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홍덕경-
dc.creator홍덕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40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40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70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23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703-
dc.description.abstract색채는 미술의 영역뿐만 아니라 우리 생활의 모든 분야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나날이 물질문명이 발달함에 따라 색채의 중요성이 더욱 두드러지고 있다. 우리 생활 주변에서 색채의 중요성이 증대되는 관점에서 볼 때, 초등학교 색채지도는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고 할 수 있겠다. 이를 위해서는 학교 현장에서는 교육의 질을 관리 강화해 나가기 위해서는 현장 교육의 질을 결정짓는 요소의 하나인 교과서가 중요한 관건이 아닐 수 없다. 본 논문은 제 7차 교육과정에 의해 개편된 우리나라 초등미술 교과서를 통해 색채교육의 내용과 참고작품의 특징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미국에서 활용되고 있는 미술 교수·학습 자료 중의 하나인 Adventures in Art와 비교하면서 우리의 교육현실을 충분히 고려함과 동시에 보다 바람직한 개선안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두 교과서를 비교한 결과 미국 색채교육 내용의 가장 큰 특징은 색의 다양한 변화를 탐색하고 표현하는 과정을 통해 다양하고 풍부한 색채감각을 기르고 있다. 여러 가지 재료로 밝고 어두움의 변화를 나타내어보고 유채색에 무채색을 섞어 색의 변화를 나타내어 보는 활동을 통해 단순히 색채이론을 학습하는 활동이 되지 않고 창의적인 활동과정을 통해 색에 대한 지식과 감각을 얻고 색의 다양한 활동 능력을 길러내고 있다. 또한 학습 문제나 방법을 제시하는데 있어 매우 구체적이며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학습에 필요한 구체적인 방향 제시가 잘 되어 있다. 반면 한국 색채교육의 특징은 1, 2학년에서는 색채교육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3학년부터 색채교육을 시작하고 있다. 또한 색의 원리나 개념의 구체적인 설명들이 결여되어 있으며 표현활동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국과 미국 초등미술 교과서의 색채교육 내용과 참고작품의 분석을 통한 한국 초등미술교과서의 새로운 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1, 2학년의 실제적이고 구체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색채단원의 도입이 필요하다. 둘째, 체계적인 색채 이론수업과 합리적인 색채 혼합 연습교육을 중시해야 한다. 셋째, 색채단원의 표현활동에 대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지도 방법이 개발되어져야 한다. 넷째, 생활 속에서 효과적으로 색채의 기능을 적용하고 활용능력을 계발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다섯째, 색채학습의 내용에 적합한 참고작품의 선정 및 제시가 요구된다. 여섯째, 교과서의 색채 정확도를 확립하기 위하여 색채데이터를 정확하게 재현·관리를 할 수 있는 색채시스템에 의한 점검과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개선방안은 아동에게 색채를 정확하게 인식시킬 수 있고 나아가 그들의 생활을 윤택하게 함은 물론 장차 독창적인 예술 활동을 하는데 근원이 될 것이다. ;Colors are important not only in art but also in every area of our life, and they become more and more important as civilization develops. As it is, it is very significant to educate the elementary students on colors. On the other hand, schools are oblige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education which must be determined by textbooks. With such basic conceptions in mind, this study was aimed at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color units of our elementary art textbooks edited under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the reference art works in comparison with "Adventure in Art" one of the art learning materials in the United States, and thereupon, suggesting some desirable reform measures for our art education in consideration of our educational reality. As a result of such a comparativ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color units of the US textbook encourage students to sharpen and enrich their sense of colors through exploration and expression of diverse color variations. In other words, the US children are urged to learn about colors and sharpen their color sense through creative activities such as testing the light and shade of various materials, mixing chromatic colors with achromatic ones to vary the colors. Furthermore, the US textbook presents very specific learning problems and methods to invoke students' interest and suggests specific directions for learning. Meanwhile, until third grade color units are not included in the korea text book. furthermore, it is only focused on expressing activity and lacks in explaining the fundamental idea or theory. As a result of comparatively analyzing the contents and reference art works of the art textbooks between Korean and the United States, the following reform measures are suggested as below; First,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color unit for guiding 1st and 2nd graders effectively and specifically. Second, a systematic color theory and a reasonable color mix education are important. Third, it is required to develop a systematic and effective pedagogics for color expression activities. Fourth, it is essential to develop the programs encouraging students to apply the colors to their ordinary life. Fifth, it is required to select proper reference art works suitable for the color units. Sixth, it is necessary to manage and check the color system which reproduces the color data precisely in order to ensure a precise color representation in the textbooks. It is hoped that with the above reform measures implemented, our children would be able to perceive the colors correctly, and furthermore, enrich their life and nurture their potential as creative artists in the futu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ⅳ-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7737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한국과 미국 초등미술 교과서의 색채교육내용 비교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 15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04.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