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28 Download: 0

한국문화콘텐츠를 응용한 패브릭디자인

Title
한국문화콘텐츠를 응용한 패브릭디자인
Authors
이경남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텍스타일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디지털 기술의 급속한 발달은 모든 디자인의 디지털화를 촉진하고 있다. 온라인 네트워크, 영상압축기술, 데이터 전송 및 저장기술의 발전은 음악, 방송, 게임, 애니메이션, 섬유, 패션 등 다양한 디자인 및 상품에 디지털화를 가능하게 하고, 인터넷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의 공유를 가능하게 하였다. 즉, 디지털 기술은 문화콘텐츠의 제작기술에 있어서 큰 변화를 초래하고 있으며, 동시에 기존의 유통구조에도 혁신적인 발전을 유도하고 있다. 디지털 문화콘텐츠산업은 초기 개발 투자비가 많이 들지만, 디지털화 비용이 없다는 디지털 제품의 특성을 반영하기 때문에 고수익이 기대되는 산업이다. 그리고 디지털 제품은 온라인을 통해 유통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유통비용 또한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세계 각 국은 이러한 디지털 산업의 경제성을 파악하여, 디지털 문화콘텐츠산업의 육성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패브릭 디자인 분야도 이러한 첨단 테크놀로지와 산업의 유통 변화에 대한 이해력 없이는 새로운 디자인이 창조될 수 없으며, 세계적인 시장개척도 불가능하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화와 더불어 이슈가 되고 있는 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섬유산업의 특징적인 작업공정을 디지털화함으로 첨단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근자에 이르러, 우리나라 민화는 그림의 아름다움과 한국적 위상으로 인해 그 가치가 재평가되고 있음은 사실이다. 그러나 '민화'라는 어휘의 개념정립이나 사회학적, 민속사적 의의만 타진되고 있을 뿐, 서구의 텍스타일 디자인처럼 디자인적 측면에서 재해석, 체계화되지 못하고 있다. 민화는 선조들의 생활공간의 장식재, 마감재로서의 역할과 더불어 화가의 개인적인 미관과 그리는 사람, 주문하는 사람이 만들어 내는 공동의 미의식이 가장 잘 표출된 것이므로 민화에서 문화콘텐츠로서의 디자인적 요소를 도출한다. 그리하여 민화에 담긴 한국적인 정체성과 조형 원리를 정성적,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현대적인 인테리어 패브릭 디자인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앞서 말한 디지털화, 세계화의 시대적 흐름을 조사, 분석하여 문화콘텐츠로서 미의식과 정체성을 민화에서 찾아 디지털화하고 현대적인 감성언어로 재해석, 디지털 문화콘텐츠디자인으로 제시하고자 다음과 같이 연구하였다. 첫째, 문화콘텐츠는 문화의 정체성을 기반으로 하여 정보 산업적인 기술로 전환, 재생산하여야 하기 때문에 문화예술의 발전과 체계적인 개념이 없이는 활성화가 될 수 없음을 기존의 국내 문화콘텐츠산업의 사례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또한 해외의 사례를 통하여 고품격의 디자인의 향상을 위해서는 국가적 차원에서의 정책적인 지원, 지속적인 디자인 정체성에 대한 체계 확립과 창조성을 통한 시대성을 반영해야 발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섬유 산업이 문화콘텐츠화 함에 있어서 디자인 방법의 문제가 아닌 취해야 하는 문화콘텐츠 내용의 문제임을 인식하였다. 그리하여 우리나라만이 지니는 고유한 조형의식의 여러 가지 특징을 고찰하여 풍토적, 사상적 배경을 근간으로 한 자연적 인본주의를 한국적 미학의 특수성으로 보고, '한결같음', '담백함', '절로', '비'를 한국적 조형언어로 전제하였다. 셋째, 한국 고유의 디자인 정체성과 민화의 시각적 특징을 토대로 문화콘텐츠로 적극 활용될 수 있는 조형원리로서 주조적 통일, 방사형 균형, 흐르는 리듬, 비대칭의 비례로 정의하였다. 민화에서 사용된 오방색은 인간과 환경의 유기적 관계를 반영한 색채 원리라는 사실에 근거해 상징체계, 도형체계로서 자연색체계의 특성을 지님을 알 수 있었다. 그리하여 민화의 색을 측색하여 서구의 체계화된 대표적인 자연색체계인 헤링(Ewald Hering)의 NCS의 색체계로 이미지 스케일화한 결과 Tone계열의 중명도, 중채도의 부드럽고 편안한 뉘앙스를 지님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한국 문화콘텐츠로서 4가지 조형원리에 근거하여 주제를 정하고 분석된 색채 뉘앙스를 적용하면 한국적이지만 차별화된 인테리어 패브릭 디자인으로 민화가 새롭게 개발될 수 있었다. 또한 다양한 전통색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의식적인 청색과 흰색의 사용으로 보다 단아하고 담백한 이미지와 함께 현대적인 공간감의 효과를 볼 수 있었다. 개발된 디자인을 모듈화하여 고객으로 하여금 다양한 디자인상품으로 재창출하고 디지털화된 생산공정인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 시스템을 활용하여 오프 라인 상으로 제시함으로써 디자인의 표현의 제약을 극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 fast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is promoting digitization of all designs. On-line network, image compressor technology, data transmission and development of save technology made digitization possible to music, broadcast, a game, an animation, textile, fashions various design and a commodity and made share of the digital contents which used the internet possible. That is, digital technology is causing a large change in manufacture technology of culture contents and is inducing innovative development in the existing distribution structure at the same time. Because initial development investment reflects a characteristic of the digital product which digitization cost did not have in settling as for the digital culture contents industry very much, high yield is prospective industry. Because an again digital product has a lot of cases circulated through on-line, there is advantage that circulation expense is inexpensive. World each nation recognizes an economy of this digital industry and is leaning to a lot of effort in a Upbringing of digital culture contents industry. A new design cannot be created without understanding about this high-tech technology and culture in fabric design field, and international market reclamation is impossible. In this research, i wish to ready an opportunity that textile industry can develop by frontier industry. by digitalise diagnostic work process of fiber industry with comprehension about culture heritage To arrive in these days, The value of our country Folk painting is revaluated by beauty of picture and Korean value upswing. However, Folk painting reinterprets only the meaning that Concept thesis of vocabulary called 'Folk painting' or Nothing but is taped sociology, ethnic customs' s sense, Folk painting is not analyzed and reconstructed like West Europe textile design, in design vantage point. Because, Folk painting is a decorations of ancestors life space, a finish and is, That is expressed best, a common esthetic sense that a person to order and a person drawing make together. In this research, I wish to present possibility of modern interior fabric design using quantitative analysis and qualitative analysis method in Korean identify and molding principle that appear to Folk painting. Therefore, in this research, I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above-mentioned digitization, times stream of globalization, and I am going to study as follows in order to reinterpret and digitalize Folk painting that appear Korean traditional sense of beauty and molding anger with a best by a modern sensitivity language. The first, Because culture contents must be based on identity of culture, and must reproduced and converted to the technology that is an information-industry know that through an instance of the existing domestic culture contents industry, without the development that culture-art and systematic concept, activation of culture contents can not succeed Also, see an oversea instance, for luxurious design elevation, assistance of national dimension and system establishment, about continuous design identity and reflection age through creativity are necessary. The second, In culture contents of the textile industry, recognized not a problem of design way but a problem of the contents that you must select. Thus, regard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unique molding consciousness that only our country has and a climate, humanism of naturalism of philosophy background as specificity of Korean a little aesthetics, 'Timelessness', 'Clearness', 'JeolLo', 'Anti-gravity' etc. Can conclude a back by Korean a few molding language. The third, Korean modeling principle that can be utilized culture contents on the basis of Korea unique design identity and modeling language of Minwha, defined as Dominate unity, Radiation balance, Flowing rhythm, Composition of asymmetry. Obangsaek used in Folk painting, can know what carry a characteristic of a nature color system as a symbol system, a diagram system based on the fact called color principle that reflected organic relation of man and environment. As a result that was so done, from the results that image scale anger tried to make a color of Folk painting color system of the Ewald Hering's NCS which was a systematized representative natural color system of Western Europe color system, can know that hold a comfortable nuance of middle brightness and middle chroma in a Tone system. The fourth, If it applies the color nuance that the subject is determined based on four molding principles as Korean culture contents, and was analyzed, Folk painting can newly develop to an interior fabric design with korean style however excellent, be discriminated. also, In spite of several kinds of natural color, can read a grace and a simple image and an effect of space feeling by use of a blue and white more intentionally. Modularization does a developed design, It is done a customer and creates various design commodity again, and then using the digital textile printing system that is a digitalized manufacturing process, with presenting an off line quotient, I can know that I can overcome a restriction of an expression of a desig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텍스타일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