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나리-
dc.creator김나리-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45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45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39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05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39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기존의 세계교육 이론에 대한 국내외 학자별 연구업적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일반적인 세계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도출해보고자 하였다. 또 이러한 내용을 준거로 하여 한국과 미국의 세계교육 현황을 학교교육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교과서를 통해 살펴봄으로써, 미래사회에 대비한 한국의 세계교육을 올바로 정립하는데 참고가 되고자 한다. 교과서의 분석은 세계교육의 내용별·국가별 비중을 분석하는 양적 분석의 방법과 목차와 공통 주제 지역의 서술 내용을 분석한 질적 분석의 방법을 병행하였다. 우선, 세계교육 학자들의 이론을 종합해본 결과, '세계화' 란 '고도로 발전하고 있는 통신·운송 기술을 배경으로 긴밀한 상호의존과 네트워크를 특색으로 하면서, 모든 나라와 사람들이 국경을 초월하여 삶의 터전을 전 세계로 확대해 가는 현상' 이라고 정의할 수 있고, 세계교육은 '인권과 자유와 같은 보편적 가치의 함양과 함께 이를 확대하여 국제적 이해와 협력, 평화로 이끌기 위한 諸 교육' 이라 정리되었다. 이러한 세계교육의 목적은 그것이 전제하고 있는 세계관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나뉘는데, 첫 번째는 보편적 가치를 바탕으로 한 세계주의적인 시각이고, 두 번째는 개별 국가의 정체성을 인정하는 국가주의적 시각이다. 세계교육의 내용으로는 하위 영역을 크게 지식관련, 가치 및 태도 관련, 기술 및 기능 관련이라는 3범주로 나누고, 지식관련 내용에는 인권의 평등,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지식, 개발, 빈곤, 인구, 무역관계, 생태계 파괴 및 환경문제 등에 대한 지식, 대표적인 국제기구 및 세계체제에 대한 이론적 내용 등이 포함되었다. 가치 및 태도 관련 내용에는 타국 및 타인에 대한 존중, 정의 및 평화 존중, 문화적 상대주의, 개방적 태도, 생태계 보호와 지구 환경 보호에 대한 관심, 협동적 태도 등이 포함되었다. 기술 및 기능 관련 내용에는 정보관리 및 처리 기술, 비판적 사고, 자료수집과 분류, 다양한 의사소통 기술, 창의력과 문제 해결력, 효과적인 참여기술 등이 포함되었다. 한국의 세계지리 교과서와 미국의 세계지리 교과서를 비교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한국 교과서는 독특한 지역 구분 방식과 경제적 측면을 강조한 내용 구성이 특징이고, 미국의 교과서는 대상 지역의 자연환경과 문화적 배경을 통해 그 곳 주민들의 기질에 대한 이해를 돕고 지역의 사회·경제적 특징을 역사적 배경을 통해 기술함으로써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안목을 기를 수 있는 구성이 특징이다. 한편, 양국 모두 최근의 변화상을 전달하기 보다는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사실을 전달하는 수준에만 머물고 있으며 자국과 교류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해서 다루지 않은 것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이상의 분석 결과로 볼 때, 세계교육이 세계화 시대에 대응하는 교육적 노력에 있어 선도적 역할을 수행한다고 한다면, 양국 세계지리 교과서 구성 및 내용체계는 어느 한 부분에 치우친 이해만 가지고는 이룩될 수 없고, 포괄적인 이해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할 것이며, 내용면에서도 주관적이고 자국 중심적인 서술에서 탈피해야 할 것이다. 또한 세계의 각 지역에 관한 지속적인 정보의 수집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면서, 양국 모두 학생 스스로 세계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킬 수 있는 세계지리 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발에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to draw goals and contents of a general global education based on research results that have accumulated both home and abroad. The major research materials are Korean and American textbooks, which are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school education. In this way, this study aims to lay a cornerstone in establishing a desirable global educational system in Korea. The analysis methods consist of quantitative analysis on the content and relative importance of global education in each country, and qualitative analysis on different descriptions of a given area. The aim of global education can be divided into two depending on different world views: first, globalist view based on universal values, second, nationalist view that admits national identity. Under the title of global education, there are three subcategories concerning, first, knowledge, second, values and attitude, and then, third, skills and function. Knowledge part deals with knowledge about equality of human rights, about cultural diversity, about development, poverty, and population, about trade relations, about environmental issues including destruction of ecosystem, and about theories on major international agencies and world institutions. Under the second category of values and attitude is how to develop respect for other countries and people, for justice and peace, for cultural relativism, for open-minded attitude, for protection of ecosystem and earth environment and for cooperative attitude. The third category includes skills of information management, of critical thinking, of research and categorization, of communication, of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and of effective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is thesis on Korean geographic textbook and that of the U.S., Korean textbooks use method of reginal distinction and tend to emphasize economic aspects of a given area, while its American counterparts focus on traits of people on the given area through introduction of its natural and cultural backgrounds. And, by way of introduction of social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it encourages synthetic understanding of the given place. Meanwhile, there are some regrets: the textbooks of both countries stop short of delivering up-to-date changes, but they are rather just conveying already well-known fact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how that, if global education plays a leading role in educational efforts to keep up with globalization, the geographic textbooks of both countries should not be tilted to one side. Rather, it should be written in the way that it can draw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Speaking of content, it should avoid subjective, or self-centered description. Both countries should put great efforts in developing new educational courses and text books of world geography that can deepen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worl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목적 = 1 B. 연구방법 및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7 A. 세계교육의 정의 및 필요성 = 7 B. 세계교육의 목적과 내용에 대한 제 이론 = 13 C. 세계지리 교과서에 나타난 세계교육 = 28 Ⅲ. 한·미 교과서 세계교육 내용의 양적 분석 = 30 A. 세계지리 교과서의 내용 요소에 따른 비중 분석 = 30 B. 세계지리 학습 지역별 빈도 분석 = 37 Ⅳ. 한·미 교과서 세계교육 내용의 질적 분석 = 41 A. 단원별 분석 = 41 B. 한·미 양국 공통 세계교육 주제 분석 = 50 Ⅴ. 결론 = 55 참고문헌 = 61 ABSTRACT = 6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8886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세계지리 교과서에 반영된 세계교육 내용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 6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지리교육전공-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