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0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수정-
dc.creator이수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15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15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49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30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496-
dc.description.abstract사람은 누구나 태어나서 삶을 살아가는 동안 끊임없이 '나'는 누구인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과 고민을 하며 자아와 자신의 정체성을 찾기 위해 노력한다. 모든 것이 빠르게 쉬지 않고 변화하고 발전하는 21세기 속에서 '나'를 찾기 위한 정체성에 대한 고민을 한번쯤 하지 않아 본 사람은 없을 것이다. 포스트모더니즘 (post-modernism)의 오늘날에는 모든 것에 있어 특별한 양식이 존재 하지 않는 양식의 부재(不在)와 급진전 하는 사회와 문화, 대중 속에서 '나'에 대한 개인적 혼란과 소외는 자아의 상실감을 유발하는 위기를 가져온다. 이러 한 의미에서 일반적으로 자신의 내면의 세계를 표현하여 작업을 하는 예술가들에게 있어서 특히 '나' 라는 자신의 존재의 의미는 굉장히 크며 자아의 정체성의 회복은 필수불가결한 요소처럼 느껴진다. 자화상 (Self-Portrait) 은 자신의 모습을 외부에 드러내 보여준다는 의미에서 작가의 자아의식과 내면세계가 가장 명확하고 직접적으로 드러난 예술의 양식이라고 볼 수 있다. 자화상은 그림속의 모델이 작가 자신이며 그림을 그리는 사람 역시 본 연구자라는 점에서 자아의 정체성을 표현하는 수단이자 작품 그 자체가 자아의 결정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또한 거의 대부분의 예술가가 동시대의 사회와 문화에 영향을 받듯이 그의 작품역시 그 시대적 상황을 의식적으로 또는 무의식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21세기의 테크놀로지와 디지털 매체의 발전이 인류의 사고와 생활양식에 큰 변화와 발전을 가져왔듯이 예술에 역시 과학기술의 발전은 다양한 표현양식으로 반영되고 있다. 오늘날에 모든 생활이 디지털 화 되어가는 과정에서 예술가들은 자신의 모습을 드러내고 자신의 개성을 표출하는 방법으로 디지털매체를 사용하는 것을 주저하지 않는다. 과거의 자화상이 대부분 거울을 통해 비춰진 자신의 모습을 캔버스 위에 그리는 형식을 취하였다면, 사진의 발명을 계기로 자화상의 형식에는 큰 변화가 생기게 되었다. 단순한 인물사진을 비롯하여 사진을 캔버스위에 실크스크린 하여 덧그리는 방식 등 다양한 방법의 자화상이 등장하였다. 사진의 발명으로 자화상을 비롯한 초상화들의 재현의 미학에 상당한 변화가 생기게 되었다. 20세기 후반에 이르러서는 디지털 매체의 빠른 발전으로 작가는 자신의 모습을 생생하게 기록, 저장 할 수 있는 동영상 촬영까지 가능하게 되었고, 촬영된 이미지를 후에 디지털 편집하여 또 다른 이미지를 창출해 내는 새로운 개념의 자화상이 등장하였다. 동영상 촬영은 거울반영에만 의지한 자화상이 나타낼 수 없는 많은 요소들을 가지고 있는데 그중에 하나가 피사체(被寫體)의 표정의 변화 같은 움직임을 보여 준 다는 점이 가장 큰 매력이자 특성이다. 본 연구자는 이번 논문에서 디지털 매체 중에서도 시간성, 반영(反映)성의 특징을 가진 시간기억장치로서의 비디오의 매체(媒體)적 특성을 이용하여 작가의 정체성 표현에 대해 연구하기로 하였다. 먼저 자화상의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자아 표현에 있어서 역사적, 조형적 기본의 틀을 마련하였다. 자화상의 배경과 서양 자화상의 역사를 되짚어 보면서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모한 다양한 내면세계 표현의 방법을 살펴보았고 이러한 과정은 본 논문의 근본인 본 연구자 자아 표현의 바탕이 되었다. 더 나아가 작업의 방법적인 면에서는 피사체의 움직임을 반영하는 새로운 미학적 도구인 디지털 비디오의 출현 배경과 그 개념적 의미를 먼저 찾아보고 매체 고유의 특성을 분석해 보았다. 그리하여 이러한 이론적 연구를 바탕으로 전통적 회화의 형식과 디지털 비디오 매체를 사용한 동영상의 두 가지의 다른 형식을 하나의 작품에서 표현하였다. 비디오가 '시간'을 기본으로 사용되는 매체라는 점과 그에 따른 비디오의 실시간(real-time)성, 이중시제, 다중성, 동시성 등의 성격이 끊임없이 반복적으로 변화하는 한 개인의 비고정성, 불확정성을 나타내기에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피사체의 움 직임을 반영해 보여주는 비디오의 '반영(反映)성'(reflection)이 거울의 기능을 하면서 그와 함께 동반되는 자기애(Narcissism)적인 심리적인 현상을 함께 되짚어 봄으로써 새로운 테크놀로지가 현대인의 자아 성찰을 표현하는 수단으로써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여기에 자아 표현의 수단으로 비디오가 매체로서 가지는 기계적 속성인 시간성과 그와 함께 수반된 심리적 속성의 '반영(反映)성' 을 함께 고찰해 보고 이를 바탕으로 작가의 내면세계를 보다 은유적으로 표현하는 순수 회화 고유의 느낌과 비디오 이미지와의 조합을 살려 하나의 작품으로 완성하였다. 이와 같은 21세기 테크놀로지의 매체(媒體)적 속성이 예술에서는 어떠한 미학적 의미와 물리적 현상을 나타내는지 살펴 봄 으로써 더욱 본 연구자의 작업에 확신을 가지고 이 논문을 쓰게 되었다. 유동적인 사람의 정체성과 그 내면세계를 표현 한다는 것은 어느 한가지의 매체나 방법을 사용하여 규정하기에는 너무나 섬세하고 다양하며 불확실한 국면이 있다. 이러한 상황은 디지털 비디오라는 기계적, 심리적인 혼성속성 매체(媒體)가 가진 비디오 이미지의 비고정적 특성과 순수회화의 아날로그적인 접근의 조합에서 잘 드러나고 있다. 본 연구자는 이 논문에서 비디오 아트의 창시자라고 불리 우는 백 남 준이 '변형, 통과라는 시간적 활동의 결과'라고 정의한 비디오 이미지의 '비고정성'과 회화적 요소가 가진 자유롭고 적극적인 표현 양식이 오늘날에 수많은 정보와 급변하는 사회 속에 시시때때로 변화하는 불확정적, 비결정성의 유연(柔軟)함의 자아를 표현하기에 적합한 최적의 방식 중 하나라고 규정한다. 또한 이번 연구를 통하여 디지털 매체가 가질 수 있는 병패중의 하나인 무작위한 복제(複製)와 인스턴트식의 느낌을 해소해 보고자하였으며 이것을 기반으로 앞으로의 본 연구자 작업의 주체성과 방향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본다. ;People consistently make an effort to find their ego, self-identity during their life time questioning who or what they are. In the 21st century, in which everything changes and develops so fast, it would be possible to say that everyone has struggled to find their self-identity at least once. Specially in this Post-Modernism era, where a specific form does not exist, confusion and alienation can lead to the loss of self in the rapidly changing culture and public as well as society. In this sense, ego the meaning of self existence is significant, and the restoration of self-identity appears to be indispensable for an artist who creates his or her work by expressing one's inner world. Self-portrait is a form of art that clearly and directly shows the artist's self-awareness and inner world in the sense that it exposes the artist himself or herself to the outside. In self-portraits, the artist is not only the object of his or her work but the subject because the artist draws himself or herself. Therefore, it is not exaggerative to say that self-portrait is a means to express self and that the work is an essence of self-identity. Additionally, an artist's work naturally reflects the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 of his or her time, because the artist is influenced by the culture and society where he or she lives within. The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is reflected on art as the 21st century's technology and the improved digital media have significantly changed our thoughts and behavior. In today's digital world, artists do not hesitate to use digital media as a means to express themselves and their distinctive ego. While artists used their mirror reflection for self-portraits in the past, the invention of photography has sparked a change in this traditional method for self-portraits. A wide variety of styles of self-portraits were introduced such as the retracing a photo image on a canvas by using silk-screen technique done by Andy Warhol. Accordingly the photography has brought a considerable amount of change in the aesthetics of representation in portraits. In the late 20th century, artists became able to capture and store their appearance by recording video image due to the rapid progress in digital technology.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is attributed to a new form of self-portraits' emergence, a digitally captured and edited video image. Video recording has many attractive features with which it can express what was not possible by traditional self-portraits which depended on mirror images only. Capturing the movement of an object, for example changes in facial expression, is one of the key features video recording possesses. This thesis aims to study and find a way to express self-identity by using the time-storing and reflecting nature of video media. First, historical and artistic frame works for self-expression were established thru theoretical study of self-portraits. A variety of ways to express artists' inner world, which have been changing along with the time, was examined thru the study of western self-portrait history. This process established a basis for self-expression, which is one of the fundamental of the thesis. Furthermore, the theoretical study on the background of the emergence of digital video, a new aesthetic tool that reflects the movement of the object, was closely researched and its conceptual meaning was identified at the same time. Finally, the two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digital video, 'temporality'(video's time-storing quality) and reflecting nature, were also analyzed. As a result, two different methods were used for the image works of this thesis based on the theoretical study conducted above. The traditional painting and digitally captured video images reflected the artist's appearance and illustrated the inner-self metaphorically as well Therefore, inner and outer attributes of an artist were expressed in two different media in a single work. This was based on the conclusion that video is well suited to exhibit the fluidity and randomness of an individual, because video, the time-based media, has consistently changing mechanical properties. The meaning of new technology as a means of self-expression was also recognized by studying the narcissistic psychology, which appears when the reflection of the video serves as a mirror. Two peculiar characteristics of video, 'temporality'(time-based nature) and reflecting quality, were carefully examined, which are respectively a mechanical and psychological attribute of video, as a means to express the self-identity. Finally the video images have combined and added to the watercolor paintings, which rather expresses the artist's inner world subjectively. As the work has came to a completion, it has been paid attention to the aesthetic meaning and physical effect that the new technology has on art. This process has given additional confidence on a completion of the works for this thesis. Expressing fluid and ever-changing one's self-identity and inner world is too delicate, uncertain, and ambiguous to be defined by a single medium or method. An approach to solve this problem was to combine the fleeting nature of video image and the analog-approach of painting. Nam Jun Paik, known as a founder of Video Art, has defined the fleeting, unfixed nature of video image as the result of the 'activity of time'. Combining those time-storing and reflecting nature of video image with a free and active quality of painting is suggested here as one of the best method to express an ambiguous self in the rapidly changing 21st century. Thru the study, a solution was proposed to prevent the kind of problems digital media possibly has such as instantaneousness and randomness in making images and copying works. It is anticipated from this thesis to guide and suggest new possibilities for the promising future works in Digital Ar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ⅷ 제1장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1.2 연구의 내용 및 범위 = 2 제2장 자화상의 이론적 고찰 = 4 2.1 자화상의 배경 및 역사 = 4 2.2 자화상의 종류와 특징 = 10 2.3 자화상의 속성 = 12 2.3.1 시대적 속성 = 12 2.3.2 심리적 속성 = 14 제3장 비디오 자화상(Video Self-Portrait)의 방법적 연구 = 17 3.1 비디오의 배경 = 18 3.2 비디오의 매체(媒體)적 속성 = 22 3.2.1 전자 매체(媒體)적 속성- 시간(時間)성 = 22 3.2.2 심리 매체(媒體)적 속성- 반영(反映)성 = 25 3.3 작가 연구 = 27 3.3.1 비토 아콘치(Vito Acconci) = 27 3.3.2 빌 비올라(Bill Viola) = 28 3.3.3 백 남 준(Paik, Nam Jun) = 29 제4장 작품 제작 = 32 4.1 제작 의도 = 31 4.1.1 자아 고찰 = 32 4.1.2 자아 고찰 표현 = 35 4.2 작품 분석 = 37 제6장 결론 = 49 참고문헌 = 51 Abstract = 5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1971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비디오의 매체 속성을 이용한 자아표현-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x, 5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자인학부시각정보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