의 소개 화행이 주를 이루어 한국어 소개 화행에 내재되어 있는 한국 사회의 집단주의 문화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었다. 둘째, 업무를 위해 만난 한국 사람은 자기를 스스로 소개하기보다는 타인에 의해 소개가 되거나 1차적으로 타인에 의해 소개가 된 후 2차적으로 자기를 소개한다. 이 때 화자는 처해진 상황에서 소개되는 사람에 관한 가장 중요한 정보인 사회적 지위나 화자와의 관계를 밝혀 집단의 기존 구성원과 새로운 구성원 간의 자연스러운 융화를 도모하고 소개된 사람이 2차적으로 자기를 소개할 때 이름을 밝혀 자신을 알린다. 이에 반해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소개 화행은 이러한 자기 소개와 타인 소개의 복합적인 형태를 제시하지 않아 관계에 따른 한국어 모어 화자의 소개 전략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셋째, 한국 사람은 서열을 중시하기 때문에 소개가 이루어질 때 연장자나 지위가 높은 사람에게 자신을 소개하게 하기보다는 타인이 소개를 하며, 소개할 때 화자와의 관계나 사회적 지위, 혹은 나이를 밝혀 대화 참여자 간의 서열을 매기고 앞으로의 관계를 지속하는 데 있어 연장자에게 적절한 대우를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소개 화행은 화자와 청자의 나이나 사회적 지위가 같은 경우의 소개 화행에 지나치게 편중되어 한국어 소개 화행에 잘 나타나 있는 서열을 중시 여기고 윗사람을 대우하는 한국 문화를 반영하지 못했다. 넷째, 한국 사람은 의도적으로 만난 격식적인 상황에서는 자신에 대한 다양한 신상 정보를 밝혀 청자에게 자신을 알리는 데 주력하며 이는 타인에 의해 소개가 이루어질 때도 화자는 소개가 되는 사람의 다양한 신상 정보를 청자에게 알려서 만남의 목적을 달성하고 관계를 지속하는 데 유리하게 이끈다. 이에 반해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소개 화행은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모어 화자의 소개 화행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여 만남의 의도에 따른 한국어 모어 화자의 소개 전략의 차이를 교재에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모어 화자의 소개 화행 분석과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소개 화행의 비교 분석 결과는 지금까지 간과되었던 소개 화행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다. 또한 이를 통해 한국어 학습 현장에서 실질적인 소개 화행 교육을 이끌어 가야할 방향과 아울러 개발자의 직관에 의존했던 지금까지의 교재 개발에서 벗어나서 현실성 있는 교재를 개발하는 데 지침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