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5 Download: 0

초등장애학생의 중학교 전이에 필요한 기술에 대한 중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인식 조사

Title
초등장애학생의 중학교 전이에 필요한 기술에 대한 중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인식 조사
Authors
차미영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중학교 환경은 초등학교와 달리 다양한 보다 복잡해진 사회적 관계 속에서 한층 높아진 사회적 요구와 보다 어려워지고 복잡해진 교육과정으로 학생들에게는 많은 학업적 요구가 있으며, 교사나 부모로부터 관심은 줄어들며, 새로운 절차, 규칙과 보다 확대된 학교 환경으로 독립적 수행이 요구되는 시기이다. 따라서 많은 변화들이 있는 중학교로의 전이 시기에 장애학생들은 변화된 중학교 환경에 성공적인 적응을 촉진하기 위한 전이 프로그램이 계획되는 것은 중요하다. 전이 프로그램을 계획하는 데 있어, 전이 프로그램을 계획하는 담당자들의 지원과 주변 여건도 중요하지만 장애학생에게 중학교 환경에서 어떠한 기술들이 요구되는지 파악하여 학생들을 미리 준비시키는 활동도 중요하다. 중학교 환경에서 요구하는 기술들은 매우 다양하나, 중요도에 따라 필요한 기술들을 우선순위화 하며 목록화 하는 것은 전이시기에 있는 학생들의 현행 수준을 점검하고 중학교 환경에서 필요한 기술들을 파악하는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어 효율적인 전이 프로그램을 계획시 유용하다고 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생의 장애정도에 따라,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 전이 시 필요한 기술들 중 중요도에 따라 우선순위를 정하여 앞으로의 전이 프로그램과 전략을 계열화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으로 전국의 중학교 특수학급 담당교사 65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으며, 배포된 설문지 중 회수된 412부의 설문지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이 때 사용한 설문지는 중학교에서 필요한 기술과 관련된 여러 문헌들을 토대로 연구자와 특수교육관련 전문가, 중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이 1.2차에 걸쳐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으며, 직접 중학교를 방문, 관찰하고 중학교 특수학급교사와 일반학급 교사와의 인터뷰를 통해 학생들이 매일 겪는 일과에 따라 필요한 기술들을 시간대별로 나누어 필요한 기술들을 포함시켰다. 자료 분석은 각 기술의 영역별, 기술별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여 기술별로 순위화하였으며, 장애정도에 따라 중요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 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등 장애학생이 중학교로 전이 시 필요한 기술의 중요도 및 우선순위는 전반적으로 중학교 특수교사들은 보통 이상의 중요도를 나타냈다. 경도 장애학생의 경우, 전체 45개의 기술 중 중요도 평균 4점이상으로 구성된 상그룹의 기술 28개를 추출하였는데, 그 내용을 살펴보면, 자조기술, 자기관리 기술, 사회성 기술, 기초학업 기술, 이동기술이 고르게 차지하였다. 중도 장애학생의 경우에는 중요도 평균 4점 이상의 기술이 16개로 경도 장애학생에 비해 수가 줄었으며, 그 내용을 살펴보면 기초학업 기술이 경도 장애학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수를 차지하였다. 2. 초등 장애학생이 중학교로 전이 시 필요한 기술의 하위 영역별 중요도에 따른 우선순위를 살펴보면, 경도 장애학생의 경우 자조기술, 이동기술, 자기관리 기술, 기초 학업 기술, 사회성 기술, 공부하기 기술 순이었으며, 중도 장애학생의 경우는 자조기술, 자기관리 기술, 이동기술, 사회성 기술, 공부하기 기술의 순이었다. 두 집단 모두 자조기술과 이동기술, 자기관리 기술영역의 기술들에 높은 우선순위를 나타냈으며, 상대적으로 공부하기 기술에 대한 우선순위는 낮은 편이었다. 3. 장애 정도에 따른 중요도 차이는 유의수준 .001에서 경도 장애학생이 중도 장애학생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장애정도에 따라 각 기술의 영역별 우선순위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학생의 장애정도에 따라 초등 장애학생이 중학교로 전이 시 필요한 기술의 중요도는 차이가 있으나, 각 기술의 영역별 기술별로 중요도에 따른 우선순위에는 차이가 적어 장애정도와 관계없이 전체 집단을 대상으로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 전이 시 필요한 기술들을 중요도에 따른 우선순위에 따라 목록화 하는 것이 의미있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를 기초로 장애학생이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 전이 시 중학교 환경에 성공적인 적응을 촉진하기 위한 전이 프로그램의 내용을 구성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고 본다. ;Most studies to conceptualized and developed transition curricular have focused on the abrupt and often devastating transition from high school to world of work. Recently attempts to expand the concept of transition according to the life cycle. Even though, few studies have explored the need for a transition program to address the transition from elementary school to middle school. In school demands between the elementary school to middle school settings are different. The situation is stressful i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en they face a move from elementary school to middle school. To help reduce the stress associated with change, we look to the future and try to prepare needed skill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rvey the demands of the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transition program from elementary school to middle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iority for each transition skill according to student's disability level to provide basic data for determing priority for each transition skill and for planning curricular contents and sterategies in developing transition skill. For this purpose, six hundred forty sev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from middle schools on Korea. The response rate of the questionnaire was 67.2 percent and the result was analyzed by t-test. Used questionnaire on the basis of literature review of 45 transition skills, 6 sub-categories, including self-care skill, self-determination skill, study skill, mobile skill, social skill, and basic academic skill. The findings were as following In priority for 6 sub-categories on the basis of student's disability level, 45 skills of all 6 sub-categories had significant difference(p< .001). For students with mild disability had high instructional priority than severe disabilities. This discrepancy is not important. When skills over 4 point scale of response "very important" were listed, 21 skills for middle all students with disability. The mild disabilities group rated the 6 sub-categories this order: (a)self-care skill, (b)mobile skill (c)self-management skill, (d)basic academic skill (e)social skill, (f)study skill. The severe disabilities group rated in this order: (a)self-care skill,(b)self-management skill, (c)mobile skill, (d)social skill (e)basic academic skill, (f)study skill. The mild and severe group rated higher self-management skill and self-care skill than the other sub-categories. In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priority for transition skill on the basis of the student's disability levels rated differently. Based on this study, individualized approach for efficient transition that improving independence and functionality of each students with disability in future middle school environment should be carried ou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