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장지은-
dc.creator장지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1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1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03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18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030-
dc.description.abstractIn the modern world, particular and inherent character of individual cultures has been vague, and boundaries between them become taken away by mixed cultural patterns and interaction among them, so called, through a globalism. New cultural and social change according to the globalism requires that peoples in the different worlds in the racial and cultural aspect should understand one another and admit their cultural differences and values. Korean social atmosphere, however, appears to be much discriminative against to foreign workers, which is due to national feelings rooted in a particular mono culture and one progeny that Korean are proud of being of. Moreover, Korean people are in favour of Western foreigners, but are discriminative against foreign workers from the third world. Especially, discrimination against foreign women workers is serious, who have worked in the worst condition at the work place and have lived their poor lifes. Now that ten years have past since foreign women workers came this country, they are our neighbour not but simply worker to make money this country. This study attempts to consider a mission for foreign women workers on the ground of the Bible in the missiological perspective. Israel people in the Old Testament made efforts to care strangers and foreigners treating them without discrimination against others who were not of Israel. Like this, the concern for strangers brought Ruth, who was an alien, to one member of the Messianic family line. In the New Testament, also Jesus' love for the gentiles offered them the liberation from the religious formalism and the oppressions such as racialism, classism, and sexism. Moreover, he accepted them as God's children. In the midst of the fast changing world, the Christian work for foreign women workers in Korea requires of holistic mission as a mission field overcoming the dualistic missiology with the contrast of 'Evangelization' and 'Humanization'. This holistic mission to foreign women workers needs Christian women' roles touching their hearts than masculinity because Christian women can share common things with them. Pursuing the holistic mission like this, this study examines the present conditions of foreign women workers and analyses the problems of it. And also this study reflects the problems and present situations of mission organizations that are working for them with intention to evangelism and with concern of human right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specific alternatives for the mission to foreign women workers. ;현대사회는 지구화(globalism)의 과정을 통해 모든 문화 양식들의 혼합과 상호작용으로 문화의 순수성이 무색해지고 개체 문화의 경계가 해제되거나 모호해졌다. 이러한 지구화의 새로운 사회문화 변동은 서로 다른 인종과 문화권에서 살아온 사람들에 대하여 다양한 가치와 차이에 대한 바른 이해를 요구한다. 그러나 한국사회는 민족의 고유성, 문화의 단일성 등을 내세운 한 핏줄과 단일민족이라는 정서가 뿌리 깊게 남아 외국인 노동자에 대해 극심한 차별적 태도를 보인다. 더욱이 백인 외국인에게는 우호적이면서 동남아 노동자들에게는 차별을, 그리고 그 가운데서도 외국인 여성 노동자에 대한 차별은 열악한 노동 환경과 삶의 상황 속에서 극대화되고 있다. 외국인 여성 노동자들이 국내에 유입 된지 10년이 지난 지금, 그들은 이제 단순히 돈을 벌고 노동력만을 제공하는 차원에서가 아니라 우리와 함께 살아가는 이웃이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성서적 배경과 선교 신학적 근거를 통해 외국인 여성 노동자 선교를 이해하고자 한다. 구약성서의 이스라엘 백성은 나그네 보호를 통해 외국인을 차별하지 않고 동등하게 대우하기 위해 힘썼으며, 그들의 이러한 나그네 보호는 이방여인 룻을 예수의 족보에 오른 여인 중에 하나가 되게 한다. 또한 예수의 이방인에 대한 사랑은 당시의 종교적 관습에서 해방시켜 구시대의 인종적, 계급적, 성적차별을 파기하고 이방인도 같은 하나님의 자녀로 받아들이고 있다. 외국인 여성 노동자 선교는 교회나 단체의 선교가 아니라 하나님의 선교이다. 또한 '복음화'와 '인간화'의 이원론적 대립을 극복한 통전적 선교이며, 최근 새롭게 이해되는 도시선교의 장이다. 그리고 본 논문을 통해 미래의 교회에서는 외향적이고 힘이 있는 남성의 역할보다는 내면적이고 섬세한 여성의 역할을 더욱 요청하게 된다는 여성 선교의 필요성도 밝힌다. 또한 외국인 여성 노동자들이 열악한 환경 속에서 당하는 여러 문제를 살펴보고 외국인 여성 노동자를 위해 사역하는 선교 현장을 찾아 사역단체의 활동내용을 소개하며 그 가운데 발생하는 문제점을 조사한다. 외국인 여성 노동자의 문제는 우리 모두가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긴급한 현실이자 과제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도 인권의 사각지대에 방치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교회와 기독교 단체들 역시 외국인 여성 노동자의 문제에는 관심을 기울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외국인 여성 노동자 선교를 위한 구체적인 대안으로 교회의 선교적 측면에서의 선교 대안과 사회 봉사적 측면의 대안, 그리고 사회 행동적 측면에서의 선교 대안의 제시를 통해 국내 외국인 여성 노동자 선교에 대해 이해하고자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A. 연구동기 및 목적 = 1 B. 연구범위 및 방법 = 3 Ⅱ. 외국인 여성 노동자 선교의 성서적 배경과 선교이해 = 8 A. 외국인(여성) 노동자 선교의 성서적 배경 = 8 B. 외국인(여성) 노동자 선교이해 = 17 Ⅲ. 외국인 여성 노동자의 현황과 문제점 = 28 A. 이주노동과 여성 = 29 B. 외국인 여성 노동자의 유입현황과 고용현황 = 31 C. 외국인 여성 노동자의 문제점 = 42 Ⅳ. 외국인 여성 노동자 선교 사역 현황 및 문제점 = 63 A. 국내 외국인 노동자 지원단체 활동 현황 = 63 B. 외국인 여성 노동자 선교 사역 현황 = 67 C. 문제점 = 72 Ⅴ. 외국인 여성 노동자를 위한 선교 대안 = 75 A. 교회의 선교적 측면에서의 대안 = 75 B. 사회 봉사적 측면에서의 대안 = 80 C. 사회 행동적 측면에서의 대안 = 84 Ⅵ. 결론 = 90 참고문헌 = 94 ABSTRACT = 9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5164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신학대학원-
dc.title국내 외국인 여성노동자 선교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 10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신학대학원 신학과-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신학대학원 > 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