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한은영-
dc.creator한은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32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32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69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21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690-
dc.description.abstractThe goal of an art education in complex modern society is not limited to the appreciation of pure formative arts, but also is extended to mental development to facilitate inner change and maturation. Hence the significance of a holistic educational approach in art education has been studied. In recent years, art education has gained ground for its therapeutic importance in assisting the formation and expression of self-recognition and self-concept in psychological domains or clinical settings. Self-recognition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important psychological developments in infancy. However, compared to post-childhood research, studies of how infants develop self-recognition are restricted due to the limited conceptual ability and expressive language skills of infants. Research on the same topics in developmental disabled children has encountered similar difficulty. The development of positive self-concept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sociality, and it can serve as inner strength to help handicapped children cope with their disability and provide motivation to improve their future.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disabled children to seek out therapeutic and educational methods which will encourage them to discover themselves through holistic development. Art can be an important mode for disabled children to express themselves. Those who have difficulty in voicing themselves due to limited language skills and frequently experience failure benefit greatly from art activities. In addition, voluntary art activities with various materials and expressive techniques can help to promote positive self-concept by allowing children to express and uprear repressed feelings present in their unconscious mi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rt activities on self-concept and social skills of a child with developmental disorders in a non-instructive environment using diverse materials and techniques. The study was carried out for 40 sessions over a 6 month time period between November 2003 and April 2004.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 7 year-old child with overall developmental delay. Minimal instruction by the investigator was presented to the child to allow for the child's voluntary self-discovery, and art activities which explored various materials in different ways by using the whole body were presented. All of the child's art activities were analyzed for evaluation. Changes demonstrated by the subject before and after the art activities were followed according to the evaluation method by Henley (1992). Persons, houses and trees drawn by the child before and after the session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assess the child's self-concept, the self-concept test adapted by Jaebong Kim (1986) from ‘I Feel... Me Feel’ (Bently and Yeatts, 1974) was used. The investigator employed Social Skills Rating System (SSRS, Gresham and Elliott, 1990) to measure the subject's social skills. The SSRS was adapted by Hyunok Park (2003) and it can be appropriately applied to age, sex, degree of disability and so forth. The results of providing the developmentally disordered child with art activities using various materials and techniques in non-instructive settings are as follows. First, as the 40 sessions of art activities proceeded, it was noticed that the child became progressively active and expressed her opinions to the investigator, attempting to voluntarily choose materials and activity contents. The child showed an increased ability for self-expression in such a way that she assigned a title to a piece of art she made and created a corresponding story consistent with the subject of her art work. It was also observed that basic concepts were expanded and the amount of expressive vocabulary was gradually increased through continuous and appropriate usage of acquired vocabulary together with physical experience. Second, in analyzing test scores gathered on self-concept before and after the activities in non-instructive environments with various materials and techniques, it was found that the test score after the activities turned out to be lower than that before the sessions. Considering the subject's developmental age, it can be proposed that through the series of art activities an unreasonably high level of self-concept was adjusted and the child was able to objectively see herself. Therefore, the result can be interpreted such that the child progressed in a positive direction during the course of development. Third, art activities in a non-instructive atmosphere with various materials and techniques positively influenced the social skills of the child in both school and home settings. Based upon the results listed above,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art activities in non-instructive milieu with various materials and techniques had a positive effect on a developmentally disordered child's self-concept and social skills. Before the art activity sessions, the child tended to have a negative self-concept. Her frequent experiences of failure and her limited expressive skills caused her to have difficulty relating herself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By introducing creative art activities tailored to her needs, she was motivated to freely express herself. It will be necessary to provide the child with small group activities in order for her to maintain and further develop social skills. These skills will enable her to establish interaction-based, positive relationship with her peer group utilizing the confidence built during the art activity sessions with the investigator. ;현대의 복잡한 사회 속에서 예술 교육의 목표는 단순히 조형적 아름다움만을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보다 내적인 변화와 발전을 꾀하는 정신적 성장에 그 가치를 두고 있다. 그리하여 미술교육의 영역 안에서 전인 교육적 의미를 찾고 있으며, 보다 최근에는 심리학적 영역이나 임상적 영역에서 자아 인식과 자아 개념의 형성과 표현을 돕기 위한 치료적 의미를 부가하게 되었다. 자아에 대한 인식은 유아기의 중요한 발달 과정의 하나라 볼 수 있다. 하지만 유아기의 자아 발달에 대한 연구는 유아의 제한된 개념적 능력과 언어 표현 능력으로 인해 아동기 이후의 연구에 비해 제한되어 있다. 마찬가지 이유로 발달이 지체된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자아발달에 관한 연구의 어려움을 설명할 수 있다. 긍정적 자아개념의 발달은 사회성과 상호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어서 장애아동의 장애 극복의 내적 힘이요 미래를 개척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될 수 있으므로, 장애아동의 전인적 성장을 위해서 장애아동 스스로 자아를 발견해 낼 수 있도록 도와주는 치료·교육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언어표현능력이 낮고 잦은 실패경험으로 자신을 드러내지 못하는 장애아동에게 미술은 중요한 자기표현 수단이 될 수 있으며, 다양한 재료와 표현 기법을 사용한 자발적 미술활동은 아동의 무의식에 억압된 감정을 표출, 승화시킴으로써 긍정적 자아개념을 발전시키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전반적인 발달이 지체된 만 7세 아동을 대상으로 2003년 11월부터 2004년 4월까지 약 6개월 동안 40회기의 미술활동을 계획하여, 비지시적 환경에서 다양한 매체와 기법을 사용한 미술활동이 발달장애 아동의 자기표현능력의 변화와 자아개념, 그리고 사회성 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아동의 자발적인 자아의 발견을 돕기 위해 연구자는 아동에게 최소한의 지시만을 주었고, 몸 전체를 사용하여 다양한 미술재료를 다양한 방법으로 탐색할 수 있는 미술활동을 계획하였다. 평가를 위해 아동의 전체 미술활동 내용을 분석하였고, 헨리(Henley, 1992)가 제안한 평가법에 의해 미술활동 전후 대상 아동의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아동이 미술활동 전후에 그린 사람, 집, 나무 그림을 비교, 분석하였다. 아동의 자아개념검사 도구로는 벤틀리와 예츠(Bently & Yeatts, 1974)가 제작한 ‘I Feel...Me Feel’이란 자아개념 검사를 김재봉(1986)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고, 아동의 사회성 기술을 측정하기 위한 사회성 기술 측정 척도(Social Skills Rating System: SSRS)는 그레샴과 엘리오트(Gresham & Elliott, 1990)가 개발한 연령과 성, 장애상태 등에 적절히 적용할 수 있는 검사도구로 박현옥(2003)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발달장애 아동에게 비지시적 환경에서 다양한 재료와 기법을 사용한 미술활동을 적용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40여회기의 미술활동이 진행되어감에 따라 미술활동 중 소극적이었던 아동의 태도가 점차 적극적으로 변하여 자신의 의견을 교사에게 말하면서 자발적으로 재료와 활동 내용을 선택하려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었고, 자신이 만든 작품에 스스로 제목을 붙이고 일관된 주제로 이야기를 이끌어 가는 등 자기 표현 능력이 향상되었으며, 신체 경험과 함께 습득한 어휘들을 지속적으로 적절히 사용하여 기본 개념이 확장되고 표현 어휘수가 점차 증가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둘째, 비지시적 환경에서 다양한 매체와 기법을 사용한 미술활동 전후의 자아개념검사 점수를 분석해 보면, 오히려 미술활동 이후 자아개념검사 점수가 더 낮아짐을 볼 수 있었다. 이는 아동의 발달 연령을 고려할 때, 터무니없이 높았던 아동의 자아개념이 미술활동을 통하여 자신을 좀 더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됨으로써, 좀 더 현실적으로 평가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발달선상에서 볼 때,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비지시적 환경에서 다양한 매체와 기법을 사용한 미술활동은 아동의 학교에서와 가정에서의 사회성 기술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볼 때, 비지시적 환경에서 다양한 매체와 기법을 통한 미술활동이 잦은 실패 경험으로 부정적 자아개념을 갖기 쉽고 자신의 의사를 적절한 방법으로 표현하지 못하여 주변 환경과 관계 맺기 어려운 발달장애 아동에게 아동의 자유로운 자기표현을 유도하고, 자신의 욕구를 바탕으로 창조적인 미술활동을 함으로써 아동의 자아개념과 사회성 기술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다. 아동의 사회성 기술을 유지,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소그룹 활동이 후속적으로 제공되어 연구자와의 미술활동을 통해 얻게 된 자신감을 바탕으로 또래와의 상호작용 속에서 적절한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도와줄 필요가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3 C. 연구의 내용과 방법 = 3 Ⅱ. 이론적 배경 = 6 A. 자아의 출현 = 6 B. 아동기 자아의식의 발달 = 13 C. 자아개념과 사회성과의 관계 = 17 D. 미술치료의 발달적 접근 = 19 E. 특수교육적 미술치료 = 22 Ⅲ. 사례연구 = 32 A. 연구 대상 = 32 B. 연구 도구 = 35 C. 연구 과정 = 49 D. 연구 결과 = 56 Ⅳ. 결론 및 제언 = 113 참고문헌 = 117 부록 = 129 Abstract = 13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7865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비지시적 환경에서 다양한 매체와 기법을 사용한 미술활동이 발달장애아동의 자아개념과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 14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04.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