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0 Download: 0

제2형 당뇨병 환자에 있어서 운동요법이 신체적, 체력적, 생리적 변인에 미치는 효과

Title
제2형 당뇨병 환자에 있어서 운동요법이 신체적, 체력적, 생리적 변인에 미치는 효과
Authors
안근희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체육학부체육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제 2형 당뇨병 환자에서 운동요법 실시 전·후에 신체적, 체력적, 생리적 변인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운동요법 유형은 27명을 대상으로 저항성운동군(resistance exercise group)(RE G1) 11명, 유산소운동군(aerobic exercise group)(AE G2) 8명, 저항성 및 유산소운동을 혼합한 혼합형운동군(resistance+aerobic exercise group)(RE+AE G3) 8명으로 나누었다. 운동강도는 저항성운동의 경우 15∼20RM(1RM 60%), 유산소운동은 AT강도로, 혼합형운동훈련은 저항성과 유산소운동강도를 병행하였으며 운동시간은 1회 60분, 운동빈도는 일일 2회, 주 5일로 3개월 동안 훈련하였다. 운동요법 효과에 대한 집단간 차이 및 측정시기 별 훈련효과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세 그룹에서 모두 신체적 변인에서는 체중, 허리둘레, 엉덩이 허리둘레비, 체지방율이 감소하였고, 체력적 변인에서는 무산소역치에서 운동부하와 하체의 유연성이 증가하였다(p<0.05). 그리고 생리적 변인에서는 공복 및 식후혈당과 공복혈장 인슐린이 감소하였다(p<0.05). 각 변인별로는(p<0.05) 1. 각 유형별 운동에 따른 신체적 변인에 대한 효과는 체지방율은 저항성운동군과 유산소운동군에서 집단간 차이를 나타내었다. 2. 각 유형별 운동에 따른 체력(심폐지구력)적 변인에 대한 효과는 1) 무산소역치에서 심박수는 유산소운동군과 혼합형운동군에서 증가하였다. 2) 무산소역치에서 확장기혈압은 저항성운동군에서 낮아졌다. 3) 무산소역치에서 산소섭취량은 저항성운동군과 유산소운동군에서 증가하였다. 4) 최대산소섭취량에서의 심박수는 유산소운동군에서 가장 높게 증가하였다. 5) 최대심박수%는 유산소운동군과 혼합형운동군에서 증가하였다. 6) 최대심박수예비량%는 저항성운동군과 혼합형운동군에서 집단간 차이를 나타내었다. 3. 각 유형별 운동에 따른 체력(신체수행능력)적 변인에 대한 효과는 1) 근력은 저항성운동군에서 증가하였다. 2) 복부의 근지구력은 저항성운동군에서 증가하였다. 4. 각 유형별 운동에 따른 생리적 변인에 대한 효과는 1) 인슐린저항성은 저항성운동군과 유산소운동군에서 감소하였다. 2) 총콜레스테롤은 유산소운동군에서 감소하였다. 3)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은 저항성운동군에서 증가하였다. 4)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은 저항성운동군과 유산소운동군에서 감소하였다. 저항성운동군에서는 다른 그룹에 비하여 근육량이 증가되었고 근력 및 근지구력의 향상과 인슐린저항성에 가장 큰 개선을 보였다. 따라서 표준체중 범위에 해당되는 제 2형 당뇨병 환자에게 적당한 운동방법으로 볼 수 있다. 유산소운동군에서는 체중 및 체지방의 감소와 포도당대사에서 가장 많은 감소를 보여 체중조절이 필요한 과체중이나 비만인 제 2형 당뇨병 환자에게 적당한 운동방법으로 볼 수 있다. 혼합형운동군에서는 심폐지구력 및 포도당대사와 인슐린저항성 등 여러 변인이 모두 고른 향상을 나타내어 일반적으로 노인 제 2형 당뇨병 환자에게 적당한 운동이라 사료된다. 제 2형 당뇨병 환자에게서 운동요법은 환자의 신체적 상태에 따라 적절한 운동유형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는 순환형태의 저항성운동과 혼합형운동 역시 유산소운동과 비슷하게 체중조절 및 체지방 개선에 도움을 주었으며 혈당조절과 인슐린저항성의 개선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nfluence that the exercise treatment on type 2DM patients may have on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and physiological variables. Participants were volunteers (N=27) who had been assigned to resistance exercise(RE G1, N = 11), aerobic exercise(AE G2, N=8), and resistance plus aerobic training group(RE+AE G3, N=8). In order to gauge exercise intensity, resistance exercise was based on 15-20RM(1RM 60%), aerobic exercise at AT, and combined exercise on both. Each group was scheduled to implement the training for twelve weeks, two times per day and five days per week. The main conclusion was drawn, by analysing that each of three exercise cures would have a differential influence. The overall results revealed the followings(p<0.05); Body weight, waist circumference, waist to hip ratio and %fat of anthropometric variables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all groups(p<0.05). FBS, PP2 and fasting insulin of physiological variables were reduced in all groups(p<0.05). 1. Training effects on anthropometric variables %fat of AE G2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RE G1. 2. Training effects on physical fitness variables 1) VO₂ and %HRmax at the anaerobic threshold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both AE G2 and RE+AE G3. 2) %HRR of RE+AE group 3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RE G1 at anaerobic threshold. 3) Strength and strength enduranc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RE G1. 3. Training effects on physiological variables 1) The decrease in insulin resistance was revealed significantly in both RE G1 and AE G2. 2) The decrease in total cholesterol was significant in AE G2. 3) HDL cholestero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RE G1. 4) The decrease in LDL cholesterol was significant in RE G1 and AE G2. Resistance exercise, compared with other exercises, enhanced muscle mass. It made muscle strength, strength endurance, and insulin resistance increase much more than the other two exercises did. For this reason, this resistance exercise could be considered more appropriate one for a type 2DM patient who is in a range of standard weight. The results of analysis of aerobic exercise showed that there was reduction regarding weight and %fat and that there was significant decrease in FBS and PP2. This indicates that this aerobic exercise did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 type 2DM patient who is overweight or obese. In relation to the influence of combined exercise we investigated, this training had a beneficial effect on a wider range of variables, such as cardiac fitness, glucose tolerance, and insulin resistance. The results based on this training could be interpreted that combined exercise is a more proper one for a type 2DM patient who is an old age. It is considered to preferable that therapeutic exercise that a type 2DM patient should choose depends on the body composition of a patient. This study also concludes that not only aerobic exercise but also resistance exercise like a circuit type and combined exercise would be effective for weight control, body composition, blood glucose control and improvement of insulin resistance in a type 2DM pati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