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반상희-
dc.creator반상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6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6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29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32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295-
dc.description.abstractWith the advent of the digital age, the motion-picture industry is experiencing a golden era. Due to the spread of digitalization across the industry, the scope for the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the digital medium has broadened. Rapid advances in the field of multimedia have made possible the development of the motion-picture culture and the rapid growth of motion graphics. In particular, within Korea's fast-evolving media environment, the scope for the application of motion graphics is expanding, and as a medium of visual communication, the possibilities for expression ever increasing. The rise of motion graphics has paralleled the development of multimedia, and the proportion accounted for by the medium is very large. Consequently, motion graphics has a tendency of becoming subordinate to its mechanical and technical aspects. Having observed this tendency, the present researcher intends to put forth sensitive expression that is a method of communication that elicits a positive reaction from the audience. Sensibility is an amalgamation of senses derived from sensory organs, a high level of psychological experience that comes from within, and is one of the most fundamental factors in the perception of objects. Sensibility is a thought that is nothuman knowledge, it is already in a state of interpretation, and the triggering of sensibility is before human conscious or cognitive, psychological experience and feeling that arises from materials already interpreted through experience and such. It follows that, the feeling of sensibility is possible even without any evidence or rational basis, and the positive reaction that such emotions elicit carry strong persuasiveness in the field of visual communications. As mentioned earlier, motion graphics has a tendency to become subordinate to its mechanical and technical aspects. This tendency, especially in compared to other graphic fields, places limits on the expression of natural sensibility. Being in an imaginary world has the advantage of not being restricted by time, but it also has the disadvantage of being limited, in terms of realism, in its ability to appeal to sensibility. Looking at it under this premise, the researcher noted the speed and timing of movement brought about by changes in the time component as a method of expressing sensibility, and looked into how each graphic component triggers sensibility according to the speed of movement and timing. The researcher believes that a vibrant expression is necessary for the conveying of more intimate and human sensibility, and has applied to the work actual physical and organic movements of natural phenomena. In addition, within the context of the aforementioned relationship between the expression and sensibility of motion graphics, flexibility include sensitive adjectives centered applied to expression. Following the advance of technology, multimedia will continue to develop and the means of expression in motion graphics will become more varied. As a method of visual communication, as the level of application of motion graphics increases, the necessity of eliciting a positive reaction from the audience will be emphasized. Through this paper, the importance of sensitive expression in motion graphics will be highlighted, and one expects there to be continued efforts to produce ever positive feelings through sensitive expression. ;디지털 시대를 맞아 영상산업은 새로운 전성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산업전반에 걸친 활발한 디지털화의 진전으로 디지털 매체의 이와 용의 폭은 넓어졌고, 이에 따른 멀티미디어 분야의 급속한 발전은 영상 문화의 발달과 함께 모션그래픽의 급성장을 가능하게 했다. 특히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는 국내의 미디어 환경 속에서 모션그래픽의 활용범위는 확장되어가고 있으며 시각 커뮤니케이션의 한 장르로서 표현의 가능성도 점차 확대되어가고 있다. 이렇듯 미디어의 발전과 함께 대두된 모션그래픽에 있어서 매체가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크며, 따라서 모션그래픽은 기계적이고 기술적인 면에 예속되는 특징을 갖는다고 하겠다. 이러한 특징에 착안하여 본 연구자는 모션그래픽에서 감상자에게 호감을 주는 커뮤니케이션의 한 방법으로 감성의 표현을 제시하고자 한다. 감성은 감각기관을 통해 생성된 감각이 합성되어 종합화 된 것으로 인간의 내부에서 야기되는 고도의 심리적인 체험이며, 사물을 판단하는데 가장 기초적인 자료이다. 감성은 인지순간이 아닌 사고로써 이미 해석되어져 있는 상태이며, 감성을 유발한다는 것은 인지하기 이전에 경험 등에 의해 이미 해석되어져 있는 자료들 에 따라 생겨나는 심리적 경험 또는 어떤 느낌인 것이다. 따라서 충분한 논증이나 근거 없이도 감성적 공감은 가능하며 이러한 감성적 공감에서 얻는 호감은 시각커뮤니케이션에서 강한 설득력을 갖는다. 서두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모션그래픽은 기계적이고 기술적인 면에 예속되는 특징을 갖는다. 모션그래픽의 이러한 특징은 다른 그래픽 장르에 비해 자연적인 감성을 표현하는데 제한적일 수 있다. 가상공간에 존재한다는 것은 시간에 구애받지 않는다는 장점도 있지만, 실재감에 있어서 감성에 어필할 수있는 부분에 제약이 있다는 단점 또한 갖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전제하에 본연구자는 모션그래픽에서의 감성표현 방법으로 시간적 요소의 변화에 의한 모션의 템포와 타이밍에 주목하고, 각 그래픽요소가 움직임에 있어서 속도 조절, 형태와 배경의 관계, 색상에 따라 어떻게 다른 감성을 유발하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자는 보다 친근하고 인간적인 감성의 공감을 위해서는 생동감의 표현이 중요하다고 보고, 실재하는 자연현상의 물리적이고 유기적인 움직임을 작품에 활용하였다. 또한 앞서 알아본 모션그래픽의 표현과 감성의 관계에 대한 내용 중, 유연성에 포함되는 감성 형용사들을 중심으로 표현에 적용하였다. 기술의 발전에 따라 미디어는 계속 발전할 것이고 모션그래픽에서의 표현방법 또한 다양화 되어질 것이다. 모션그래픽이 시각커뮤니케이션의 한 방법으로써 그 활용도가 커져갈 수록 감상자의 호감을 얻는 표현의 필요성은 더욱강조 될 것이다. 본 논문을 통하여 모션그래픽에서 감성 표현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감성의 표현에 있어서 보다 좋은 느낌을 만들어 내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어지리라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 목적 = 1 B. 연구 범위와 방법 = 2 Ⅱ. 모션그래픽의 이해 = 4 A. 모션그래픽의 개념과 배경 = 4 1. 모션그래픽의 개념 = 4 2. 모션그래픽의 배경 = 5 3. 모션그래픽의 활용범위 = 6 가. 무비 타이틀 시퀀스(Movie Title Sequence) = 6 나. TV = 7 다. 웹(Web) = 8 라. 뮤직비디오(Music Video) = 9 B. 모션그래픽의 구성요소 = 9 1. 시간(Time) = 9 2. 움직임(Movement) = 10 3. 시간과 움직임의 인식 = 12 4. 형태-배경(Figure-Ground) = 13 5. 색상(Color) = 14 Ⅲ. 모션그래픽과 감성표현 = 16 A. 감성의 개념 = 16 B. 감성인식의 메커니즘과 이미지 형성 = 19 1. 시각경험과 이미지 형성 = 19 2. 감성의 인식 = 22 C. 모션그래픽에서의 감성표현 = 24 1. 모션그래픽에서의 감성인식 = 24 2. 모션그래픽의 구성요소와 감성 = 25 가. 시간(Time)과 감성 = 26 나. 움직임(Movement)과 감성 = 27 다. 형태-배경(Figure-Ground)과 감성 = 28 라. 색상(Color)과 감성 = 29 마. 모션그래픽의 구성요소와 감성반응 = 29 3. 모션그래픽에서의 감성표현 사례 = 40 Ⅳ. 작품 제작 및 분석 = 45 A. 제작 의도 = 45 B. 작품 전개 = 46 C. 작품 분석 = 49 Ⅴ. 결론 = 57 참고문헌 = 59 Abstract = 6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80551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모션그래픽에서의 감성표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ix, 6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자인학부시각정보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