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2 Download: 0

장지영의 "Three pieces for Oboe and Piano"의 분석 연구

Title
장지영의 "Three pieces for Oboe and Piano"의 분석 연구
Authors
장지영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thesis is an analysis of "Three pieces for oboe and piano" which is composed by me for one of the graduation concerts for the completion of master's degree. "Three pieces for oboe and piano" was composed by me based on the concept of atonality, which is appeared in the effect of chromaticism in the end of 19th century. This music use individual musical material in each movement. 1st movement which consists of 3 sections having A-B-A' structure, use the scale which is characterized with minor 2nd, minor 3rd degree interval. 2nd movement also consists of 3 sections having A-B-A' structure. This movement was composed of meter of 4/5 and its characteristic rhythm is 3:3:2:2. It use the pentatonic scale which is characterized with major/minor 3rd and major/minor 2nd degree interval. 3rd movement which is consists of 5 sections having A-B-A'-C-A''. The main interval is triton and perfect 4th.;본 논문은 본인의 석사학위 이수를 위한 졸업연주회 작품 중 하나인 "Three Pieces for Oboe and Piano"를 분석한 것이다. "Three Pieces for Oboe and Piano"는, 19세기 말 반음계주의의 영향으로 출현한 무조적 개념을 기초로 한 작품으로, 각 악장마다 다른 음악적 인 재료를 사용하여 특징 있는 표현을 하고자 하였다. 제 1악장은 A-B-A'의 3부 형식으로, 단f도와 단3도 음정을 바탕으로 구성된 음계가 사용되었다. 각 부분별로 변화되는 중심음정의 선율적 진행과 이 음정의 복합적 결합으로 이루어진 화성구조가 1악장의 특징이다. 제 2악장 또한 A-B-A'로 구성되어 있다. 4/5박자로, 10개의 8분음표가 3:3:2:2로 나뉘어 만들어진 리듬형과 장 · 단3도, 장 · 단2도의 대칭적 배열에 의해 만들어진 4가지 5음음계(Pentatonlc Scale)의 사용이 특징적이다. 제 3악장은 A-B-A'-C-A"의 SSection으로 구성되어 있다 3악장에서는 긴장감을 형성하는 증4도와 이를 해결하는 완전4도로의 반복적 진행이 곡의 중심재료로 사용되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