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5 Download: 0

여성의 이혼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Title
여성의 이혼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Authors
최정숙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여성의 이혼과정 경험을 규명하고 설명하는 실체이론을 개발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여성의 이혼과정 경험은 어떠한가?'로, Strauss와 Corbin(1998)이 제시한 근거이론방법을 적용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이혼한지 2년에서 7년 된 여성 24명으로, 연령은 33세에서 49세이고 이혼 후 자녀를 양육하고 있으며, 지역사회복지관, 동사무소, 자활지원센타, 여성의 전화, 가정법률상담소, 교회, 참여자의 소개를 통해 참여자 본인의 동의 하에 연구에 참여하게 된 사람들이다. 자료수집은 2002년 11월부터 2004년 1월까지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면담 전에 참여자로부터 서면화 된 연구 참여 동의서를 받았고, 면담 내용은 녹음한 뒤 그 내용을 녹취하였다. 자료분석은 자료수집과 동시에 하면서 지속적인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개방코딩에서는 근거이론의 패러다임에 따른 개념 및 범주화, 축코딩에서는 패러다임에 의한 범주분석과 과정분석을 하였으며, 선택코딩에서는 핵심범주를 발견하고 이야기 윤곽을 적고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범주의 관련성을 도출하고 유형을 분류한 후 상황모형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개방코딩에서는 182개의 개념, 55개의 하위범주, 20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축코딩에서 패러다임에 의한 범주분석 결과, 여성의 이혼과정경험에서 인과적 조건은 '빗나간 결혼생활', '이혼으로 내몰림'이었고, 중심현상은 '분리(分離)의 혼돈(混沌)'이었으며, 이 현상에 대응하는 맥락적 조건은 '이혼에 대한 인식', '이혼 전후 생활변화', '사회적 시선'이었다. 현상을 조절하기 위한 작용/상호작용전략은 '마음 추스르기', '찾아 나서기', '정리하여 끌어안기', '상황정비하기', '보호받을 관계구축하기', '주도적으로 나아가기'였으며, 이러한 작용/상호작용전략을 촉진하고 억제하는 작용을 하는 중재적 조건은 '마음중심을 잡음', '전남편의 관계태도', '지지체계'였고, 결과는 '분리수용', '안정', '성장의 기회', '삶에 눌림', '매임'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이혼과정은 '이혼으로 내몰림 단계', '분리의 혼돈 단계', '일으킴 단계', '재정립 단계', '나아감 단계'로 분석되었다. '이혼으로 내몰림 단계'는 빗나간 결혼생활과정을 거쳐 혹은 빗나간 결혼생활을 거치지 않았지만 더 이상 결혼생활을 유지할 수 없게 되어 이혼에 이르는 과정을 말한다. 참여자에 따라서는 빗나간 결혼생활과정을 거쳐 14년에 걸쳐 진행된 과정이기도 하고 남편의 요구나 유도에 따라 이혼을 하게 된 경우에는 1-2년, 참여자에 따라서는 지각하지 못하는 사이에 진행되는 과정이기도 하였다. '분리의 혼돈단계'는 이혼으로 내몰리게 되면서 현실이 받아들여지지 않고 미래에 대해 암담함을 느끼게 되며 분노감이나 참담함을 느끼고, 혼란의 행동발현과 신체증상으로의 표출 등 자신을 주체하기 힘든 단계로 이혼으로 내몰림의 과정이 급속이었는지 완속이었는지, 이혼으로 내몰림의 과정에서 자신의 의사가 반영된 것인지 아닌지, 이혼에 대한 인식이나 이혼전후 생활변화에 대한 통제, 사회적 시선 의식과 같은 각종 조건의 상황에 따라 '분리의 혼돈'의 강도나 지속기간이 달라진다. '일으킴 단계'는 마음중심을 잡는 것을 전환점으로 하여 마음을 추스르고 일자리와 주변 자원을 찾아 나서면서 삶을 일으키려 노력하는 단계이다. '재정립 단계'에서는 심내적으로 정리하여 끌어안기와 생활면에서 일, 가족, 생활양식을 포함한 상황정비하기, 사회적 관계 면에서 보호받을 관계구축하기와 같이 변화된 상황에 맞게 삶을 조정해나가는 단계이다. '나아감 단계'는 삶의 재정립 단계를 넘어 주도적으로 미래와 관계를 향해 나아가는 단계로 자신의 성장과 발전을 위해 필요한 발달과업을 수행해나가는 단계라 할 수 있다. 선택코딩에서 핵심범주는 '분리(分離)의 혼돈(混沌)에서 삶을 재구축해 나아가기'로 나타났으며,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범주들 간의 관련성을 확인한 결과, '대처성장형', '생활눌림형', '혼돈매임형', '해방안도형'으로 나타났다. '대처성장형'은 빗나간 결혼생활과정이 거의 없이 배우자의 이혼요구, 이혼유도로 강하고 급속으로 이혼으로 내몰린 경우로 이혼에 대한 인식이 비수용적이고 이혼전후 생활변화를 통제할 수 없다고 지각하며 사회적 시선을 의식하여 분리의 혼돈을 강하고 장기적으로 경험하였다. 그러나 마음중심을 잡음이 강하고 지속적이며 전남편이 일관된 분리태도를 취하며 지지체계와 지속적으로 연결되는 조건에서 마음 추스르기, 찾아 나서기, 정리하여 끌어안기, 상황정비하기, 보호받을 관계구축하기, 주도적으로 나아가기 전략을 적극적으로 사용해 분리수용, 안정, 성장의 기회로까지 연결시킨 유형이다. '생활눌림형'은 대처성장형과 '분리의 혼돈'을 경험하게 되는 조건들은 비슷하지만 작용/상호작용전략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중재조건으로서의 마음을 잡음이 강하지 않아 마음추스르기와 찾아나서기를 소극적으로 수행하고 전남편의 확고한 분리태도로 정리하여 끌어안으려 하지만 지지체계의 부족으로 삶에 눌림을 경험하는 유형이다. '혼돈매임형'은 빗나간 결혼생활로 이혼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본인도 의사를 갖고 이혼을 진행해오긴 했으나 이혼에 대안 인식이 비수용적이어서 분리의 혼돈이 중간정도의 강도지만 장기적으로 존재하였다. 마음중심을 잡음이 강하여 삶을 일으키기 위해 마음 추스르기와 찾아 나서기 전략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지만 지지체계와 연결되지 않고 자신의 이혼에 대한 비수용태도와 전남편의 비분리 태도로 정리하여 끌어안기나 상황정비하기와 같은 재정비를 하지 못해 매이는 유형이다. '해방안도형'은 빗나간 결혼생활이 강하고 참여자가 이혼 의사를 가지고 있어 이혼으로 내몰림이 약하고 진행속도는 완속으로 이혼에 대한 인식이 '불가피하다'로 보는 소극적 수용의 태도를 취하며 이혼전후 생활변화는 경미하거나 통제할 수 있고 사회적 시선은 의식하나 크게 개의치 않아 분리의 혼돈은 약하고 단기적으로 경험한다. 마음중심을 잡음이 강하여 마음 추스르기, 찾아 나서기 전략을 적극적으로 수행하며 이혼에 대해 수용하는 인식으로 인해 전남편의 비분리태도나 분리태도에 관계없이 정리하여 끌어안기와 상황정비하기를 수행하여 분리수용과 안정을 결과로 얻으며, 마음중심잡음이 지속적이고 지지체계와 연결되는 경우 성장의 단계로까지 발전해나가게 되는 유형이다. 이상의 결과와 같이 본 연구를 통해서 여성이 이혼과정의 경험하는 '분리의 혼돈에서 삶을 재구축해 나아가기'의 과정에 대해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발견한 사항에 대한 논의사항과 이론부문, 연구부문 및 실천부문에서의 함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덧붙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enerate a substantial theory defining and explaining the experiences of women going through divorce process. This study was executed by apply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 based on Strauss and Corbin(1998).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4 Korean women who have been divorced for 2 to 7 years, age ranging from 33 to 49 years and are raising children. The women were recruited from community welfare centers, town block offices, self-rehabilitation resource centers, Women's Hotline, Legal Aid Center for Family Relations, churches, and introduction from participants and gave full consent to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with in-depth interviews between November 2002 and January 2004, and signed consent forms were obtained from the participants before the interviews.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on tape and were transcribed afterwards.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conducted simultaneously. Content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by identifying code words and related concepts that were developed into categories representative of the divorce process of the participants. The data were analyzed into concepts, subcategories, and categories with the open coding process. The axial coding was done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oncepts and categories, and process analysis. The selective coding was done to develop the core category and the storyline, classify the types and to establish the conditional matrix.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182 concepts, 55 subcategories and 20 categori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ategorical analysis by the paradigm in axial coding, the causal conditions in the experiences of divorce process for women were 'straying marriage' and 'driven to divorce'. The central phenomenon was 'separation chaos' and the corresponding the contextual conditions were 'perception on divorce', 'life style changes from divorce', and 'social attitude'.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for controlling the phenomenon were 'setting one's mind in order', 'searching', 'rearranging and embracing', 'maintaining the situation', 'establishing protective relationships', and 'initiative advances'. The intervening conditions acting to facilitate or retard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were 'focusing on her mind', 'ex-husband's relational attitude' and 'supportive system'. and the consequences were 'acceptance of separation', 'stability', 'growth opportunity', 'overwhelmed by daily life' ' mired in chaos'. The stages of divorce process for women were 'driven to divorce', 'separation chaos', 'rising on her feet', 'reestablishment', and 'advancement'. The stage of 'driven to divorce' refers to resulting in a state of nonmaintainable marriage life whether or not having gone through a period of straying marriage. According to the individual participant, this stage developed gradually during a period of 14 years, 1 to 2 years for those who were requested or induced into the divorce by the husband, or in some cases the participants were not aware of this ongoing process. In the stage of 'separation chaos', the participants who were driven to divorce were not able to accept the reality and were horrified by the dismal future. They were angry and miserable and had difficulty in maintaining themselves with behavioral and physical manifestations. The intensity and duration of 'separation chaos' depended on conditions such as the acuteness of being 'driven to divorce', 'degree of reflection of the opinion of the participant in the process', 'perceptions on divorce', 'control over changed daily life after divorce', and 'social attitude'. In the stage of 'rising on her feet', she focuses on her mind and this acts as a turning point for reestablishing her life and sets her mind in order and searches for a job and other resources. In the stage of 'reestablishiment', she rearranges her life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s by rearranging and embracing her thoughts and feelings, maintaining the situations in terms of work, family and lifestyle, and establishing protective relationships in terms of social relations. In the stage of 'initiative advances', she passes the 'reestablishing of her changed life' stage and makes initiative advances toward the future and relations and can be considered a stage of achieving developmental tasks for self growth and development. The core category in selective coding was 'reconstructing and advancing with her life from separation chaos' and the analysis of the consistently present relationships between categories centered on the core category revealed 'coping and growing', 'overwhelmed by daily life', 'mired in chaos', and 'free and relieved' types. In the 'coping and growing' type, the stage of straying marriage does not exist and she is driven to a sudden and intensive divorce process by the request and inducement of the husband. She becomes unaccepting in her perceptions on divorce, perceives that she cannot control the drastic changes from the divorce, and she is conscious of the social attitude. Thus she experiences a long and intense separation chaos, but by focusing on her mind, separation of her ex-husband, and help from supportive systems, she seizes the opportunities of acceptance of the separation, stability, and growth by actively setting her mind in order, searching, rearranging and embracing, maintaining the situation, establishing protective relationships, and advancing initiatively. In the 'overwhelmed by life' type, the stage of straying marriage does not exist and she is driven to a sudden and intensive divorce process by the request and inducement of the husband. She becomes unaccepting in her perceptions on divorce, perceives that she cannot control the drastic changes from the divorce, and she is conscious of the social attitude. Thus she experiences a long and intense seperation chaos. She does not experience a firm focusing of her mind and is reluctant in setting her mind in order and searching. She attempts to rearrange and embrace due to the firm separation attitude of her ex-husband but is overwhelmed by a lack of supportive systems. In the 'mired in chaos' type, the separation chaos is nonintense but long, because she is neither intensely nor acutely driven into the divorce and her perceptions on divorce is non acceptable. She intensely focuses on her mind and actively utilizes the 'setting her mind in order' and 'searching' strategy but does not connect with supportive systems and due to her unaccepting attitude on divorce and inseparable attitude of her ex-husband, she cannnot reestablish, thus, resulting in 'mired in chaos'. In the 'free and relieved' type, she experiences an intense straying of marriage and is not intensively but slowly driven into divorce. Her perception on divorce is accepting, can control the changes from divorce, and she is conscious of the social attitude, thus the experience of separation chaos is weak and short. She is strong in focusing on her mind and actively sets her mind in order with searching and due to her accepting attitude toward divorce, she actively rearranges and embraces, irrespective of her ex-husband's separation attitude. In result, she earns 'acceptance of separation' and 'stability' and her 'focusing on her mind' is steady and when connected with 'supportive systems', it becomes an opportunity for growth. In conclusion, the divorce process of women was 'reconstructing and advancing with her life from separation chaos'. This study was to generate the substancial theory, help to change the social perspetive, and use the data in the related fiel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