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2 Download: 0

측모두부방사선계측사진과 석고모형, 3D 영상모형 간의 계측 오차

Title
측모두부방사선계측사진과 석고모형, 3D 영상모형 간의 계측 오차
Authors
구양희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측모 두부방사선 계측사진은 치료 전 후 골격적 변화와 치아 위치 변화를 평가하는데 많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 방법은 촬영 시에 생기는 오차와 시상면에서 좌우측 구조물이 한 평면에 중첩됨으로 말미암아, 계측자들에 의해 야기되는 판독오차로 인해 정확한 평가가 어렵고 교합면에서의 평가도 불가능하다. 또 다른 진단 자료인 석고모형은 치아와 치열궁에 관한 여러 항목들을 조사할 수 있으나 직접 중첩이 안되고 제작 보관 상의 어려움이 따른다. 3D 영상모형은 기존의 석고모형을 이용하여 조사하는 여러 계측 항목 외에 교합면 중첩이 가능해서 치료 전 후의 실제적인 치아 위치 변화를 평가할 수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측모 두부방사선 계측사진과 석고모형, 3D 영상 모형을 이용하여 동일 항목의 계측 오차를 서로 비교하여 어떤 방법이 가장 정확한 정보를 줄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측모 두부방사선 계측사진 판독 시 계측점 인식이 용이한 것부터 난해한 순으로 3증례를 선택하고, Grade I, II, III라 명하였으며 동일 증례의 석고모형과 3D 영상모형을 준비하였다. 그리고 교정 치료 경력이 다른 10명의 교정의들이 각 증례의 상악 중절치부터 제 1대구치까지 거리를 계측한 후, 각 증례에 따른 10명의 계측값의 분산과 변이계수를 구하여 어떤 계측방법이 계측오차가 가장 작은지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모든 증례에서 3D 영상모형에 대한 계측값의 분산과 변이계수가 가장 작았고, 둘째, Grade III 의 경우 3D 영상모형의 분산이 가장 작았고 통계학적 유의성이 있었으며, 셋째, Grade I, II 의 경우 3D 영상모형의 분산이 다른 계측방법들의 분산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분산은 가장 작았다. 이상의 결과로 3D 영상모형을 이용한 계측방법은 다른 계측방법들에 비하여 계측오차가 가장 작음을 알 수 있고 계측점 인식에 대한 반복성이 가장 높아 신뢰도가 매우 우수한 자료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measurement error of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 study model and 3D image model and to evaluate which method is the most accurate one by comparing each variance and C.V.(coefficient of variation). Three kinds of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 were selected by the facility of landmark identification and named Grade I, Grade II, Grade III. The study models and 3D image models of the same cases were prepared. Ten orthodontists measured the distance from upper central incisor to the mesial contact point of the first molar with three measuring materials of each cas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Generally, the variance and C.V. of 3D image model were smaller than those of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 and study model in Grade I, II and III. 2. The variance of 3D image model in Grade III was smaller than that of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 and study model,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3. The variance of 3D image model in Grade I, II didn'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ut it was smaller than that of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 and study mode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