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1 Download: 0

펜션의 분포와 입지 유형 분류 연구

Title
펜션의 분포와 입지 유형 분류 연구
Authors
박희정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생활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주 5일 근무제의 도입과 함께 확대된 여가 기회는 국내 여행 수요를 급속도로 증가시키면서 추가적인 여행숙박시설 공급을 부추기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최근 펜션의 등장은 기존의 여행숙박시설을 대체하는 새로운 숙박시설로서 각광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여행숙박시설인 펜션의 공간적 분포를 시계열적으로 살펴보고, 펜션의 입지 요인을 분석하여 펜션의 입지에 따른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먼저 펜션의 분포 특성을 살펴보면, 2000-2001년은 펜션의 도입기로서 2000년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펜션이 등장하기 시작했으며, 2001년에는 강원도 지역으로 펜션의 분포가 점차 확대되는 경향을 보였다. 2002년 이후는 펜션의 성장기로서 전체 펜션의 80% 이상이 이시기에 집중적으로 설립되었다. 특히 강원도 평창, 횡성, 홍천 지역과 경기도 가평, 양평 지역, 충남 태안과 제주도 지역에 펜션이 선택적으로 집중하여 나타나고 있다. 2002년 이후 펜션은 도입기의 주요 분포 지역을 넘어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 등지로 점차 확대·분산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으나, 경상도와 전라도 지역은 다른 지역에 비해 펜션의 성장이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펜션의 입지요인 분석을 위해 70여개 펜션 운영자들을 표본 추출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를 토대로 인자분석을 실시한 결과, 펜션 부지 및 기반설비 인자, 자연관광자원 및 산악형 레저활동 인자, 문화관광자원 인자, 구릉지형 레저활동 인자, 집적·교통 지향 인자, 하천형 레저활동 인자, 법규적 규제 인자, 설립자 연고지 인자 등의 8개 인자가 추출되었다. 인자분석에 의해 추출된 8개 인자들의 인자득점을 변수로 가중군집분석을 실시하여 펜션을 5개의 유형(A, B, C, D, E)으로 분류하였다. 각 그룹의 유형별 특성과 지역적 분포를 살펴보면, A 유형은 하천 및 구릉지형 레저활동 유형으로 평창, 인제 등 강원도 지역 일부와 양평, 남양주, 안성, 가평 등 경기도 지역이 이에 해당된다. B 유형은 문화관광자원 유형으로 북제주, 남제주 등 제주도 지역과 태안 등 충청남도 지역, 평창 등 강원도 지역이 포함된다. C 유형은 법규적 규제 및 펜션 설립 기반 요소 유형으로 북제주, 남제주 등 제주 지역과 양평 등 경기도 지역, 춘천 등 강원도 지역이 포함된다. D 유형은 집적·교통 지향 및 설립자 연고지 유형으로 가평, 양평, 안성 등 경기도 지역이 이에 해당된다. 마지막으로 E 유형은 자연환경 및 산악형 레저활동 유형으로 횡성, 평창, 홍천 등 강원도 지역과 남양주, 포천 등 경기도 지역이 포함된다. 국내 펜션 관련 자료의 부족과 공식적인 협회의 부재로 인해 본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 1000여개로 추정되는 국내 펜션의 정확한 규모를 파악하기란 쉽지 않았다. 또한 입지 요인 분석에서 시·공간적인 제약으로 인해 모집단에서 충분한 표본추출이 이루어지지 못한 점은 본 연구의 한계점이라 하겠다. 따라서 향후 펜션에 대한 정확한 기준이나 법 규정이 마련된 상태에서 펜션의 규모나 경영 방식에 따른 공간적 분포에 관한 연구와 입지특성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Recently the number of pension has been dramatically increas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tourist and leisure industries supported by the development of traffic, a rise in household income and a change in lifestyl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distribution of pension through time-series and geographical analyses and to analyze the location factor of pension to categorize by its characteristics. Firstly, the time-series analysis of pension showed that the number of pension increased rapidly from 2002 to 2003. The geographical analysis proved that pensions are optionally distributed in the areas such as Pyung-chang, Heong-sung and Hong-chun in Kangwon province, Ka-pyung and Yang-pyung in Kyung-gi province, Je-ju islands and Tae-an in Chung-choung province. Secondly, in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about 70 pension owners chosen by a sampling method to analyze the locations factors. According to a factor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of questionnaires, 8 factors were abstracted; site and basic facilities, natural tourism resources and leisure activities for mountains, cultural tourism resources, leisure activities for hill areas, easiness of transportation, leisure activities for rivers, legal regulations and owner's personal connection. After that, the given pensions were divided in 5 categories through a weighted cluster analysis regarding the point of these 8 factors as variables. Then this study examined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by category and region of these 5 groups of A, B, C, D and E. Type A is leisure activities for rivers and hill areas including Pyung-chang and In-je in Kang-won province and Yang-pyung, Namyangju, An-sung and Ky-pyung in Kyung-gi province. Type B is cultural tourism resource including North Je-ju and South Je-ju in Je-ju islands, Tae-an in Chung-choung province and Pyung-chang in Kang-won province. Type C is legal regulations and site and basic facilities including North Je-ju and South Je-ju in Je-ju islands and Yang-pyung and Chun-choun in Kyung-gi province. Type D is the easiness of transportation and owner's personal connection including the regions like Ka-pyung, Yang-pyung and An-sung in Kyung-gi province. Lastly, Type E is leisure activities for mountains including Pyung-chang, Heong-sung and Hong-chun in Kangwon province and Namyangju and Po-choun in Kyung-gi provi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