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6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주은경-
dc.creator주은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12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12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97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15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978-
dc.description.abstract학습자의 언어는 새로운 정보를 입력하고, 기존의 언어 지식을 수정하거나 재저장하는 등의 끊임없는 활동으로 불완전한 양상을 보이게 된다. 그로 인해 때로는 일관성이 없거나 예견하기 힘든 모순된 데이터를 나타내기도 한다. 연구자는 그들의 이해 능력과 생산된 언어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그 안에 내재되어 있는 질서와 논리를 추론해 내야 한다. 본 논문은 제2언어로서 한국어 학습자들의 조사 '에'의 용법별 습득 순서와 오류 양상에 관한 연구이다. 현행 한국어 교육에서 교수 순서는 학교 문법이나 학문 문법, 한국어 교재에서 다루고 있는 중요도, 한국어 교재와 문학 작품 등에서 나타나는 사용 빈도, 오류 분석 결과 등을 반영하고 있지만 순위와 타당성에 관한 논의 없이 교사의 직관으로 결정되고 있다. 문법 체계를 세울 때에는 형태를 기준으로 다양한 의미 양상에 따라 하위분류를 하지만 교육을 위해서는 의미나 용법에 따라 단계별로 제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하는 명사와 후행하는 서술어에 따라 그 사용이 결정되며 여러 가지 의미를 갖는 조사 '에'의 용법별 오류 양상과 습득 순서를 밝힘으로써 이를 한국어 교육 현장에 반영하여 교수 순서와 교수 내용 선정 시 지침이 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03년 8월부터 10월까지 4개 기관에서 문법성 판단 과업과 이중언어 통사 측정으로 수집된 일본어권 23명, 영어권 16명, 중국어권 21명, 총 60명의 한국어 학습자의 언어 자료를 바탕으로 다음의 사항을 연구하였다. 첫째, 조사 '에'의 각 용법별 습득 순서를 밝힌다. 둘째, 조사 '에'와 관련하여 그 사용과 오류 양상을 파악한다. 이를 위해 원어민 화자의 경우 필수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문맥에서 학습자가 정확히 사용했는지를 보는 필수 경우 분석(obligatory occasion analysis)과 사용되지 말아야 하는 경우에 사용했는지를 판단하는 목표언어적 사용 분석(target-like use analysis), 그리고 학습자가 특정 용법을 사용하는 빈도수를 계산하는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개별 학습자의 정확도를 바탕으로 그룹의 평균을 산출하는 정확도 평균 방법(accuracy means method), 숙달도나 언어권별 집단의 평균을 비교하는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 용법별 습득 순서를 단계적으로 보여주는 함축 척도(implicational scaling) 등의 방법을 사용한다. 조사 '에'는 조사 '에서', '에게', '로/으로' 등과 의미나 용법이 서로 중복되는 부분과 상이한 부분을 동시에 갖는다. 이러한 조사 자체의 특성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모국어 배경이나 기타 언어학적 지식에서의 문법 체계나 표현 등을 과잉 적용하여 조사를 생략하거나 대치, 첨가하는 오류와 구어에서 발음의 유사함으로 조사 '의'와 혼동하는 경우 등이 일반적인 오류의 양상이다. 조사 '에'의 용법별 정확도는 장소, 시간, 수혜, 원인, 나열, 대상, 수단, 관용적 표현 순이었다. 정확도 평균 방법과 함축 도표를 통해서 조사 '에'의 용법별 습득 순서는 장소→시간→대상→단위→수단→수혜→나열→원인으로 밝혀졌고, 용법별 형태소간의 거리를 반영하여 집단화 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 '에'의 습득 순서는 한국어 모어 화자와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에'의 용법별 사용 빈도, 현행 한국어 교재에서의 교수 순서와의 상관관계를 볼 때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여진다. 문법 항목을 교수하기 위한 순서를 정할 때에는 단순성과 규칙성, 오류 분석 결과가 반영된 난이도, 사용 빈도, 일반화 가능성 즉 무표적이고 응용 및 파급 효과가 큰 것을 먼저 제시하는 등의 다양한 요소들과 함께 학습자들의 자연적인 습득 순서가 반영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The teaching order of Korean is decided by the teacher's intuition without considering the validity of the order, even though the importance in Korean textbooks and school grammar, the frequency of usage in Korean textbooks and literary works, and the results of error analysis are reflected in the decision of teaching order in the education of Korean. The contents and the order of teaching particles are also different in every textbook. The grammatical system is sub-categorized according to their various meaning patterns based on their forms, but it is more effective to present them according to the meaning and usage. That is, the particles should not be taught in random order, which simply arranges the usages, but they should be ordered and taught according to the stag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suggest a criterion, which can contribute to the selection of the contents and the order of teaching by clarifying the acquisition order and error types of the particle '에' according to the usages. The meaning of particle '에' is determined by the preceding nouns and the following predicates. The particle '에' shows the aspects of general error types caused by its unique nature as a particle since its meanings and usages overlap with those of adverbial particles, which show slight differences, and by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learner's mother tongue and other linguistic knowledge as well. A total of 60 subjects from 4 institutes were selected for the study. Their Korean learning materials were collected and tested for judgment of grammaticality utilizing Bilingual Syntax Measurement. In this paper, first, the usage and the errors related to the particle '에' were examined, and secondly the developmental patterns according to the usages of the particle '에' were clarified. As for error types, the learners, who have not yet mastered the exact meanings and functions of '에서', '에게', and '로/으로', showed overgeneralization caused by applying the grammatical systems and expressions of their mother tongues and other linguistic knowledge. The error ratios of omission, misinformation, or addition of particles were high, and there were some instances where the learners confused '에' with '의' because of the similarity in pronunciation. As for the errors by the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the reasons and the learners are various, and thus the different methods to teach and correct errors should be applied to the different groups of learners. In this study, accuracy means method and implicational scaling were utilized to clarify the developmental patterns of acquisition according to the usage. First, I tried to find out the general flow of acquisition by the individual accuracy means method, which reflected the frequencies of individuals which were randomly distributed. Secondly, I discovered the concrete order of acquisition by distinguishing the 60 subjects' acquisition of the particle '에' from their failure of acquiring it according to the usages.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individual accuracy means method and implicational scaling showed a slight difference, were owed to the differences in the perspectives of the two methods. One views the whole data as a group and the other as an individual. The acquisition order of the particle '에' revealed in the implicational diagram can be grouped as in <Picture1> below. ◁그림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Picture1> The Acquisition Order of the particle '에' according to the usages. The developmental pattern of the particle '에' shows only a slight difference i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eaching orders in the present textbooks for the Korean language and the frequencies of the use of the particle '에' between the native speakers of Korean and the learners of Korean. This means that the frequency and the teaching order can affect the order of acquisition. When one decides the order of teaching grammatical items, one should consider the learners' natural order of acquisition--on which the acquisition order or the frequency of use might have been reflected--, with the introduction of other various factors such as simplicity and regularity, difficulty level based on the results of error analysis, frequency of use, possibility of generalization, i.e. items which are unmarked and have great effects on application and influence, etc. For this, future studies on the education of the Korean language should be attempted to find out the developmental patterns of acquisition in all the areas of grammar including phonology, vocabulary, pragmatics, and the lik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선행 연구 = 2 C. 이론적 배경 = 5 Ⅱ. 연구 방법 = 12 A. 연구 대상 = 12 1. 피험자 선정 = 13 2. 학습자 언어 표본 수집 = 14 B. 분석 대상 = 19 1. 조사 '에'의 용법별 분류 = 19 C. 분석 방법 = 23 1. 오류 식별과 오류 기술 = 23 2. 데이터 분석 = 26 Ⅲ. 조사 '에'의 용법별 습득 순서 = 29 A. 정확도 평균 방법을 이용한 조사 '에'의 용법별 습득 순서 = 31 B. 함축 척도(Implicational Scaling)를 이용한 조사 '에'의 습득 순서 = 34 C. 단계별 집단화를 통한 조사 '에'의 용법별 습득 순서 = 43 Ⅳ. 습득 단계별 조사 '에'의 오류 양상 = 47 A. [단계1] 에 나타나는 장소, 시간의 오류 양상 = 51 1. 장소 = 51 2. 시간 = 55 B. [단계2] 에 나타나는 대상, 단위, 수단, 수혜의 오류 양상 = 58 1. 대상 = 58 2. 단위 = 60 3. 수단 = 62 4. 수혜 = 64 C. [단계3] 에 나타나는 나열, 원인의 오류 양상 = 66 1. 나열 = 66 2. 원인 = 69 Ⅴ. 결론 = 72 참고문헌 = 75 부록 = 78 Abstract = 9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3909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에'의 용법별 습득 양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 10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