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2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金美映.-
dc.creator金美映.-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43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43Z-
dc.date.issued1981-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78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24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782-
dc.description.abstract예술가가 보는 것은 사물의 외형이 아닌 이미지일 뿐이다. 조형예술이 지적인 이해로 이루어지기보다는 視覺的 체험에서 시작된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예술가가 보는 이미지란 무엇인가? 연구자는 지금껏 광범위하고 애매하게 이해된 채 받아들여지고 있는 이미지에 대하여 깊이 사고해 볼 필요성을 가지게 되었다. 이미지란 어휘가 가지고 있는 본 뜻을 이해하기 위하여 고찰하였고 이를 시각적 이미지에 투시해 봄으로써 사물의 형상화를 위한 근거를 마련하는데 의의가 있다. 그 이론을 기반으로 작품제작의 과정에서 미적 체험과 표현의 가치를 규명해 보려는 시도가 본 연구의 목적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이라는 대상을 주제로 설정하고 그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한 知的, 視覺的 체험을 서술하고자 한다. 산이라는 대상에서 얻은 이미지를 화폭에 그대로 재현한다면 이미지는 어떤 본래적인 생명력을 잃고 만다. 어떠한 경우에도 이미지는 감각세계의 再現(repre´sentation)이라고 말할 수 없다. 이미지의 본질이 바로 예술의 근원적 意志인 自由의 可動的 힘이기 때문이다. 山에 대한 이미지는 하나의 靜的이고 劃一的인 의미만을 내포하지 않는다. 여러개의 의미를 향하여 나아가는 생명력이 있다. 과거와 미래를 향하여 뻗어 나가는 힘을 지닌 이미지이다. 주관적 체험을 말하자면 산과의 관계가 原初的인 것으로 느껴져 어떤 根原的인 세계를 상상하게 된다. 나의 存在가 美意志에 참여한다. 본 연구에서 제기되는 산은 한국의 山이라는 特殊性과 보편성의 문제가 개입된다. 산의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하여 명백히 한 것은 특수성과 보편성이 개념을 뜻하는게 아니라 동일한 성격 즉 상관관계의 개념이라는 것이다. 결국 특수성은 보편성의 연장선상에서 나타난다. 본 연구에 있어서 山의 이미지의 형상화는 그 보편성을 표현한 것이다. 이와같은 산의 이미지를 형상화하고, 작품제작을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염색에 의한 표현은 그 材料의 특성으로 역동적인 이미지를 표출할 수 있었고, 특히 번지고 겹치는 기법의 효과는 산의 볼륨감의 형성에 매우 적절하였다. 둘째, 이미지를 표현하는데 있어서 그 대상을 이해한다기보다는 체험하는 것으로 봐서 연구자의 산에 대한 시각적 체험의 형상화는 최초의 이미지로부터 새로운 이미지가 생성되었다고 본다. 즉 역동적이고 적극적인 산의 이미지이다. 셋째, 하나의 이미지가 염색으로써 표현될 때 어떤 美的인 체험을 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즉 심미적 대상으로서의 가치를 체험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렇듯 염색은 심미적인 대상으로서도 아름다운만큼, 그 소재의 부드러운 특성이 생활주변의 자연스러운 디자인으로 모색될 수 있으리라고 본다. 따라서 연구자는 앞으로 이미지의 연구를 계속하면서 이 방향의 가능성을 타진해 보려고 한다.;What the artist sees is not the appearance of the object, but an image for the reason that the formative arts begin not by intellectual understandings but by visual experiences. What is the image that the artist sees? I have a necessity to think of an image which has been understood extensively and obscurely until now, so that I try to find the basis for forming the image of the object, by studying the meaning of the image through references and by projecting the meaning on visual image.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find the universality of aesthetic experience and the value of the expression, in the process of the production of the work using the theory as a tool. Therefore, I try to describe intellectual and visual experience to express the image with the object, the mountain. If the image which is gained from the object, the mountain is reproduced on a canvas as it is, the image will lose the original vitality. In any case, the image cannot be said to be the representation of sensory world. The essence of the image is the movable force that is the essential will of the art. My image of the mountain does not imply uniform and static meaning, but has the vitality going toward various meanings. This image has the force stretching for the past and the future. Subjectively speaking, I imagine a certain essential world with the original feelings of the mountain, and my being participates in aesthetic will. My image of the mountain involves the speciality and the universality which is the mountain in Korea. It should be obviously defined to express the image of the mountain that the speciality and the universality does not imply the conception, but the same character, that is, the conception of mutual realitions. As a result, the speciality emerges from the extended line of the universality. In this research, the formation of the image of the mountain represents the universality which, developed, shows the speciality of the mountain in Korea. The result which is gained from the formation of the image of the mountain and the production of the works is as follows: First, the expression using Batik can represent dynamic image by the characteristic of the material. Especially, the technics for spreading and puting one upon another is very effective for the formation of the volume. Second, from the viewpoint of experiencing the object rather than understanding it in the matter of the expression of the image, the formation of my visual experience of the mountain comes from the original image, from which the new image emerges. That is dynamic and positive image. Third, it is possible to get an aesthetic experience when the image is expressed by batik. That is, I can experience the object with aesthetic value. Like this, the batik has aesthetical beauty, and the peculianty of the softness of the material can be developed into natural design of everyday life. So, I try to tap the possibility of this direction, continuing the study of the image. The real persuit of the image can be expressed beautifully by batik. But if this persuit of the image can be expressed especially in an image design, great possibility can be mad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序論 = 1 A. 硏究의 目的 = 1 B. 문제의 提起 = 2 C. 연구방법 및 범위 = 2 Ⅱ. 理論的 背景 = 4 A. 시지각의 회복 = 4 B. 이미지의 現象 = 7 C. 山의 이미지 = 15 Ⅲ. 山의 이미지 形象化 = 26 A. 표현매체에 대한 고찰 = 26 B. 山의 이미지 형상화 = 30 Ⅳ. 作品製作 및 分析 = 37 A. 작품제작 = 37 B. 작품분석 = 45 Ⅴ. 結論 = 59 참고문헌 = 61 ABSTRACT = 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08911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
dc.subject이미지 형상화-
dc.subject작품제작-
dc.title山의 이미지 形象化-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作品製作을 中心으로-
dc.title.translatedStudy on the formation of the image of the mountain-
dc.format.pagevii, 6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응용미술과자수전공-
dc.date.awarded198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