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추영경-
dc.creator추영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47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47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67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06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674-
dc.description.abstractToday we can often see teenagers use a cellular phone to retrieve information or press buttons in the phone to send a message. And we can see those who listen to music with an earphone connected to a cellular phone. These can be results of material affluence obtained during the shift from industrialized to information society, improvement in a living standard due to continuous economic development, and popularization of a new medium called a network. In such an age, teenagers are forming their own consumption culture different from those in the past. The remarkable increase in the amount of pocket money and opportunities to use it allowed them to form an influential consumption group; with the shift from a large family to a nuclear family,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members became democratic, thus increasing teenager consumer's influence on purchase decision-making among the family members. Then there are three reasons why teenagers' consumption behaviors are important. First, a market targeting teenagers had a larger part of entire market than ever, which means they became more important as consumers. Second, as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members becomes more democratic than ever, teenagers' consumption propensity is greatly affecting purchase decision-making among family members. Third, consumption-related experiences as a teenager can determine consumption behavior types in adulthood; moreover, teenagers may take the lead in consumption through network, which can be called digital economy. In addition, consumer education for teenagers should be more aggressive and careful in that they are most sensitive and can do the most active learning activities among other age groups and the consumption behavior type formed in this age can also appear in adulthood. Therefore, from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teenager consumers and their education, it can be very important to implement economic education in a school in order to provide teenagers with desirable solution to consumption problems and nurture desirable future consumers from a long-term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an effect of economic education in a school to enhance teenagers' desirable consumption attitudes as current and future consumers in Korean society. Then, how can a desirable consumption attitude this study intends to emphasize be defined? This should begin with differentiating reasonable consumption from desirable one. The existing reasonable consumption is a concept in which that of desirable consumption is completely neglected; still,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reasonable and desirable consumptions were divided according to efficiency and impartiality or common benefit based on the instruction of the seventh curriculum. What is another notable thing here is that 'desirable consumption' is a new concept which cannot be found in the existing sixth curriculum and which can be found in the instruction of the seventh curriculum sugges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where more importance is put on desirable consumption by defining citizenship targeted by economic education as a 'rational and ethical economic person who can cope with the competition principle in market economy to pursue profits based on efficiency and impartiality and make contributions to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The reason why the economic education in the seventh curriculum puts more emphasis on a desirable consumption behavior is to reconsider the consumers' education in existing economic education limited to reasonable consumption, to require the economy subject to be differentiated from economics, and to emphasize desirable consumption (impartiality) as well as reasonable one (efficiency/common benefit). On this basis, this study aims at indicating that teenagers' actual consumption behaviors are focused on efficiency alone and at analyzing how economic education can contribute to a desirable consumption attitude in maintaining the balance between reasonable and desirable consumption attitud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prior survey to understand teenagers' actual consumption attitudes and a post survey after five classes of economic subject education based on the guides of the seventh curriculum to examine changes in their consumption attitudes; then, it analyzed the change in desirable consumption attitudes by means of t-test. The findings demonstrated that there was positive improvement in desirable consumption attitudes after economic education in a school. Among many indexes of desirable consumption attitudes, there was the greatest change in the attitude toward implementation of economic duties, followed by future-oriented consumption attitude, that in consideration of national economy and policy, and environment- oriented attitude.;오늘날 우리는 청소년들이 핸드폰을 이용하여 정보를 검색하거나, 문자 메시지를 보내기 위해 핸드폰의 버튼을 누르고 있는 것을 흔히 보게 된다. 또한 휴대폰에 이어폰을 끼우고 음악을 듣고 있는 청소년들도 마주치곤 한다. 이와 같은 현상은 산업화 시대를 넘어 정보화 사회로 나아가면서 물질적으로 풍요로워지고, 지속적인 경제 성장으로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네트워크라는 새로운 매체가 대중화되면서 나타난 현상들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시대에 그들은 과거와는 달리 자신들만의 소비 문화를 형성해가고 있다. 재량에 따라 물건을 살 수 있는 용돈의 액수와 사용 기회가 훨씬 더 많아지고, 이로 인하여 청소년들도 영향력 있는 소비자 집단으로 등장하였으며 가족형태가 핵가족 중심으로 변화되고 가족 성원의 관계가 점차 민주적인 관계로 변화되면서 가족 내의 구매의사 결정에 있어서도 청소년 소비자가 미치는 영향력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청소년의 소비 행동이 중요한 이유를 세 가지 정도로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청소년 대상의 시장은 이전에 비해 전체 시장에서 커다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소비자로서의 비중도 커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현대 가족의 구성원의 관계가 과거에 비해 더욱 민주적인 관계로 변화하여 가정에서의 상품 구입 시 청소년의 소비성향이 구매 결정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청소년기의 소비와 관련된 경험들은 성인이 되었을 때의 소비 행동 유형을 결정하며, 나아가 디지털 경제라 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통한 소비를 주도하는 대상이다. 이에 덧붙여 청소년기는 감수성이 예민하고 학습 활동이 가장 활발히 이루어지는 시기이며, 이 기간에 형성된 소비자 행동 유형은 이후 성인이 되었을 때에도 지속적이라는 점에서 청소년 시기의 소비자 교육은 가장 활발하고 신중하게 실시되어야 할 필요성을 갖게 된다. 따라서 점점 증대되고 있는 청소년 소비자의 중요성과 이 시기의 교육의 중요성에 비추어 볼 때, 또한 청소년들이 소비 생활과 관련된 문제들을 바람직하게 해결할 수 있게 하고 미래의 바람직한 소비자를 육성한다는 장기적인 방안에서도 학교에서의 경제 교육은 매우 중요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현재와 미래에 한국 사회의 소비자로서 청소년들의 바람직한 소비 태도를 함양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경제 교육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그렇다면 이 연구에서 강조하고자 하는 바람직한 소비 태도란 어떻게 규정해야 하는 것인가? 그것은 우선 합리적인 소비와 바람직한 소비를 구별하는 것에서부터 출발해야 한다. 이전의 합리적인 소비가 바람직한 소비의 개념을 완전히 무시한 개념은 아니나 이 연구에서는 연구 목적상 합리적인 소비와 바람직한 소비를 효율성과 공익성(공정성)이라는 기준으로 양분화 하였으며 이는 7차 교육과정 해설서의 내용에서 근거한 것이다. 또한 여기서 한 가지 더 주목할 것은 '바람직한 소비'라고 하는 개념이 이전의 6차 교육과정에서는 볼 수 없었던 새로운 개념으로서 이 역시 교육부에서 제시한 7차 교육과정 해설서의 내용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해설서에서는 경제 교육이 지향하는 시민성을 '시장 경제의 경쟁 원리에 적응하여 효율성과 공정성을 바탕으로 이윤을 추구하면서 국민 경제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합리적, 윤리적 경제인' 이라고 하여, 바람직한 소비를 이전보다 부각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7차 교육 과정의 경제 교육에서 바람직한 소비태도를 더욱 강조하는 이유는 이전의 경제 교육에서의 소비자 교육이 합리적인 소비측면에만 치중되었다는 반성이기도 한 것인데 경제 교과는 경제학과는 구분되어져야 할 필요가 있으며, 따라서 합리적인 소비(효율성)뿐 아니라 바람직한 소비(공익성 · 공정성)까지 강조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근거를 토대로 청소년의 현실 소비 행태가 효율성만을 추구하는 소비에 치중되고 있음을 전제하고 합리적 소비 태도와 바람직한 소비 태도가 균형을 이루도록 하는데 있어 경제 교육이 바람직한 소비 태도 함양에 어느 정도나 기여할 수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사전 설문을 통하여 청소년의 현실 생활에서의 소비 태도를 조사하고 이후 7차 교육과정의 지침을 토대로 구성된 경제 교과 교육을 5차시에 걸쳐 실시한 후 다시 사후 설문을 통해 변화된 청소년의 소비 태도를 조사하여 바람직한 소비태도의 변화를 T-test를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 학교에서의 경제 교육 후 바람직한 소비 태도는 이전에 비해 긍정적인 방향으로 향상됨을 발견하게 되었다. 그리고 바람직한 소비태도의 여러 척도 중에서도 가장 변화를 많이 보인 부분은 타인을 고려한 소비 태도였고, 그 다음으로 미래를 고려한 소비 태도, 국가의 경제 및 정책 고려한 소비 태도, 환경을 고려하는 태도, 경제적 의무 이행 태도 순으로 나타났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v I. 서론 = 1 A. 연구 목적 및 필요성 = 1 B. 연구 내용 및 방법 = 3 C. 제한점 = 4 D. 선행연구 = 5 II. 이론적 배경 = 8 A. 소비자 교육 = 8 1. 소비자 교육의 정의 = 8 B. 소비 태도 형성과 학교 소비자 교육의 중요성 = 10 1. 학교 소비자 교육의 의의 = 10 2. 학교 소비자 교육의 목적 = 11 C. 바람직한 소비와 합리적인 소비 = 13 1. 바람직한 소비와 합리적인 소비의 구분 = 13 2. 바람직한 소비와 합리적인 소비의 균형 = 14 D. 바람직한 소비 = 28 III. 연구 설계 = 36 A. 연구 주제 및 용어의 정리 = 36 1. 연구 주제 = 36 2. 용어의 정의 = 37 B. 연구 방법 = 39 1. 문헌 연구 = 39 2. 조사 연구 = 39 IV. 결과 분석 = 44 A. 조사 대상자의 분석 = 44 1. 개인적 특성 분석 = 44 2. 학교 교육의 경제 교육 교과 외의 소비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 46 B. 교육과 변화양상 = 48 1. 경제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의 변화 분석 = 48 2. 경제 교육을 통한 인지적 측면의 변화 = 49 3. 바람직한 소비태도의 변화 분석 = 51 4. 연구 주제별 변화 분석 = 52 V. 결론 및 제언 = 66 A. 결론 = 66 B. 제언 = 68 참고문헌 = 71 부록 = 75 부록1. 설문지 = 75 부록2. 연구 중 실험을 위해 진행할 수업의 내용 : 5차시 = 83 부록3. 경제 교과의 5차시 교수-학습 지도안 = 85 ABSTRACT = 9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4488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경제 교육을 통한 바람직한 소비태도 함양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 9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사회과교육전공일반사회교육분야-
dc.date.awarded2004.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