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3 Download: 0

집단미술활동이 만성정신장애인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Title
집단미술활동이 만성정신장애인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Authors
김민영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an art therapy program to some mental chronics and thereby, analyze and determine its effects on improvement of their communication skills. 18 adult mental chronics hospitalized at a mental health center were sampled to be subject to a total 15 rounds of art therapy. The art therapy program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In order to test the effects of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pre- and post-tested by using a communication skill scale developed by "Good Human Relationship Education Program" under Mental Rehabilitation Institute.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for paired T-tes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or subjects'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skills, while subjects' activities during testing were observed and assessed for a qualitativ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s a result of pre- and post-test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arttherapy program had some positive effects on subjects' communication skills, particularly their sub-skills such as non-linguistic conversation skill, linguistic communication skill and social skill. Such a finding suggests that the art therapy program would serve to improve subjects' sociability through cooperation or discussions. However, the differences of self-assertion skill between pre- and post-test were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which suggests that self-assertion may not be improved by the short-term art therapy program. 2. Subjects' attitudes and responses improved over time during the arttherapy. They were passive and defensive at the earlier stage of the therapy but they gradually began to participate in the group art activities, expressing themselves more and more positively. In addition, their communication skills, consideration of others, listening to others and social skills were improved through cooperative work, while their sense of belonging was enhanced. 3.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t therapy program, it was found that when subjects' personal and group experiences were sufficiently accumulated, they improved their communication skills through voluntary participation and feedback.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put forwards; 1.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art therapy program which would enhance the sub-concepts of the communication skills, particularly the self-assertion frequently characterized by the mental chronics. 2. It is desirable to interview with the subjects in parallel or use an on-line community to exchange with the subjects individually. 3. It is essential to develop or research into the testing tools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4.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well be generalized for the ordinary adults' mental health. As discussed above, mental chronics tended to open their mind during the art therapy, and feedback their opinions through cooperative work and discussion session in a natural way. Such a 'mind-opening and feedback' are said to be important concepts for communication, and therefore, the art therapy program developed by this study may well be effective in improving mental chronics' communication skills.;본 연구에서는 만성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그들의 의사소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고,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X-정신보건센터에 있는 성인 만성정신장애인 18명을 대상으로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총 15회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는, 본 연구에 적합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정신재활 연구소에서 편찬한 ‘좋은 대인관계 교육 프로그램’ 과정에서 개발한 의사소통척도를 각각 사전·사후 검사로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한 통계처리는 참석자와 관찰자 각각의 사전, 사후 의사소통기술 수준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 대응표본 t-검증(paired t-test)을 실시하였고, 질적 분석을 위해 미술치료의 활동분석을 관찰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찰자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차이 분석을 통해, 그 차이가 전체 의사소통기술의 비교에서 p<.01, 사교기술에서 p<.01, 비언어적 대화기술과 언어적 대화기술에서 p<.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미술치료가 의사소통기술과 그 하위개념인 비언어적 대화기술, 언어적 대화기술, 사교기술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는 공동작업이나 토론과정에서 사회기술이 향상된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자기주장에서는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다. 자기주장에 있어 단기간의 미술치료 활동으로는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해석된다. 둘째, 미술치료 과정에서 집단원들의 태도와 반응은 회기가 진행됨에 따라 개선되었다. 집단원들은 초기 단계에는 소극적이고 방어적인 모습을 드러냈으나 차츰 적극적인 참여와 긍정적인 태도로 자기표현을 하였다. 또한 협동작업을 통해서 대화기술, 타인배려 및 경청, 사교기술이 향상되었다. 셋째, 연구도구인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분석해 보면, 집단원의 개인경험과 집단경험이 충분히 확보될 때 자발적인 참여와 피드백을 통해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의사소통기술의 하부항목, 특히 만성정신장애인들이 가장 흔히 보이는 결손 중의 하나인 자기주장을 집중적으로 강화한 사회적응프로그램을 미술활동에 접목시켜볼 것을 제언한다. 둘째, 개인면담을 통한 연구를 병행하거나 온라인 상의 커뮤니티를 활용하여 집단원들과의 개별적인 교류를 하는 것도 고려할 만하다. 셋째.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사용한 검사도구의 개발 및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일반인들의 정신건강을 위해 미술치료의 대상을 일반인들로 확대할 것을 제언한다. 만성정신장애인들은 미술활동을 통해 자기개방을 하였으며, 협동작업을 통해 자연스러운 피드백이 이루어졌던 것으로 보아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만성정신장애인의 의사소통 향상에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겠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