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60 Download: 0

유기적(organic) 생명체의 조형성에 의한 패브릭 디자인

Title
유기적(organic) 생명체의 조형성에 의한 패브릭 디자인
Authors
장지원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텍스타일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고도로 산업화된 현대 과학문명의 발달은 물질의 풍요와 편리한 삶을 인간에게 안겨 주었다. 하지만 자연과 함께 동화되어 살아오던 우리의 공동체적 가치관을 퇴색시켰고, 인간미의 상실과 인간소외라는 역기능을 초래 하였다. 인간은 자연의 일부이며 생성되고 소멸해가는 생명체로써 자연과 분리하여 생각할 수 없는 존재이다. 자연은 우리의 숨결처럼 필연성을 지니지만 문명의 이기심 속에서 자연 그자체로의 중요함과 아름다움을 인지하지 못한채 많은 부분을 손상시키고 있다. 자연은 아주 오래 전부터 예술의 소재로 이용되어 왔고 이러한 자연의 완벽한 아름다움과 원초적인 생명력은 예술적 영감의 원천으로서 예술가들에게 찬사와 모방의 대상이 되어왔다. 생명에 관한 인간의 관심과 욕구는 무한해서 언제나 활기찬 생명력에 대한 욕망과 동경을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맥락에서 많은 예술가들이 자연의 가시적 외관이나 본질적인 섭리를 조형적으로 표현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자연 가운데서 특히 정적이면서도 역동적인 생명력을 지니고 있는 식물에 관심을 갖고 식물의 생명력을 유기적인 형태를 통하여 이미지화 하여 식물에서 느낄 수 있는 생명력을 역동적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유기적 생명력을 상징하는 조형화 한 식물 모티브 이미지를 디자인으로 표현하고 직물에는 평면적인 패턴의 변화에 머무르지 않고 입체적인 요철 감과 그림자 같은 빛이 투영되는 독특한 입체문양 효과를 얻는 수작업이 가능한 번 아웃 가공 실험을 통해 특수표현효과로 조형화 하여 입체적, 실용적, 개성적인 디자인으로 재창조 하고자 하였다. 또한 섬유의 번 아웃된 부분이 투명효과를 얻어 미래적인 느낌의 소재 특성과 중첩에 의한 입체적인 효과를 의도 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자의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먼저 문헌을 조사하여 본 연구의 작품 디자인에 모티브가 되는 유기적 생명체인 식물이미지의 조형성을 알아보았다. 둘째, 생명력 있는 표현을 추구하기 위하여 직물에 입체문양 효과를 얻는 가공법으로 번 아웃 가공실험을 통해 가공의 원리와 용해제의 성질 및 섬유에 대한 용해도를 알아보았다. 셋째, 섬유를 용해 시켰을 때의 투명정도를 살펴보기 위해 황산과 글리세린, 인달 카의 비율을 조절하여 선택한 시료 직물의 적정가공 조건을 알아보았다. 넷째, 소재에서도 셀룰로오스계 파일직물의 종류와 직물종류에 따른 번 아웃 가공 실험연구를 통해 직물의 특성과 성질을 도출해 낸다. 이러한 연구실험 과정에서 먼저 섬유를 용해 시켰을 때의 투명 정도를 살펴보기 위해 황산과 글리세린, 인달카 의 비율을 조절하여 직물의 적정 가공 조건을 정하여 실험 한 결과 황산이 글리세린, 인달카 보다 1:1이상 많을 때 섬유가 깨끗하게 번 아웃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작업에서는 황산과 글리세린, 인달카 가 1:1일 때를 기준으로 황산 반도의 농도를 택하여 작업에 임하였다. 소재는 셀룰로오스계 파일직물 종류에 따른 번 아웃 실험을 통하여 직물 종류에 따라 어떤 변화를 보이며, 본 연구자가 의도한 디자인에 가장 잘 맞는 혼방섬유를 알아보았다. 실험을 통하여 작품 디자인에 있어 쉽게 세탁이 가능하고 가벼운 소재로 염색이 가능한 폴리에스테르와 레이온의 혼합섬유를 선택하였다. 마지막으로, 작품 제작 시 핸드 페인팅 기법을 이용하여 자유롭게 움직이는 생동감 있는 식물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본 연구자는 21세기를 맞이하는 현대사회, 현대여성의 감성을 새로운 감각, 새로운 조형 표현으로 시도하고자 하였다. 식물이 지닌 곡선의 아름다움과 자연의 유기적인 형태를 통해 변화무쌍한 생명의 이미지를 표현 하며, 아름답고 순수한 감성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패브릭 디자인의 표현은 그 소재나 기법에서 표현이 다양하므로 실생활의 디자인에 활용됨 으로서 창의적인 디자인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고 할 것이다. 독창성을 최대한 부여한 입체표면 효과로 자신의 개성을 표출하고 고급화와 내면의 감성을 중요시 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조금이나마 충족시키며, 나아가 고부가가치의 패브릭 디자인을 연구하는데 있다. ;The highly industrialized and scientific modern civilization has brought material ampleness and convenient life to human beings. However, at the same time, the civilization has damaged the corporeal values of humans who have led life in concert with nature, and brought about the loss of humaneness and human isolation. Human beings belong to nature as living beings who are born and gone and cannot be inseparable from nature. Nature keeps the necessity like our breathing but it is being much damaged with its significance and beauty not recognized due to modern conveniences. Nature has been used as material of art from long time ago, and the perfect beauty and the original life of nature have been the subjects of words of praise and imitation as the source of artistic inspiration. Human beings' interest in and desire for life is infinite, so they harbor ambitions and longing for vigorous life all the time. In this context, many artists have expressed the visual appearance or the essential provision of nature in a formative manner. The researcher, with interest in plants specially having both static and dynamic life among nature, also intended to lively express their life by imaging it through organic form. Moreover, the researcher expressed the formalized plant motif image that symbolizes organic life into design, and did not remain satisfied with the changes of textile flat pattern but tried to re-create textile into a cubic, practical, and individual design after formalizing it into special expression through the burnout processing experiment, so that a burned-out part of fabric may get transparency effect and produce a cubic effect when doubled with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having the tint of future-orientedness. The research includes the following procedure: First, the formative value of the image of plant which is organic life as a motif of designing this work was examined through literature review. Second, while pursuing lively expressions, the burnout processing experiment, through which cubic patterns can be utilized for textile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rinciples of processing, the nature of solvents, and the solubility of fabric. Third, the ratio of sulphuric acid, glycerine, and indalka was controlled and the appropriate conditions for processing chosen sample textiles were examined in order to look into the transparency of dissolved fabric. Fourth, the characteristics and nature of textile were derived through the burnout processing experimental research depending upon the kinds of file textile and textile of cellulose system. As a result that the ratio of sulphuric acid, glycerine, and indalka was controlled and the appropriate conditions for processing chosen sample textiles were grasp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transparency of dissolved fabric, it was verified that fabric is burned out clearly when the ratio of sulphuric acid to glycerine, indalka is more than 1:1. The researcher conducted the experiment when the density of sulphuric acid was set on the 1:1 ratio of sulphuric acid, glycerine, and indalka. Blended fabric was used as a material for the experiment because the fabric responds harmoniously to the kind of textile when the burnout experiment was executed on a file text of cellulose system and it is the most suitable to the designing intended by the researcher. Actually, a mixed fabric of polyester and rayon was used during the experiment because it is light and can be easily washed and dyed. Lastly, the plant image, which is moving freely and lively, was expressed using the hand painting techniques when producing works. The researcher attempted to express the sensitivity of modern society and modern women in newest senses and forms in this 21st century. Also, the researcher tried to express endlessly changing life images through the beauty of curve of plant and the organic form of nature, further into the beautiful and pure sense. The expression of fabric design can be re-created into a new design because the materials or techniques of fabric design are varied and the design can be utilized in an everyday practical design. Fabric design shall be continuously researched in such a way that it may express individuality through the most creative cubic expression, satisfy the needs of customers who make much of high grade quality and inner sensitivity, and then add high valu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텍스타일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