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8 Download: 0

낯선 상황에서 연령에 따른 애착 행동의 차이

Title
낯선 상황에서 연령에 따른 애착 행동의 차이
Authors
김지연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o research the attachment behavioral characteristics(individual attachment behavior and interaction behavior) and reorganizations of Korean 19-25 months infants, this study analyzed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in the situations of SSP systematically and compared the attachment behavior with the dissertation of Kim eunha(2003, 12-18 months infants) for viewing the overall attachment behavior and attachment type(A, B, C). This study experimented 30 infants who are the age of 19-25, fostered by middle-class housewives who are residing Seoul and Kyungki provinces as the subjects and used SSP(Ainsworth et al, 1978) consisting of 8 types of episode regarding to separation and reunion between mothers and children, visits of strangers as the measurement instruments. Also, SSP experiment were recorded and analyzed by VHS. As a matter of data analyses, individual attachment behavior in strange situation was assessed by frequency in the first, and the degree of interaction behavior assessed by 7-scale was analyzed by one-way ANOVA. Based on these analyses, attachment types are classified as types of ABC/D and the differences of each attachment type in terms of individual attachment and interaction behavior were research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ed. First, this study researched on differences between episodes on individual attachment behavior of 19-25 months infants(exploratory behavior and attachment) and interaction behavior(proximity, contact seeking, contact maintenance, resistance and avoidance). As the result of the research, Exploratory behavior(exploratory manipulation, exploratory locomotion, visual exploration) was viewed as most active before the separation with mothers(episode 2), and it was viewed as most inactive at the moment of second separation with mothers(episode 6). The fact that the crying was shown the least before the separation with mothers(episode 2) and the most in second separation(episode 6) represented meaningful differences of each episode. And contact maintenance and resistance during interaction of episode 8 were shown by the 19-25 months infants with significance. Secondly, after researching on the individual attachment behavior and interaction with regard to the age groups, 19-25 months infants showed more about exploratory locomotion of episode 3 which is the situation of the first visit of the strangers and the exploratory locomotion and exploratory manipulation of episode 5 which are the situations of the first reunion with mothers in the case of attachment behavior. In the case of interaction, the 19-25 months infants showed less about contact maintenance of episode 5 which are the situations of the first reunion with mothers. And the patterns of the overall attachment behavior of each episode are similar between two age groups. Thirdly, as the result of attachment type classification of 19-25 months infants, type A holds 20% of the sample, type B holds 66.7%, type C holds 13.3% and type D holds 0%. In comparing the attachment behavior of each episode in the respect of the age group, the interaction of each age was not meaningful in all attachment behavioral types. Finally, as same as the research object of Kim eunha and Ainsworth(12-18 months infants), 19-25 months infants' exploratory and attachment behavior systems were changed depending on separation with their motherss. 19-25 months infants' exploratory behavior systems were more increased and attachment behavior systems were decreased than the 12-18 months infants'. Especially, exploratory locomotion in the situation of visit of strangers(episode 3), exploratory locomotion and manipulation in the situation of the first reunion with motherss had significant meaning depending on the age groups. That is to say, the patterns of each episode depending on the age groups were similar but the frequency and intensity were different. And the 19-25 months infants experienced the developmental changes with the age increase, so they acted more cried less than 12-18 months infants in the aspect of exploratory behavior despite the stressful situations. It represented that the strange situation designed for assessing the 12 months infants' behavior is not appropriate for 19-25 months infants.;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19-25개월 유아의 애착 행동(개별 애착 행동, 상호작용 행동) 특성과 애착 행동 체계의 재조직 양상을 살펴보고자, 낯선 상황 실험에서 나타난 행동 특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전반적인 애착 행동과 애착 유형별(불안-회피 애착, 안정 애착, 불안정-저항 애착) 애착 행동을 김은하(2003)의 12-18개월 유아와 비교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과 경기에 거주하는 중류층 가정의 19-25개월 된 유아 와 그들의 어머니 30쌍이었고 비교 대상으로 김은하(2003)의 연구 대상인 12-18개월 유아와 그들의 어머니 35쌍을 선정하였다. 연구 도구는 어머니와의 분리와 재결합 그리고 낯선이의 방문 등을 내용으로 하는 8개의 에피소드로 구성된 낯선 상황 절차(Ainsworth et al. 1978)를 사용하였으며 낯선 상황 실험은 비디오로 녹화되어 분석되었다. 자료의 분석은 먼저, 낯선 상황에서의 개별 애착 행동을 빈도로 평정한 것과 상호작용 행동의 강도를 7점 척도로 평정한 것을 에피소드 간 일원 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연령 집단에 따라 개별 애착 행동과 상호작용 행동의 차이가 있는지 일원 변량 분석하였다. 또한 상호작용 행동을 토대로 불안-회피 애착, 안정 애착, 불안정-저항 애착, 비조직/비일관 애착으로 애착 유형을 분류하고 애착 유형별 상호작용 행동이 연령 집단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일원 변량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낯선 상황에서 19-25개월 유아의 개별 애착 행동(탐색 행동, 애착 행동)과 상호작용 행동(근접성 및 접촉 추구, 접촉 유지, 저항, 회피)이 에피소드간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개별 애착 행동의 경우 탐색 행동(탐색적 이동, 탐색적 조작, 시각적 탐색)은 어머니와 분리되기 전 둘만 있는 에피소드 2에서 가장 활발하다가 어머니와 두 번째로 분리되는 에피소드 6에서 가장 저조하게 나타나 에피소드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애착 행동(울기)는 어머니와 분리되기 전 둘만 있는 에피소드 2에서는 보이지 않다가 어머니와 두 번째로 분리되는 에피소드 6에서 가장 많이 보여 에피소드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19-25개월 유아는 에피소드 5에 비해서 에피소드 8에서 상호작용 행동 중 접촉 유지와 저항을 유의미하게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령 집단에 따라 개별 애착 행동과 상호작용 행동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개별 애착 행동의 경우 19-25개월 유아는 12-18개월 유아보다 낯선이가 첫 번째로 방문하는 에피소드 3에서 탐색적 이동을 유의미하게 많이 보였고 어머니와 첫 번째 재결합하는 에피소드 5에서 탐색적 이동과 탐색적 조작을 유의미하게 많이 보였다. 상호작용 행동의 경우 19-25개월 유아는 12-18개월 유아 보다 어머니와 첫 번째 재결합하는 에피소드 5에서 접촉 유지를 유의미하게 적게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에피소드별 전반적인 애착 행동의 패턴은 두 연령 집단간에 유사하였다. 셋째, 19-25개월 유아의 애착 유형 분류 결과 불안-회피 애착이 20%, 안정 애착이 66.7%, 불안-저항 애착이 13.3%, 비조직/비일관 애착이 0%로 나타났다. 그리고 애착 유형별 상호작용 행동을 연령 집단에 따라 비교한 결과 연령에 따른 상호작용 행동은 대부분의 개별 애착 유형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제외: 근접성 및 접촉 추구가 불안-저항 애착의 경우 에피소드 8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애착 유형별 상호작용 행동의 강도와 패턴은 연령 집단에 따라 일정하지 않았다. 한편, 애착 유형에 따라 개별 상호작용 행동을 비교해본 결과, 안정 애착 유아는 스트레스 상황에서 어머니를 안전 기지로 사용할 수 있는 것에 반해 불안-회피 유아와 불안-저항 유아는 어머니를 안전 기지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19-25개월 유아는 김은하(2003)와 Ainsworth 등(1978)의 연구 대상인 12-18개월 유아와 마찬가지로 어머니와의 분리 에피소드를 중심으로 하여 탐색 행동 체계와 애착 행동 체계의 활성화 양상이 변화되었다. 그리고 19-25개월 유아는 대부분의 에피소드에서 12-18개월 유아보다 탐색 행동 체계는 증가하고 애착 행동 체계는 감소하였으며 특히, 낯선이가 들어오는 에피소드 3에서 탐색적 이동과 어머니와 첫 번째 재결합하는 5에서는 탐색적 이동과 탐색적 조작이 연령 집단별로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연령 집단에 따라 에피소드별 애착의 패턴은 유사하였지만 행동의 빈도와 강도에 있어서는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19-25개월 유아는 연령 증가에 따라 애착 행동 체제에 있어서 발달적 재조직화가 일어나 같은 스트레스 상황이라도 19-25개월 유아가 12-18개월 유아보다 탐색 활동을 더 활발히 보이며 더 적게 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낯선 상황 절차는 두 연령 집단에 상관없이 애착 행동 체계를 활성화 시켰으므로 19-25개월 유아의 애착 행동 특성을 분석하기에 적합한 실험 절차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19-25개월 유아의 애착 행동의 빈도와 강도에 있어서 12-18개월 유아와 차이를 보였기 때문에 19-25개월 연령에 맞는 새로운 코딩 체계를 적용하여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보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