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2 Download: 0

국내 e-Learning 교수설계자의 역량 조사

Title
국내 e-Learning 교수설계자의 역량 조사
Authors
오은경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공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21세기의 새로운 교육 방식으로 출현한 e-Learning은 IT 기반의 지식 산업으로 각광받으며 많은 관심 속에 성장하고 있다. 그러나 e-Learning이 내실을 갖춘 교육 체제로 성공하기 위해서는 정보기반 인프라와 시설, 제도적 정비뿐만 아니라, 사람들의 의식, 고품질의 교육 컨텐츠, 그리고 이를 통합 연결하는 e-Learning 인적자원 등의 구성요소가 제대로 갖추어져야 한다. 그 중에서도 인적자원은 실제로 e-Learning을 이끌어 나가는 핵심 요소이므로, 성공적인 e-Learning의 구축과 실행을 위해서는 반드시 적절한 인력 구성이 갖추어져야 한다. 특히, e-Learning 교수설계자는 교육 컨텐츠의 교수설계를 담당할 뿐만 아니라, e-Learning의 설계, 개발, 운영, 관리 과정에 관여하면서 다른 인력 구성원들과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테크놀러지와 교육 두 세계를 연결하는 가교 역할을 담당하므로, e-Learning 프로젝트가 원활히 진행되기 위해서는 e-Learning 교수설계자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이다(Siemens, 2002). 따라서 e-Learning의 성공적 구현과 실행을 위해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차원에서 교수설계자를 육성하고, 역할을 정립해 나갈 필요가 있으며(강무섭, 2002), e-Learning 교수설계자가 성공적으로 직무를 수행하고 능력을 계발할 수 있도록, 직무 수행에 필요한 e-Learning 교수설계자의 역량을 조사, 규명할 필요가 있다. 교수설계자의 역량 표준안 중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는 훈련, 수행 및 학습 표준안을 위한 국제 협회(IBSTPI: International Board of Standards for Training, Performance and Instruction)에서 제시한 IBSTPI(2000) 교수설계 역량 표준안(IBSTPI ID Competencies Standards)을 들 수 있으며, 이는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교수설계자의 역량 모델로 간주되어, 해외에서는 IBSTPI 교수설계 역량을 평가, 검증하거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연구들이 이미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들이 1986년과 1998년의 IBSTPI 교수설계 역량 표준안에 대해서만 다루었으므로, e-Learning이 반영된 2000년 IBSTPI 교수설계 역량에 대한 국내외적 연구가 필요할 것이며, IBSTPI 교수설계 역량 모델의 문화적 보편성을 검증하여 국내 환경에서 e-Learning 교수설계자에게도 적용 가능한지 탐색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 한편으로 e-Learning 인적 자원과 관련한 그 동안의 국내 연구들이 주로 교수자, 운영자를 위주로 이루어졌으므로, 국내 상황에 맞는 e-Learning 교수설계자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는 IBSTPI(2000) 교수설계 역량 표준안을 기반으로 국내 e-Learning 교수설계자의 역량 수준과 역량 중요도를 조사해 봄으로써, e-Learning 교수설계자를 위한 직무 수행 지침을 제공하고, e-Learning 교수설계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른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e-Learning 교수설계자의 역량 수준과 역량 중요도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국내 e-Learning 교수설계자의 직무 유형에 따라 역량 수준과 역량 중요도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국내 e-Learning 교수설계자의 직급에 따라 역량 수준과 역량 중요도에 차이가 있는가? 넷째, 국내 e-Learning 교수설계자의 소속 기관에 따라 역량 수준과 역량 중요도 에 차이가 있는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IBSTPI(2000) 교수설계 역량 표준안에서 제시한 교수설계 역량 23 항목과 수행 지침 122 항목을 연구자가 번역하고, 16인의 교육공학 전문가로부터 국내 e-Learning 교수설계자의 역량 조사용으로 타당한지 검증 받은 후, 30인의 현직 e-Learning 교수설계자를 대상으로 파일럿 테스트를 실시하여 신뢰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 배포 및 회수 방법은 e-Mail 방법을 사용하였고, e-Learning 기업체, 기관, 단체 목록 105개를 최종적으로 확보하여 각 기관에 설문지를 배포한 후, 총 101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분석에 적합하지 않은 설문지를 제외한 총 95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에 이용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연구 문제 1번의 경우 평균과 표준편차를 사용하여 이를 토대로 순위를 산출하였고, 연구 문제 2번 ~ 4번은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e-Learning 교수설계자는 IBSTPI(2000) 교수설계 역량 표준안에서 제시한 역량들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양호한 역량 수준을 보유한 것으로 평가하였으나, 역량 중요도 인식과 비교해 보면,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현재 역량 수준과 중요도 인식과의 격차를 비교/진단한 후, 현재 수준이 중요도에 비해 많이 떨어지는 역량은 훈련을 통해 향상해 나갈 필요가 있다. 또한 IBSTPI가 필수(essential) 수준이라고 명시한 역량에 대해서는 국내 업무 환경에서 전문성 수준을 다시 한번 평가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IBSTPI(2000) 교수설계 역량 표준안을 국내 e-Learning 환경에 적용할 때에는 그대로 따르기 보다는 본 연구에서 밝힌 국내 e-Learning 교수설계자의 중요도 인식을 기반으로 각 역량의 의미와 중요성을 재해석하여 직무 수행에 반영해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e-Learning 교수설계자의 직무 유형을 관리형, 설계형, 운영/평가/컨설팅 유형으로 분류하여 역량 수준과 중요도의 차이를 검증하고, IBSTPI가 제시한 교수설계자의 4가지 역할에 따른 역량과 종합하여 각 직무 유형에 따라 다음의 역량을 갖출 것을 제시하였다. 먼저, 관리형 교수설계자는 커뮤니케이션, 윤리적/법률적 문제의 규명/대처, 교수설계 프로젝트 계획/관리, 업무 관련자/팀원의 협력 촉진, 비즈니스 기술 적용, 조직의 목적을 프로젝트에 반영과 관련한 역량을 갖추고 있어야 하며, 본 연구를 통하여 특히, 윤리적/법률적 문제를 규명하고 해결하는 역량을 검토, 보완할 것이 요구된다. 설계형 교수설계자는 커뮤니케이션, 지적재산권 존중, 학습자 분석, 환경 분석, 테크놀러지 분석, 교수자료 개발, 업무 관련자와 협력, 조직의 전략/목적을 교수설계에 반영, 교수관리 시스템의 설계, 프로그램 활용과 관련한 역량을 갖추어야 하며, 본 연구를 통하여 특히, 윤리적/법률적 문제의 규명과 관련한 역량을 향상하는 훈련을 실시할 것이 요구된다. 운영/평가/컨설팅형 교수설계자는 커뮤니케이션, 연구방법론, 학습자 분석, 환경 분석, 요구분석, 성찰, 프로그램의 효과 평가/측정, 조직의 전략을 반영, 정책 결정자와 협의, 프로그램 활용과 관련한 역량을 갖추어야 하며, 본 연구를 통하여 특히, 요구분석 역량을 향상하는 훈련을 실시할 것이 요구된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e-Learning 교수설계자의 직급을 관리자급, 사원급, 임시직의 3 집단으로 분류하여 역량 수준과 중요도의 차이를 검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각 직급별로 다음의 역량을 검토, 보완할 것을 제시하였다. 먼저, 관리자급 교수설계자는 교육이 아닌 다른 해결책 제시, 팀구성원들의 협력 촉진, 비즈니스 기술 적용, 조직의 전략을 반영, 인재 채용/관리/개발, 재정 계획/관리 방안 제시, 정책 결정자의 지원 유지와 관련한 역량을 검토, 보완할 필요가 있다. 사원급 교수설계자는 연구방법론의 적용, 교수자료 개발, 교수-학습 과정을 모니터하고 수정하는 역량을 갖추어야 하며, 특히, 교수자료 개발과 관련된 역량과 구체적 수행지침을 상세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 임시직 교수설계자는 전반적으로 다른 직급에 비해 역량 수준이 떨어지는 경향을 나타내므로, 조직에서 임시직 교수설계자를 활용하여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외주 인력 및 아웃소싱(outsourcing) 활용에 대비한 역량 평가 기준을 마련하여 관리할 필요가 있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e-Learning 교수설계자의 소속 기관을 학교, 공공기관, 대기업, 중소기업, 무소속의 5 집단으로 분류하여 역량 수준과 중요도의 차이를 검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각 소속 기관별로 다음의 역량을 검토, 보완할 것을 제시하였다. 먼저, 모든 기관의 교수설계자들은 공통적으로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과 관련된 역량을 갖출 필요가 있다. 학교에 소속된 교수설계자는 내용 전문가와 직접 커뮤니케이션하거나, 학생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직접 활용/서비스할 경우가 많으므로 이와 관련한 부분의 역량을 갖추어야 한다. 대기업 교수설계자는 비즈니스 기술 적용, 요구분석 관련 역량을 검토할 필요가 있으며, 중소기업 교수설계자는 윤리적/법률적 문제 규명, 요구분석 관련 역량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공공기관에 근무하는 교수설계자와 소속이 없는 프리랜서 교수설계자의 역량과 관련하여 기관별로 특성화된 역량이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실제 업무 현장 에서 공공기관과 프리랜서 교수설계자들이 필요로 하는 역량에 대하여 검토, 보완할 필요가 있다.; In the 21^(st) century, e-Learning has appeared as a new education methodology and is spotlighted in the IT industry and the educatinon field. To settle e-Learning as a solid form of education systems successfully, a lot of elements are prepared, which are IT infrastructure, quality content, human resource, etc. As especially the human resource leads the e-Learning, an appropriate manpower composition is very important to have a successful e-Learing. Basically the major role of an instructional designer is to design the educational content. But actually they participate in the various job fields like development, operation, and management. Besides they have a role which links the two different worlds together: the technology and the education. This role is very important to achieve a success of e-Learning(Siemens, 2002). Therefore, to achieve a successful e-Learning, a training program and a clear role definition of instructional designer are required. Besides it is needed to investigate and to identify the competencies of e-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s. One of the famous competencies standards is 'IBSTPI(2000) ID Competencies: Standards' founded by IBSTPI: International Board of Standards for Training, Performance and Instruction. A lot of researches, which verify the IBSTPI ID Competencies Standards or explore the possibility to use it on an actual job environment, been continuously performed. But most researches have dealt with 1986 or 1998 version which is out-of-date currently. The research about new 2000 version is, therefore, required. In addition, the compatibility in the domestic envirionment is needed to be checked. The domestic researches about the human resource in e-Learning have been focused on the instructor and the administrator. Therefore the research about the instructional designer is required. In this paper, the competency levels and the competency criticalities of the domestic e-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s are investigated using IBSTPI(2000) ID Competencies: Standards, which provide the job guideline for them and can be utilized for making an training program.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how are the competency levels and the competency criticalities of the domestic e-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s? Second, are there any differences of the competency levels and the competency criticalities accoding to the job types? hird, are there any differences of the competency levels and the competency criticalities accoding to the job positions? Forth, are there any differences of the competency levels and the competency criticalities accoding to the organization types? To verify the above research questions, first, 23 items of the instructional design competencies and 122 items of the performance statements from IBSTPI(2000) ID Competencies Standards were translated into Korean, and then the items were validated by the 16 specialists in the field of instructional technology and the reliability test, targeted to 30 e-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s, was performed. The questinnaire was distributed and collected via e-Mail. Total 105 organizations including enterprises, universities, public instituions, etc. were selected. Total 101 questinnaire were collected. But some of them which are inappropriate for the analysis were excluded and the rests, total 95, were used to the analysis. In the research question #1, all the items in the questionnaire were sorted based on the the mean and the standard deviation. The research question #2 ~ #3 were verified using one-way ANOVA. The Results and discussion in this s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domestic e-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s have commonly good competency levels. But, from the viewpoint of the competency criticalrities, they need to improve their levels through the training. In addition, we need to modify IBSTPI ID Competencies Standards for applying to Korean situations. In addition, we need to modify IBSTPI ID Competencies Standards to raise the compatibility with Korea’s unique situation. Second, the job types of Korean e-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s are categorezied as 3 ones, which are manager type, design type, and impelement/evaluation/consulting type. Manager type should have the following competencies: communication, identifying ethical and legal issues, effective project management, promotong collaboration, linking efforts to organizational goals, and business skills. Especially, manager type strongly needs to have competencies related with identifying ethical and legal issues in this study. Design type should have the following competencies: communication,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alysis of learner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current/emerging technology, developing instructional materials, linking efforts to organizational goals, collaboration, designing instructional management system, and effective implementation. Especially, designr type strongly needs to have competencies related with identifying ethical and legal issues and should be trained for improving competencies. Impelement/evaluation/consulting type should have the following competencies: communication, research methods, analysis of learner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needs assessment, reflection, evaluating interventions, linking efforts to organizational goals, working with stakeholders, and effective implementation. Especially, impelement/evaluation/consulting type strongly needs to have needs assessment in this study. Third, the job positions of Korean e-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s are categorezied as 3 ones, which are manager, staff, and temporary employee. Manager needs to examine and to implement the following competencies: recommending non-instructional solutions, promoting collaboration, applying business skills, linking efforts to organizational goals, recruiting/managing/developing human resources, providing financial plans, and maintaining stakeholder supports. Staff needs to examine and to implement the following competencies: applying research methods, developing instructional materials, monitoring and revising the instructional delivery process. Temporary employee needs to implement their competencies and to be managed by outsourcing policies. Fourth, organization types of Korean e-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s are categorezied as 5 ones, which are universities, public institutions, big enterprises, small enterprises and freelancers. All should have competencies related to effective communication. Instructional designers in university need to improvement their competencies related to effective implementation. Instructional designers in big enterprise need to examine and improvement their competencies related with applying business skills and needs assement. Instructional designers in small enterprise need to examine and improve their competencies related with identifying ethical/legal issues and needs asse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