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5 Download: 0

삼죽금보의 군중취타와 현행 거문고보의 취타 선율 비교

Title
삼죽금보의 군중취타와 현행 거문고보의 취타 선율 비교
Authors
김선정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은 1841년에 편찬된 것으로 추정되고 취타가 수록된 현존 최고본인 삼죽금보의 군중취타(軍中吹打)와 현행 거문고보의 취타 선율을 비교함으로서 동일한 곡이 시간의 흐름에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우선 두 곡의 출현음을 알아보고 선율을 마디별로 비교하고 동일 한 경우와 유사한 경우, 다른 경우 등으로 분류하고 그 빈도를 산출하였으며 이에 따라 변화된 선율의 특징적인 것은 어떤 것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삼죽금보의 군중취타와 현행 취타의 선율을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출현음의 변화가 있었다. 삼죽금보의 군중취타는 ㅁ(Eb), ㅁ(Bb),ㅁ(eb), ㅁ(f), ㅁ(ab),ㅁ(bb), ㅁ(c'), ㅁ(d'b), 黃(e'b), 太(f')이며 현행 추타는 ㅁ(Eb), ㅁ(Bb),ㅁ(eb), ㅁ(f), ㅁ(ab),ㅁ(bb), ㅁ(c'), 黃(e'b), 太(f')이다. 삼죽금보의 군중취타 촐현음은 현행보와는 달리 ㅁ(d'b)음이 출현하여 하나 더 많은 출현음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삼죽금보의 군중취타에는 제2선율, 즉 해탄가락이 수록되어 있는데 비해 현행보에서는 이 해탄가락이 사라졌다. 셋째, 삼죽금보의 군중취타와 현행 취타의 선율 비교 결과 총 117마디 중에 동일 선율이 43마디로 36.75%, 유사선율이 65마디로 55.56%, 다른 선율이 9마디로 7.69% 나타났다. 가장 변화가 적은 장은 3장이며 가장 변화가 많은 장은 4장으로 동일선율이 65.38%와 15.38%로 각각 나타났다. 동일선율과 유사선율을 합하면 총 108마디로 전체적인 골격은 큰 변화 없이 비슷함을 알 수 있다. 넷째, 삼죽금보의 군중취타와 현행 취타의 두 선율을 비교하였을 때 전체의 55.56%에 해당하는 유사선율을 보면 그 형태는 다음의 경우에서 주로 나타나며 크게 4가지 로 볼 수 있다. ① 두 선율의 주옴은 같으나 경과음이 다르게 나타난 겨우로 삼죽금보에서 黃과 ㅁ로 나타났던 경과음이 현행에서는 모두 ㅁ으로 변하면서 ㅁ의 출현이 늘었으며, 이로 인하여 삼죽금보에서 경과음으로만 사용되었던 ㅁ가 현행에서는 사라졌다. ② 삼죽금보보다 현행보가 음이 분할되는 경우로 예를 들면 삼죽금보의 ㅁ(♩),黃-ㅁ(♩♪)이 현행보에서는 ㅁ-ㅁ(♩♪) 黃-ㅁ(♩♪)으로 변한 경우이다. ③ '싸랭'과 '슬기둥' 같은 문현으 기능이 많아지면서 선율이 변화한 경우이다. ④ 리듬의 변화로 이는 대부분 ♩♪에서 ♪♩로, ♪♩에서 ♩♪로 바뀌면서 선율이 변화한 것이다. ;This essay is proposed to inquire the change of same two musics with tim change through making a comparative study of the 'Chwita' melody in these-day's Geomungobo and the 'Gunjungchwita' in Samjukgeumbo, the oldest Chwita-written publication First of all, this essay try to find the appearing notes of those two melodies and compare every phrase of them, classifying them into same, similar, and different case, and then calculate the frequency of those cases. First, Hwang(Eb), Lim(Bb), Hwang(eb),Tae(f),jung(ab), Lim(bb),Nam(c'), Mu(d'b),Hwang(e'b) and Tae(f') whereas comcerming the appearing notes in the 'Chwita' includes Hwang(Eb), Lim(Bb), Hwang(eb), Ta(f), jung(ab), Lim(bb), Nam(c'), Hwang(e'b) and Tas(f'). Accordingly, we can come to know that Gunjungchwita has one nore appearing note, Mu(d'b), than the 'Gunjungchwita'in Samiukgeumbo. Secondly, the 'Gunjungchwita' in Samjukgeumbo includes Haetan melodies. But, the 'chwita' melody in these-day's Geomungobo disappeared. Thirdly, the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a melody of 'Gunjungchwita' in Samjukgeumbo and ' Chwita' melody in these-day's Geomungobo shows 43 of the same melody, 65 of similar melody and 9 of different melody, which represents 36.75%, 55.56% and 7.69% respective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