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6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권정미-
dc.creator권정미-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31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31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87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99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879-
dc.description.abstract경피내시경하 위루술(Percutaneous Endoscopic Gastrostomy; 이하 PEG)은 구조적으로나 기능적으로 정상인 위장관을 가지고 있으나 다른 원인으로 장기간 경구 영양섭취가 곤란한 환자들에서 흔히 시행되고 있는 경장 영양법이다. 시술이 비교적 용이하고 시술에 따른 사망률과 이환율이 낮다는 PEG의 효율성에도 불구하고 영양관 폐색, 소구 누출, 영양관 이동, 시술부위의 감염, 출혈 등의 합병증들이 보고되었다. 그 중에서도 가장 빈도가 높고 문제가 되는 것은 시술부위의 감염으로 그 위험인자와 예방을 위한 항생제의 투여 등에 대한 연구들이 보고되었으나 논란이 있다. 이에 저자들은 본원 소화기내과에서 PEG를 시행 받았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합병증의 빈도 및 시술부위 감염의 위험인자, 감염을 일으키는 균주, 예방적 항생제의 투여가 감염률에 미치는 효과 등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체 116예 중 합병증이 발생한 경우는 61예(52.6%)이었으며, 시술부위 감염이 37예(31.9%)로 가장 빈도가 높았다. 2. 시술부위의 감염과 성별, 연령, 기저질환 등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3. 시술부위의 감염률은 위험요인 중 당뇨병이 동반된 경우에 유의하게 높았다(p=0.013). 4. 예방적 항생제의 투여시 시술부위 감염률과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으며, 투여기간과도 상관관계가 없었다. 5. 환자의 빈혈 여부와 간기능, 신기능을 포함한 혈액학적 검사소견과 시술부위 감염 발생과의 관계에서는 시술 당시의 백혈구 증가증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 주었다(p=0.029). 6. 다중회귀분석에서 당뇨병이 동반된 경우와 예방적 항생제를 투여하지 않은 경우, 백혈구 증가증만이 시술부위의 감염과 독립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각각 odds ratio 5.210; 95% CI 1.940-13.993; p=0.001, odds ratio 3.672; 95% CI 1.010-13.353; p=0.048, odds ratio 3.154; 95% CI 1.190-8.354; p=0.021). 결론적으로, PEG의 시술부위 감염에 있어서 당뇨병이 동반된 경우와 시술 당시의백혈구 증가증이 위험요인임을 확인하였고, 예방적인 항생제의 투여가 감염의 발생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Aims : Percutaneous Endoscopic Gastrostomy (PEG) is a widely used method of providing nutritional support for patients who require prolonged tube feeding. This technique is known to be a safer, more convenient, and less expensive procedure than surgical gastrostomy. Although the overall incidence of complication is low, several complications such as peristomal wound infection, bleeding, panperitonitis, gastrocolic fistula, etc. were reported. Among these complications, peristomal wound infection is common and troublesome. We analyzed the complications after PEG with respect to the associated risk factors. Methods : A retrospective review of medical records was conducted on patients undergoing PEG placement between January 1995 and March 2003. One hundred sixteen cases of 137 cases which occurred during this period were included, excluding 21 cases as exchanges of PEG. We reviewed the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PEG placement and analyzed the risk factors of peristomal wound infection. Results : In 61 (52.6%) of 116 cases, several complications developed after the procedure. The peristomal wound infection occurred in 37 cases (31.9%) and bleeding in 2 cases (1.7%). Mild complications included peristomal pain in 37 cases (31.9%); stomal leakage in 2 cases (1.7%); and oozing in 1 case (0.9%). In the culture study, among the 37 cases of wound infection, 33 were positive(89.2%). In 12 (36.4%) of the 33 cases, 2 bacterial organisms were detected. The result of culture study revealed MRSA in 17 cases (37.8%), Pseudomonas aeruginosa in 15 cases (33.3%), Klebsiella pneumoniae in 5 cases (11.1%), and others in 8 cases (17.8%). The rate of wound infec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who had Diabetes mellitus (p<0.01), who had leukocytosis (p<0.05) and who had not received prophylactic antibiotics (p<0.05). But the rate was not different according to age, sex or underlying disease. Conclusions : Peristomal wound infection was the most common complication of PEG. Diabetes mellitus and leukocytosis were risk factors of peristomal wound infection after PEG, and prophylactic antibiotics significantly reduced the risk of wound infec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 I. 서론 = 1 II. 연구대상 및 방법 = 3 A. 연구 대상 = 3 B. 연구 방법 = 3 III. 결과 = 6 A. 합병증의 종류와 빈도 = 6 B. 시술부위의 감염과 위험인자 = 6 C. 시술부위 감염의 원인 균주 분석 = 8 IV. 고찰 = 13 V. 결론 = 17 참고문헌 = 19 Abstract = 2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779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경피내시경하 위루술(PEG)의 합병증과 시술부위 감염의 위험인자-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 2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학과-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