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5 Download: 0

자아 해석 양식에서 성차와 사회 불안 및 우울의 관계

Title
자아 해석 양식에서 성차와 사회 불안 및 우울의 관계
Authors
김은경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독립적 자아 해석과 관계적-상호의존적 자아 해석에서의 성차와 암묵적 수준에서 관계적-상호의존적 자아 해석에서의 성차를 알아보고 독립적 자아 해석과 관계적-상호의존적 자아 해석과 사회 불안 및 우울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서울과 경기도 소재 대학생 306명(암묵적 연합 검사는 112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측정 도구는 자기보고식 질문지인 독립적 자아 해석 척도(Singelis, 1994), 관계적-상호의존적 자아 해석 척도(Cross, Bacon, & Moris, 2000), 한국판 사회적 회피 및 불안 척도(조용래, 1999), 한국판 Beck의 우울증 척도(이영호와 송종용, 1991)를 사용하고, 암묵적 연합 검사 실험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 검증과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계적-상호의존적 자아 해석과 독립적 자아 해석에서의 성차를 살펴본 결과, 관계적-상호의존적 자아 해석에서는 유의미한 성차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독립적 자아 해석에서는 여성보다 남성이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가 나타났다. 둘째, 암묵적 수준에서, 관계적-상호의존적 자아 해석에서 유의미한 성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관계적-상호의존적 자아 해석과 독립적 자아 해석과 사회 불안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관계적-상호의존적 자아 해석이 높을수록, 독립적 자아 해석이 높을수록 사회 불안을 부적으로 유의미하게 설명하였다. 그리고 사회 불안에 대한 각 자아 해석의 설명량은 관계적-상호의존적 자아 해석보다 독립적 자아 해석이 더 컸다. 넷째, 관계적-상호의존적 자아해석과 독립적 자아 해석과 우울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관계적-상호의존적 자아 해석이 높을수록, 독립적 자아 해석이 높을수록 우울을 부적으로 유의미하게 설명하였다. 그리고 우울에 대한 각 자아 해석의 설명량은 독립적 자아 해석보다 관계적-상호의존적 자아 해석이 더 컸다. 남성이 여성보다 독립적 자아 해석을 한다는 결과는 선행 연구와 일치하였다. 그러나 여성이 남성보다 관계적-상호의존적 자아 해석을 한다는 선행 연구들과 달리, 이 연구에서는 관계적-상호의존적 자아 해석에서 성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암묵적 수준에서도 관계적-상호의존적 자아 해석에서 성차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볼 때, 우리 나라에서는 관계적-상호의존적 자아 해석에서 성차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선행 연구들과 마찬가지로 독립적 자아 해석은 사회 불안과 우울을 부적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선행 연구들에서 상호의존적 자아 해석이 사회 불안과 우울에 아무런 설명력을 갖지 못하거나 정적으로 설명한 것과 달리, 이 연구에서는 관계적-상호의존적 자아 해석 또한 사회 불안과 우울을 부적으로 설명하는 변수로 나타났다. 이는 독립적 자아 해석뿐만 아니라 우리의 문화 특성인 관계성과 일치하는 관계적-상호의존적 자아 해석을 갖는 것이 심리적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gender and influence of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on self-construal style. 306 undergraduates(112 in implicit association test)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Each participants received a package of the instrument; 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Scale(SADS: Watson & Friend, 1969),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Beck et al., 1967), Relational-Interdependent Self-Construal Scale(RISC: Cross et al., 2000) and Independent Self-Construal Scale(ISCS: Singelis, 1994).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as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in relational-interdependent self-construal. However, males showed to have higher level of independent self-construal than females. (2) There was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in relational-interdependent self-construal in the implicit level. (3)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relational-interdependent self-construal and independent self-construal was significantly negative influence on social anxiety. Independent self-construal explained more than relational-interdependent self-construal on social anxiety. (4)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relational-interdependent self-construal and independent self-construal was significantly negative influence on depression. Relational-interdependent self-construal explained more than independent self-construal on depression.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were discuss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