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4 Download: 0

만2세아의 대물다툼상황에서 갈등해결양상과 교사개입방식 분석

Title
만2세아의 대물다툼상황에서 갈등해결양상과 교사개입방식 분석
Authors
유희정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자유선택활동시간에 만2세아가 대물다툼상황에서 발생하는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어떤 전략을 사용하는지, 갈등해결주체는 누구인지, 갈등해결주체와 종결결과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 갈등상황에서 교사가 개입하는 시점은 언제이고 어떤 개입유형을 사용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대물다툼상황에서 만2세아의 갈등해결양상은 어떠한가? 1-1.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어떤 전략을 사용하는가? 1-2.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주체의 범위는 어떠한가? 1-3. 갈등해결주체에 따른 종결결과는 어떠한가?  2. 대물다툼상황에서 교사의 개입방식은 어떠한가? 2-1. 교사의 개입시점은 언제인가? 2-2. 교사의 개입유형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성남시에 위치한 M어린이집 만2세 학급 21명과 그 학급의 담임교사 3명이다. 연구도구로는 갈등해결전략을 알아보기 위해 Malloy와 McMurray(1996)의 연구와 Eisenberg와 Garvey(1981)의 연구를 기초로 하여 김희진ㆍ이지현1997)이 사용한 관찰범주와 Hartup과 동료들(1988)과Putallaz와 동료들(1995)의 관찰범주를 기초로 사용한 김송이(2001)의 관찰범주를 기초로 하였고, 갈등해결주체가 누구인지에 대한 연구도구는 Laursen과 Hartup(1989)의 연구도구를 참고로 한 박명희(2000)의 관찰범주를 토대로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갈등의 종결결과는 Malloy와 McMurray(1996)의 연구와 예비관찰기록에 근거하였으며 교사개입과 유형의 관찰범주는 고인옥(2002)과 안지령(2000)의 질적연구를 참고로 예비관찰기록을 근거하여 관찰범주를 설정하였다. 관찰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 Pearson 2 검증으로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만2세아들이 대물다툼갈등상황에서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전략으로 순응하기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단순ㆍ주장하기, 무시하기, 울기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이유ㆍ설명하기, 타협ㆍ제안하기, 도움요청하기의 전략은 낮게 사용하였다. 갈등해결 주체는 제3자의 개입으로 갈등을 해결하는 경우가 절반이상을 차지하였다. 그 중에서 교사가 자발적으로 개입하여 해결하는 경우가 많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도움을 요청한 경우는 소수에 불과했다. 교사자발개입 다음으로 영아들 스스로 갈등을 해결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또래가 자발적로 개입하는 경우와 교사와 또래가 함께 개입하여 해결하는 경우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이를 통해 만2세아의 대물다툼상황에서 갈등해결을 위해 또래의 영향보다 교사의 영향이 큰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교사가 자발적으로 개입하여 해결해 줄 때 그 결과는 대물다툼에 참여하게 된 영아들 모두를 만족시키기보다 승과 패로 갈리는 한쪽 영아만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영아들끼리 갈등을 해결하는 경우도 마찬가지 결과로 보여 졌다. 이를 통해 대물다툼결과는 해결주체에 상관없이 대부분 한쪽만 만족하는 종결결과를 가져옴을 알 수 있다. 2. 교사는 영아가 신체적으로 위협을 느낀다고 판단한 시점에 가장 많이 개입 하였으며 그 다음은 영아가 위협을 느끼지 않아도 갈등상황을 바로 목격한 시점, 갈등상황을 목격하여도 천천히 지켜본 후 개입하는 시점, 갈등상황이 영아들끼리 다 해결되었는데도 불필요하게 교사가 다가와서 개입하는 시점 순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이 영아들의 대물다툼갈등상황에 개입했을 경우 다양한 유형으로 개입하여 갈등을 해결하였다. 그 결과 방향전환하기가 가장 높은 순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상황판단하기유형이 나타났으며 만2세 영아를 맡고 있는 교사들에게서 잘 사용하지 않는 유형으로는 위협ㆍ비난하기와 지켜보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which strategies 2-year-old toddlers use when there is a conflict over an object, and who the main conflict solver is. Also, this study was designed to observe if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conflict solver and subjects who were satisfied with the resolved situation after the conflict, when teachers intervene in a conflict, and the types that teachers use to intervene in and settle a conflict. The research questions are the following: 1. How do 2-year-old toddlers resolve a conflict over an object? 1 - a. Which strategies 2-year-old toddlers use to solve a conflict over an object? 1 - b. Who is a main conflict solver? 1 - c. Who are satisfied with the resolved situation after a conflict over an object? 2. How do teachers intervene in a conflict over an object among toddlers? 2 - a. At which point do teachers intervene in the conflict? 2 - b. What are the types that teachers use to intervene in and resolve the conflict? In this study, 21 2-year-old toddlers and three head teachers in the sample toddler classes from 'S' day care center, where is located in Sungnam-Si, Kyungki-Do, participated. To observe the strategies that the sample toddlers used to resolve a conflict over an object , a study of Molly and McMurray (1996), an observation scale of Kim and Lee (1997) that was based on a study of Eisenberg and Garvey (1981), and an observation scale of Kim (2001) that was based on a scale of Hartup and etc (1988) and Putallaz and etc (1995) were used. A revised version of a scale was developed from a study of Park (2000), which was based on a research method of Laursen and Hartup (1989), to observe who a main conflict solver is . Also, a study of Malloy and McMurray (1996) and pre-observation were used to observe who got satisfied with the resolved situation after a conflict over an object. To observe a teachers intervention and the types that the teachers used for the intervention, a scale was developed from a result of pre-observations that was based on studies of Koh (2002) and Ahn (2000). Frequencies, percentage, and Pearsons 2 x 2 chi-square test were used to analyze results of the observ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1. To resolve a conflict over an object , the sample 2-year-old toddlers used a strategy of accepting the most, and then they used strategies of insisting, ignoring, and crying in order. Ho wever, strategies of explaining, compromising and suggesting, and asking for a help were used the least. More than 50 % of the sample showed that a main conflict solver was a third person. Mostly, the sample teachers spontaneously intervened in a conflict to resolve the situation on the other side, small percentage of the sample toddlers asked teachers to help. In the second place, the sample toddlers resolved a conflict situation by themselves. However, little cases like peers spontaneously intervened in a conflict to resolve the situation or peers and a teacher intervene in a conflict were observed. This indicates that teachers are more influential than peers to resolve a conflict over an object among 2-year-old toddlers. When a sample teacher spontaneously intervened in a conflict to resolve the situation, the result was that only one toddler was satisfied with the resolved situation rather than both of the subject toddlers in a conflict were satisfied with the situation. The same result was showed when the sample toddlers resolved the conflict situation by themselves. This shows that there i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who the main conflict solver is and the result that only one toddler was satisfied with the resolved situation. 2. The sample teachers intervened in a conflict situation the most when they conclude d that there would be physical harms. Also, a point right after the teachers witnessed a situation, a point after they took some time before making a move, even though they witnessed the conflict, and a point when the situation was over betw een toddlers were observed in order. The sample teachers showed various types that they used to intervene in and resolve a conflict. They used changing a subject the most, judging the situation, and being on one side in order. However, threatening and blaming, or watching was used the least among the sample teach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