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혜선-
dc.creator최혜선-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38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38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66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03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667-
dc.description.abstract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 among children's inhibition, day-care, controlling mothering, and children's social withdrawal. In addition, it is to examine the main effects and interaction effects between children's inhibition, day-care, and controlling mothering on social withdrawal. A total of 62 young children(34 boys and 28 girls) enrolled in day-care center and living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their mothers, and the day-care centers we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for children's inhibition was completed by the caregiver. Mothers reported on their controlling parenting twice in 2002 & 2003. Day-care quality and children's social withdrawal were observed in the day-care center. The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wo-way ANOVA, and t-test.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all the variables of day-care(age of entry, negative emotional climate of the day-care setting, positive relationship of caregiver with target child) and controlling mothering(only the data collected in 2002)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children's social withdrawal.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inhibition and social withdrawal. Second, there was the main effect of quality of day-care(composite score by the mean of negative emotional climate and positive relationship of caregiver with target child) and controlling mothering(composite score by the two data collected in 2002 & 2003) on children's social withdrawal. Third, there was interaction effects between children's inhibition and the age of entry to day-care center and between children's inhibition and quality of day-care. Also, the interaction effects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the day-care experience is helpful for the inhibited children not to develop the social withdrawal. In conclusion, the day-care experience and controlling mothering revealed main effects and children's inhibition revealed interaction effects with day-care experience on children's social withdrawal.;본 연구는 아동의 행동억제, 보육경험 및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위축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사회적 위축에 대한 아동의 행동억제와 보육경험,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행동의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를 규명하는데 주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보육경험으로는 보육 시작시기와 아동이 소속된 반의 분위기, 보육교사와 아동간의 긍정적인 관계를 변인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경기지역에 거주하며 현재 보육기관에 다니고 있는 20~63개월 사이의 아동 62명(남아 34명, 여자 28명)과 그들의 어머니 및 아동이 다니고 있는 보육기관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교사가 Achenbach, Edelbrock과 Howell(1987), Larzelere, Amberson과 Martin(1989), Ladd와 Profilet(1996)의 척도중 사회적 행동척도 문항을 참고로 하여 작성된 박성연과 고은주(2003)의 척도를 사용한 설문지를 통해 아동의 행동억제를 응답해주었다.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행동은 Park, Belsky, Crnic과 Putnam(1997), 이미정(1998)의 연구를 참고로 작성된 설문지를 통해 어머니가 1차년도(2002년)와 2차년도(2003년)에 각각 작성해주었다. 보육경험 변인 중 보육 시작시기는 어머니로부터 보고받았으며, 아동이 소속된 반의 분위기와 보육교사와 아동간의 긍정적인 관계는 보육교사와 아동간의 상호작용을 관찰하였다. 또한 아동의 사회적 위축도 관찰자가 아동의 행동을 관찰하여 측정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SPSS 11.0 Program을 사용하였고, 기초분석을 위해서 빈도와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요인분석, Cronbach' α계수를 사용하였다. Pearson 적률상관관계를 통하여 변인들의 관계를 분석하였고, 변인들의 상호작용효과를 밝히기 위해서 이원변량분석과 t-검증을 실시하였다. 모든 유의도는 p< .10 이하 수준에서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사회적 위축은 보육시작시기, 부정적인 정서 분위기와 보육교사와의 긍정적인 관계 및 1차년도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행동과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타인양육의 보육경험을 빨리 시작할수록, 아동이 소속된 반의 정서적인 분위기가 부정적이지 않을수록, 보육교사와 아동간에 긍정적인 관계가 형성될수록 아동의 사회적 위축은 낮았다. 또한 1차년도에 통제를 많이 한 어머니의 자녀일수록 아동의 사회적 위축은 낮게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사회적 위축에 대해 보육의 질(부정적 정서의 반 분위기와 보육교사와 아동간의 긍정적 관계의 합산점수)과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행동(1차년도 통제적 양육행동과 2차년도 통제적 양육행동의 합산점수)의 주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보육 시작시기와 아동의 행동억제는 주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아동의 행동억제는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행동과는 상호작용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보육경험 변인들과 상호작용하였다. '행동억제×보육 시작시기' 상호작용을 나타내어, 행동억제가 높은 아동일 경우 보육 시작시기가 빠르면 사회적 위축이 낮아 행동억제 성향이 높고 보육 시작시기도 늦은 경우 사회적 위축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행동억제×보육의 질' 상호작용을 나타내어, 보육의 질이 나쁜 경우, 행동억제가 낮은 아동은 사회적 위축이 낮았으나 행동억제가 높은 아동은 사회적 위축이 더욱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보육 시작시기와 부정적 정서의 반 분위기, 보육교사와 아동간의 긍정적 관계 및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행동(1차년도)이 아동의 사회적 위축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보육 시기가 빠를수록, 보육교사와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할수록, 반의 분위기가 부정적이지 않을수록, 어머니가 통제적일수록 아동의 사회적 위축은 낮았다. 보육의 질과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행동이 아동의 사회적 위축을 예측하였으며, 아동의 행동억제는 비록 주효과는 나타내지 못하였지만 보육 시작시기나 보육의 질과 상호작용하여 사회적 위축에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행동억제가 높은 아동일지라도 빠른 보육시기나 질 좋은 보육기관에서의 보육경험에 따라 사회적 위축으로 발달하는 데에 있어 달라짐을 나타내 보육경험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시사해 주었다. 본 연구는 아동의 행동억제, 보육경험 및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위축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사회적 위축에 대한 행동억제와 보육경험의 상호작용효과를 규명함으로써 아동의 행동특성이 아동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보육경험이 중재적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6 A. 아동의 사회적 위축의 개념 = 6 B. 아동의 사회적 위축에 관련된 변인 = 10 1. 아동의 행동억제 = 10 2. 보육경험 = 13 3. 어머니의 양육행동 = 18 C. 아동의 사회적 위축에 대한 변인들간의 상호작용 = 21 Ⅲ. 연구문제 및 조작적 정의 = 25 A. 연구문제 = 25 B. 조작적 정의 = 25 Ⅳ. 연구방법 = 28 A. 연구대상 = 28 B. 측정도구 = 31 C. 자료수집 절차 = 36 D. 자료분석 = 36 Ⅴ. 연구결과 = 37 A. 기초분석 = 37 B. 아동의 행동억제, 보육경험 및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위축간의 관계 = 39 C. 아동의 사회적 위축에 대한 관련변인들의 상호작용 = 41 Ⅵ. 논의 및 결론 = 48 참고문헌 = 57 부록 1 연구대상 아동의 보육기관 및 보육교사의 특성 = 72 부록 2 ORCE 관찰지침(부분발췌) = 73 부록 3 전체 연구변인들간의 상관관계 = 77 부록 4 어머니용 설문지(부분발췌) = 78 부록 5 보육교사용 설문지(부분발췌) = 81 부록 6 관찰기록지(부분발췌) = 82 ABSTRACT = 8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4932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아동의 행동억제, 보육경험 및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위축간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ix, 8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소비자인간발달학과-
dc.date.awarded200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