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희정-
dc.creator김희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0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0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18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27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18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시의 언술주체가 의미를 실현해 가는 과정을 분석적으로 고찰해봄으로써, 신동엽의 시가 지향하고 있는 바가 무엇인지를 규명해보고자 하였다. 특히 텍스트 자체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통해 신동엽 시의 주제적인 면이 작품의 내적인 형식과 유기적으로 관계 맺고 있는 양상을 밝혀내고자 했다. 신동엽의 시에서 '현실 세계'는 언제나 변혁해야 하는 부정적인 대상으로 나타난다. 이로 인해 신동엽 시의 담화 구조는 언술주체의 현실 변혁 의지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나타난다. 이에 본고에서는 화자 지향적 언술과 청자 지향적 언술, 그리고 화제 지향적 언술의 제양상들을 통해 언술주체가 현실 변혁 의지를 실천해가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Ⅱ장에서는 화자 지향적 언술 속에서 자아가 형상화되는 방식을 살펴보았다. 신동엽 시의 화자 지향적 언술은 자아와 세계의 단절을 체감하는 언술주체에 의해 구성된다. 이때 언술주체는 부정적인 세계에 대한 개인적 대응에 있어 상반된 태도를 보이는 두 유형의 화자를 등장시킨다. 여기에서 세계와의 불화를 극복하지 못하는 화자는 어떠한 전망도 제시하지 못한 채 내적으로 고립되는 모습을 보인다. 이때 언술주체는 현실 극복의 노력을 적극적으로 보여주지 못하는 화자의 절망적인 내면 상황을 부각시킴으로써 수동적인 '자아'의 한계성을 드러낸다. 반면에, 자아를 확장해서 세계와의 화해를 추구하는 화자는 단절을 극복하려는 적극적인 시도를 통해 새로운 전망을 획득해내고 있다. 고립된 자아와 확장된 자아가 보여주는 대립적 태도는 전망의 '부재/획득'이라는 결과적 상황을 통해 '부정/긍정'이라는 이항대립적 상황을 만들어낸다. 여기에서 언술주체는 세계와의 불화를 능동적으로 극복해내는 자아에게 긍정적인 시선을 보냄으로써 이상적인 자아상을 제시하고 있다. Ⅲ장에서는 청자 지향적 언술 속에서 자아와 타자의 관계가 형상화되고 있는 방식을 살펴보았다. 언술주체는 청자 지향적 언술을 통해 세계와의 화해를 추구하는 '자아'가 개별적인 타자들과 직접적으로 관계를 맺는 모습을 전경화시킨다. 여기에서 언술주체가 내세우고 있는 화자는 청자의 성격에 따라 상반되는 두 가지 태도를 보인다. 부정적인 타자들을 향해 발화를 수행하는 화자는 청자에 대해 강한 거부감을 드러낸다. 반면, 긍정적인 타자들을 향해 발화를 수행하는 화자는 청자에 대한 열정적인 사랑을 보여준다. 여기에서 긍정적 타자는 대지적 생명력과 굳건한 의지를 가진 건강한 민중으로 설정되고 있다. 이렇게 타자의 '부정/긍정'에 따라 '강한 거부/열정적 사랑'으로 상반되게 나타나고 있는 화자의 태도는 언술주체가 지향하는 타자가 건강한 민중 집단이라는 것을 명확하게 드러낸다. 언술주체는 대지에 발 딛고 노동하는 인간, 즉 민중들과 자아의 긍정적 연대를 통해 이상적인 타자상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Ⅳ장에서는 화제 지향적 언술 속에서 세계가 재현되고 있는 방식을 살펴보았다. 신동엽 시에서 이러한 유형의 언술은 텍스트의 외부에 존재하면서도 텍스트 내의 상황이나 장면에 주관적 ·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서술 화자에 의해 구성된다. 여기에서 서술 화자는 두 가지 태도를 보여준다. 화자는 훼손된 세계의 모습을 그대로 재현해냄으로써 현재적 상황에 내재하는 폭력의 구조를 드러내거나, 상상적 비젼을 통해 현실 세계의 폭력과 억압, 착취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적인 세계의 모습을 그려낸다. 현실 세계와 이상적 세계 사이에 존재하는 '부정/긍정'의 이항대립은 언술주체가 지향하는 세계가 조화롭고 평화로운 공동체적 삶이 구현되는 평등주의적 사회라는 것을 보여준다. 언술주체는 현실 상황의 부정성이 지양되고 극복되는 세계의 상상적 비젼을 통해 이상적인 세계상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장에서는 Ⅱ, Ⅲ, Ⅳ장의 분석을 통해 드러난 언술주체의 의미실현 양상을 종합적으로 고찰해 봄으로써, 신동엽 시의 '담화 목표'가 궁극적으로 독자들에게 세계 변혁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신동엽의 시를 민중시 · 참여시로 파악할 수 있게 해주는 형식적 구성 원리는 이렇게 독자를 현실 변혁의 행위로 유도하는 방식을 통해 드러난다. 신동엽 시의 언술주체는 양가적 시선을 통해 이상적 자아상과 이상적 타자상, 그리고 이상적 세계상을 제시함으로써, 독자들에게 부정적인 세계에 대한 개인적 · 집단적 대응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세계 변혁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살펴본 것처럼, 신동엽 시의 주제적 측면은 작품의 내적 구조와 유기적으로 관계 맺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기존의 논의들은 그것이 찬양일변도를 보여주는 것이든, 맹렬한 비판을 보여주는 것이든, 이러한 이중적 작업, 즉 시의 내적 구조와 주제적 측면에 대한 동반적 연구를 소홀히 했다는 점에서 동일한 한계를 보여주었다. 이에 본고는 시의 언술주체가 보여주는 다양한 언술의 실현 양상들을 구체적인 작품 분석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신동엽 시의 전략과 지향을 규명해보았다.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Shin Dong-yeup's poems intended to by analytically examining the aspects that a subject of discourse in poems realized the meaning.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matic aspects that Shin Dong-yeup's poems were systematically related to intrinsic forms by focusing on analysis of the text of his works itself. In Shin Dong-yeup's poems, the actual world always represents a negative object that has to be revolutionized. In consequence, a discourse structure of Shin Dong-yeup's poems is closely related to the will of a subject of discourse to revolutionize the reality. Therefore, this thesis examined the process that the subject of discourse realizes its will to revolutionize the reality by looking into the patterns of speaker-oriented discourse, listener-oriented discourse, and theme-oriented discourse. In chapter two, it is studied the patterns that a self has been taken shape in speaker-oriented discourse. Speaker-oriented discourse of Shin Dong-yeup's poems is made up of by the subject of discourse that recognizes breaking-off between the self and the outer world. At this time, the subject of discourse lets two types of speakers, who have contrary attitudes each other about the way to face to the negative reality for themselves, appear. At first, the speaker who cannot overcome the discord with the reality appears to be isolated from the reality and confined in inner world without any prospect. By emphasizing the speaker's desperate inner state, the subject of discourse reveals a limit of a passive 'self' that does not make any effort to cope with the reality. On the other hand, the speaker, who seeks to harmonize with the reality by expanding the self, acquires new prospect through the active attempt to overcome breaking-off with the reality. The opposing attitudes between the isolated self and the expanded self create the binary opposite situation, 'negative/positive', through consequential situation, 'absence/acquirement' of prospect. Here the subject of discourse suggests an ideal image of the self by sending positive eyes to the self that actively overcomes breaking-off with the reality. In chapter three, it is examined the patterns that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 and the other has been taken shape in listener-oriented discourse. The subject of discourse foregrounds the picture that the 'self', trying to reconcile with the reality, directly makes relationship with individual others through listener-oriented discourse. At this point, speakers made stand by the subject of discourse show two contrary attitude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listeners. A speaker narrating to negative others reveals strong hostility toward the listener. On the other hand, a speaker narrating to positive others expresses ardent love toward the listener. Here, the positive others are represented as the crowds with sound mind that have enormous vitality and strong will. The speaker's contrary attitude that shows 'strong hostility/ardent love' according to the others' 'negative/positive' represents clearly that the others that the subject of discourse intends to is the crowds with sound mind. What the subject of discourse wants to mean is to represent the image of ideal others by emphasizing the positive solidarity with human beings that are laboring on the earth, that is, the crowds, and the self. In chapter four, it is studied the patterns that the reality is reemerged in theme-oriented discourse. In Shin Dong-yeup's poems, this type of discourse is composed of by a narrating speaker who intervenes in the situation or scene within the text in a subjective or active way, though the subject is outside the text. At this point, the speaker shows two attitudes. The speaker reveals a structure of violence underlying in the present by making the destroyed reality reappear, or pictures an ideal world that there is not any violence, suppression, and exploitation existing in the real world through imaginative vision. The binary opposition of 'negative/positive' lying in between the real world and ideal world represents that the world that the subject of discourse is longing for is a society where the principle of equality is observed and all the people can live each other harmoniously and peacefully. The subject of discourse intends to show the ideal image of the reality through an imaginative vision that negativeness of the reality can be denied and be overcome In chapter five, the research examined synthetically the aspects of the subject of discourse's realization of meaning that were reveal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revious chapters, and then it is found out that 'the aim of discourse' of Shin Dong-yeup's poems is ultimately to suggest the direction about how to change the world to readers. The formal principle that Shin Dong-yeup's poems are identified with poems of the crowds or socially activistic poems is revealed through the way to lead readers to an action for the reform of the reality just like this. The subject of discourse in Shin Dong-yeup's poems intends to give a direction to confront negative world individually or as a group to readers by offering the ideal images of 'self', 'the other' and 'the world', and based on this, ultimately to suggest a direction to revolutionize the reality. In conclusion, it is found that the thematic aspect of Shin Dong-yeup's poems is systematically related to the inner structure of the works. Existing arguments, whether they admire his works or severely criticize them, have a limit, concerning that they did not discuss the issues that inner structures of poems and thematic aspects should be examined at the same time. Consequently, this thesis identified Shin Dong-yeup's poems' strategies and intentions by examining various aspects of discourse represented by the subject of discourse in his works through concretely analysis of his work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ⅲ Ⅰ. 서론 = 1 A. 연구사 검토 및 문제 제기 = 1 B. 연구 방법 = 5 Ⅱ. 화자 지향적 언술과 이상적 자아상의 제시 = 11 A. 자아의 내적 고립과 전망의 부재 = 11 1. 불확정적 언술과 부재 의식의 심화 = 12 2. 과거 시제를 통한 단절의 가시화 = 18 B. 자아의 확장과 전망의 획득 = 26 1. 변형된 독백과 소통 의지 = 26 2. 감각을 통한 대상과의 합일 = 39 Ⅲ. 청자 지향적 언술과 이상적 타자상의 제시 = 47 A. 부정적 타자와 강한 거부 = 47 1. 화자의 우월적 위치와 비판적 거리 형성 = 48 2. 명령형 동사 '가라'와 제거 의지 = 57 B. 긍정적 타자와 공동체적 연대의 확립 = 65 1. 화자와 청자의 대등적 관계와 낭만적 동일시 = 66 2. 청유형 동사 '하자'와 동반적 행위의 촉구 = 77 Ⅳ. 화제 지향적 언술과 이상적 세계상의 제시 = 86 A. 훼손된 세계와 폭력의 구조 = 87 B. 이상적 세계와 평등주의의 구현 = 93 1. 상상적 비젼을 통한 전망의 제시 = 93 2. 허구적 인물을 통한 유토피아의 재현 = 100 a. '이야기하는 쟁기꾼'과 '대지' = 100 b. '신하늬'와 '하늘' = 105 Ⅴ. 신동엽 시의 언술 전략과 세계 변혁의 방향 제시 = 111 Ⅵ. 결론 = 116 참고문헌 = 118 ABSTRACT = 12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7308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신동엽 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iv, 12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0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