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구선정-
dc.creator구선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42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42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09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04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098-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investigate the anonymous Korean manuscript 'Chui Mi Sam Seon Rok'. The novel 'Chui Mi Sam Seon Rok' is the story about three princesses by Kwak queen living in the Chuimigoong and the book can be said unique work that the structure or the writing method differs very! with the existent long novel. But, the specific discussion for the work was not achieved, so I wish to define the novel historical spot status of 'Chui Mi Sam Seon Rok' through the analysis of the novel. The work structure of this paper is not consisted in the purpose to seek the absolute authority of the middle ages, but the patriarchal system at that time is criticized through the argument of man and woman's couple discord and ideology and also men gets opposed by making women's world only. Herewith, the structure was consisted of the purpose to arrive in the human's reconciliation and harmony that could be the maximum desire of this work. This work reflects the aspect that is cracking the ethical sense of Confucianism. So, the division of good and evil was not existed, and the realistic person style is showing by enabling the inner transfiguration with appearing the universal humans who are faithful in the human emotion. Women is refusing all obedience for husbands. It is caused in the consciousness that need not to achieve woman's duty strongly if husband does not finish his duty as a husband. Also, this novel's women are recognized the distinction constituents that are emphasized to paternal side and are ignored to woman, then they are solidifying the location by reversing the constituents with woman's ability. So, woman is not passive as a woman who is subject by man. Not only she is solving the trouble by herself, but also she can find her own happiness. Then, she is materialized as a subjective woman. Finally, the novel's historical spot status of 'Chui Mi Sam Seon Rok' is defined by synthesizing the discussions as follows: This work is reappeared to the novel by borrowing the Emperor Gwang Moo Age of the post-Han dynasty. Writer's meaning intention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way of seeing the historic event, this can be known more certainly through the comparison with other long novels that have the background of the equal event. The novel 'Ok Hawk Gi Bong' is considering woman's conduct by evaluating the Queen Gawk contradictorily, but the novel 'Han Jo Sam Song Gi Bong' is criticizing the Emperor Gwang Moo in the viewpoint that supports the Queen Gawk. Not only 'Chui Mi Sam Seon Rok' supports the Queen Gwak, but also it solves the woman's problem through children's life furthermore. Then the writer's consciousness to see the Emperor Gwang Moo Age of the post-Han dynasty can be known to change from the male sight to the female sight. As mentioned above, this work is escaping the pedigree relationship and the conventionalities by changing 180 degree about the forced marriage, the discord between wives, the discord between stepmother and ex-children, and the battle stories which are the main motif of existing long novel. This work emphasizes repeatedly the queen consort's importance. The queen consort's position is the woman's unique right whether she is virtuous or not and also the position can never be changed even if it is threatened by the power of patriarchal system and the power of heaven. When we consider that the novel materializes the woman who dares to break the taboo of the system, the novel 'Chui Mi Sam Seon Rok' is not only the work for a particlar class, but also the novel absorbs readers widely from the upper class to the lower class by the sight opening more and then the work accommodates their interests and desires. In this way, the novel 'Chui Mi Sam Seon Rok' shows the reinforcement of woman consciousness as the Confucian ethics cracks. This is shown the important basis that can clarify the long novel's development and transfiguration aspect that is created the vast quantity in the post-Korea age.;본 논문은 작자 미상의 국문 필사본인 <취미삼선록>을 고찰하기 위해서 시도되었다. 취미궁에 거처하는 곽후 소생의 세 공주에 관한 이야기인 <취미삼선록>은 구조나 창작방식이 기존의 장편소설과는 매우 다른 독특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작품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이루어져 있지 않았기 때문에, 작품의 분석을 통해 <취미삼선록>의 소설사적 위상을 정의하고자 한다. <취미삼선록>의 구조는 남녀의 부부갈등과 이념의 논쟁을 통해서 당시 가부장제 체제를 비판하고, 본 작품의 최대 염원이라 할 수 있는 인간의 화해와 화합에 이르기 위한 목적으로 구성되었다. 갈등의 양상은 부부갈등과 이념에 대한 갈등으로 나타나는데, 우선 부부갈등을 2대에 걸쳐 똑같이 兩妻와 남편의 대결로 설정함으로써, 권위적인 남성들에 의해 여성들의 위치가 위협받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夫和妻順의 도리를 강조하는 날양과 남자가 도리를 다할 때 婦德을 지키겠다는 여읍의 논쟁을 통해서 조선사회를 바라보는 여성들의 이중적인 태도를 알 수 있다. 여성들은 닫힌 현실로부터 탈출하고자 하는 공감대를 바탕으로 하여 취미궁이라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취미궁은 여성을 억압하는 남성들의 일방적인 횡포에 맞서 자신을 보호할 수 있는 유일한 공간일 뿐만 아니라, 그동안 팽팽하게 맞서고 있던 갈등으로부터 인간의 화해가 이루어지는 공간이기도 하다. 본 작품은 표현적 특성에 있어서도 매우 독특한 형식을 보여주고 있다. 작자는 자신의 입장을 강력하게 피력하기 위하여 대화를 극대화하고 있으며, 사물을 통한 연상 작용으로 생동감 있게 상황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발신자의 내면을 서간을 통하여 보여줌으로써 사건의 전개에 있어 중요한 영향력을 행사하게 하고 있다. 본 작품은 유교적인 삶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보여주고 있다. 우선 본 작품은 가문의식이라는 집단의 논리보다는 개개인의 문제에 관심을 쏟고 있기 때문에 관념적이고 유형적인 인물형상에서 벗어나 인간 감정에 충실한 보편적인 인간을 등장시켜 內的 변모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현실적인 인물로의 변화를 꾀하고 있다. 또한 남편의 대한 순종을 거부함으로써, 烈에 대한 상대적 인식을 보여주고 있으며, 유교적인 삶에 충실한 날양을 비극적인 결말로 치닫게 함으로써, 이러한 절대적인 관념이 더 이상 현실에서는 불가능한 것임을 보여주고 있다. 본 작품은 여성인물에 대한 긍정적인 조망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작품의 여성들은 父系에게만 강조되고 여성에게는 무시되었던 차별 요소들을 인식하고 여성의 능력으로 역전시켜서 그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그리하여 남성에 의해 종속된 수동적인 여성이 아닌, 여성 스스로 고난을 해결하고 자신의 행복을 찾을 수 있는 주체적인 여성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취미삼선록>의 소설사적 위상을 정의해 본다. 본 작품은 後漢 광무제 시대를 차용하여 소설로 재현하고 있다. 역사적 사건을 어떻게 바라보느냐에 따라서 작가의 의미지향이 달라진다고 할 수 있는데, 이는 동일한 사건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 다른 장편소설과의 비교를 통하여 더욱 확실하게 알 수 있다. <옥환기봉>은 곽후를 부정적으로 평가하여 여성의 행실을 문제 삼고 있지만 <한조삼성기봉>은 곽후를 옹호하는 입장에서 광무제를 비판하고 있다. <취미삼선록>은 곽후를 옹호할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자녀의 삶을 통해 여성의 문제를 해결해냄으로써, 後漢 광무제 시대를 바라보는 작가의 의식이 남성적인 시각에서 여성적인 시각으로 변모해 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본 작품은 가문의식에서 벗어나 기존 장편소설의 주된 모티프인 늑혼, 처처갈등, 계모와 전처소생간의 갈등, 군담 등을 180도 변형하여 그 상투성에서 벗어나고 있다. 본 작품은 元妃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하고 있다. 元妃의 자리는 절행이 있든, 없든 간에 여성 고유의 권리이며, 가부장제의 권력과 天의 권한으로 위협하여도 절대 변할 수 없는 것이다. 그리고 체재의 금기를 깨는 행위를 과감하게 하는 여성을 형상화하고 있다는 점을 미루어 본다면, <취미삼선록>은 특정한 향유층만을 고려한 작품이 아니라, 상층에서 하층까지 보다 열린 시각으로 독자들을 흡수하여 그들의 관심과 욕망을 수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취미삼선록>은 유교적인 윤리관이 균열되기 시작하면서 여성의식이 강화되어 가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조선 후기 다량으로 창작된 장편소설의 발전과 변모양상을 밝힐 수 있는 중요한 근거가 작용할 것으로 본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ⅲ Ⅰ. 서론 = 1 A. 연구사 검토 및 연구 방법 = 1 B. 서지 및 작품 내용 = 7 Ⅱ. <翠微三仙錄>의 갈등구조와 표현적 특성 = 17 A. <翠微三仙錄> 갈등구조와 해소방식 = 17 1. 갈등의 양상 = 17 가. 兩妻와 남편의 갈등 : 권위적 남성에 대한 여성의 저항 = 17 나. 자매간의 갈등 : 婦德에 대한 논쟁 = 26 2. 갈등해소의 방식 = 28 가. 공존적 공간의 형성 = 29 나. 여성적 삶의 문제 인식과 자각 = 41 B. <翠微三仙錄>의 표현적 특성 = 43 1. 대화체의 극대화 = 44 2. 사물을 통한 상황 유도 = 47 3. 단편 문형의 삽입 = 48 Ⅲ. <翠微三仙錄>의 드러난 의식지향 = 53 A. 유교적 삶에 대한 새로운 인식 = 53 1. 입신양명 방식의 재해석 = 56 2. 烈에 대한 상대적 인식 = 60 B. 여성인물에 대한 긍정적 조망 = 69 1. 친정의 영향력 강화 = 69 2. 여성의 주체적 자아 인식 = 74 Ⅳ. <翠微三仙錄>의 소설사적 위상 = 79 A. 역사적 사건의 소설적 재현 = 80 B. 여성의 관심과 욕망의 형상화 = 89 Ⅴ. 결론 = 93 참고문헌 = 97 ABSTRACT = 10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1681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취미삼선록'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iv, 10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0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