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혜숙-
dc.creator최혜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38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38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66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03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668-
dc.description.abstract개방화된 성문화에 대한 대응이 미비한 상태에서 늘어가는 청소년 성문제의 해결책 중 하나는 학교 성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성교육이 독립된 교과로 개설, 운영되기에는 여러 가지 현실적인 장애가 가로막고 있다. 따라서 교과교육을 통하여 성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청소년 성문제 예방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성교육 관련 교과 중 하나인 과학교과를 통한 성교육의 가능성과 역할을 탐색하여 앞으로의 과학교과관련 성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제 7차 중학교 과학 교과서 7종의 성교육 내용 분석과 중학생 402명을 대상으로 과학교과와 관련된 성지식과 성교육 요구도를 설문조사하였다. 교과서 분석과 설문지 구성을 위해 '과학교과 관련 성교육 영역에 대한 분석틀'을 개발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10.0 Windows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학생들의 성지식과 성교육 요구도의 학년별 차이 분석은 일원배치 변량분석을 하고, 학생들의 성지식과 성교육 요구도의 성별 차이 분석은 t-test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과학 교육과정 중 성교육 내용은 3학년의 '생식과 발생'단원에서만 다루어지고 있었다. 과학 교과서 내 성교육의 내용은 「생식기관 구조 및 기능」영역의 내용을 가장 많이 포함하고 있었고, 그 다음으로 「임신 및 출산」, 「성건강」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과학 교과를 통한 성교육은「생식기관 구조 및 기능」영역 한 측면으로 치우친 경향을 보였다. 둘째, 중학생들의 성지식 수준은 「임신 및 출산」영역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생식기관 구조 및 기능」, 「성건강」순이었다. 학생들의 성지식 수준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높아졌으나 여학생의 성지식 수준이 남학생보다 높았다. 이것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임신 및 출산」에 더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중학생들이 과학교과를 통해 가장 배우고 싶어하는 성교육은 「성건강」영역이었으나 과학교과에서는 거의 다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그러나 과학 교과서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는 「생식기관 구조 및 기능」영역은 이미 선지식을 가지고 있어 학생들은 가장 낮은 요구도를 보였다. 특히「성건강」영역 중 '에이즈 및 성병'에 가장 관심이 많았고, 「임신 및 출산」영역에서는 '인공유산의 위험'과 '기형아 검사와 유전병'에 대하여 성교육을 받기 원하였다. 따라서 사회적으로 문제화되고 있는 이러한 주제는 과학교과의 STS(Science- Technology-Society)적 접근을 통해서 성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과학교과를 통해 성교육이 이루어진다면 보다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성교육 지식을 함양할 수 있으며,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청소년 성문제 예방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따라서 중학생들의 성교육은 생명과학의 시대라는 시대적 흐름과 학생들의 현실적 요구를 반영하여 여러 관련 교과 중 과학교과를 통한 성교육이 적극적으로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중학교 과학교육과정에 「성건강」영역에 대한 내용 추가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임신 및 출산」영역에서도 실제적인 청소년의 성문제와 관련된 내용을 강조하여 포함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 나타난 학생들의 성교육 요구도와 성지식 수준을 고려하여 과학지식을 통한 성교육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이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mpirical data and suggestiohs for the sex education in the science curriculum. Nowadays, even though young students are tasily exposed to adults' sexual environments more than before, the current education does not prepare young students properly for this condition. Considering the current curriculum is already full of diverse subjects, it seems to be difficult to add new subject for the sex education as the requred.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manipulating some parts of the science textbooks for giving needed knowledge of sex. It is the 'Genital organ and function' 'Pregnancy and Delivery' and 'Sexual health' of subjects in the sexual education that are possible to be managed in the science curriculum, which is a required. This study is argued based on an analysis of seven science textbooks on the middle school level and a survey of 402 middle school students regarding to knowledge of sex and their demand for the sex education. The finding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current science textbooks cover three domains of the sex education;'Genital organ and function', 'Pregnancy and Delivery' and 'the Health for Sex' in the order of rates In fact,'reproduction and growth' in the science curriculum deals with few contents of sex education. Second, middle school students have more knowledge of 'Pregnancy and Delivery' than other parts. On the other hands, their knowledge about 'the health for sex' is comparatively narrow In general, girls and higher grade students have more knowledge of sexual matters than boys and lower grades of students. Third, students want to learn about 'the Health for Sex' most; this part is hardly dealt with science textbooks. Next is 'Pregnancy and Delivery', 'Genital organ and Function' is least demanded, and this part currently takes a large part of the science textbooks. The results show that adding new information about 'the Health for Sex' to the science textbooks and reflecting students' understanding and demands for the sex education can make an effective sex education in the science curriculu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Ⅸ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내용 = 3 C. 용어의 정의 = 4 1. 성교육 요구 = 4 2. 성지식 = 4 D.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청소년기와 성 = 5 1. 청소년기의 정의와 특징 = 5 2. 청소년기 성지식의 중요성 = 6 B. 학교 성교육 = 7 1. 성교육의 역사 = 7 2. 학교 성교육의 목표 = 9 C. 과학교과의 성교육 = 15 D. 선행연구 고찰 = 16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20 A. 연구대상 = 20 B. 연구절차 및 방법 = 21 1. 연구 절차 = 21 2. 연구 방법 = 23 1) 과학교과 관련 성교육 영역에 대한 분석틀 개발 = 23 2) 중학교 과학교과서의 성교육 내용 분석 = 25 3) 중학생들의 성지식 측정 및 성교육 요구도 분석 = 25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27 A. 중학교 과학교과서 내용 분석 = 27 B. 중학생들의 과학관련 성지식 수준 분석 = 30 1. 중학생들의 과학교과 관련 성지식 수준 분석 = 30 2. 중학생들의 과학교과 관련 성지식의 학년별, 성별 차이 분석 = 31 C. 중학교 과학교과에서의 성교육 내용 요구도 분석 = 37 1. 중학생들의 과학교과 관련 성교육 요구내용 분석 = 37 2. 중학생들의 과학교과 관련 성교육 요구내용의 학년별, 성별 차이 분석 = 41 D. 중학교 과학교과를 통한 성교육의 방향성 = 51 Ⅴ. 결론 및 제언 = 55 참고문헌 = 57 〈부록1〉중학교 성교육 교사용 지도지침서 = 60 〈부록2〉발달 단계별 성교육 지도 내용 = 63 〈부록3〉설문지 = 74 ABSTRACT = 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5199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중학교 과학교과서 성교육 관련 내용 분석과 중학생 성지식 수준 및 요구도 조사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x, 8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dc.date.awarded2004.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