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7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혜주-
dc.creator박혜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58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58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27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88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27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12-18개월 영아들의 애착과 정서조절에 관해 살펴보았다. 낯선 상황 절차를 통해 애착 유형을 분류하고, 애착유형별로 어머니 민감성과 영아의 기질을 알아보았다. 또한 낯선 상황 절차의 재결합 상황에서의 영아의 정서조절 행동들을 변인으로 정서조절 유형을 분류하고 애착 유형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정서조절 유형별로 어머니 민감성과 영아 기질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서울과 경기 지역(신촌, 은평, 여의도, 일산)에 거주하는 중류층 비취업모와 영아 36쌍으로, 영아들의 연령은 12-18개월이었다. 측정도구로는 낯선 상황 실험(Ainsworth et al, 1978)을 사용하여 애착 유형을 분류하였고, 영아의 정서조절은 Weinberg와 Tronick(1999)의 Infant & Caregiver Engagement Phases (ICEP) 중 Infant Engagement Phases를 사용하여 평정하였다. 어머니 민감성은 Smith와 Pederson(1988)의 질문지 상황으로 측정하였으며, 영아의 기질은 유명희(1990)가 번역하여 실시했던 RITQ(Revised Infant Temperament Questionnaire)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애착 유형 분류 결과 안정 애착이 63.9%, 불안-회피 애착이 13.9% 불안-저항 애착과 비조직/비일관적 애착이 각각 11.1%로 나타났다. 둘째, 애착 유형별로 어머니 민감성과 영아의 기질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애착 유형 간에 어머니 민감성과 영아의 기질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정 애착 영아의 어머니가 영아의 신호나 반응 요구에 가장 민감하고 신속하게 반응해주었고, 기질의 하위 영역 중 생리적으로 불규칙적임을 나타내는 규칙성과 새로운 상황에의 적응이 어려움을 나타내는 적응성은 불안-회피 애착에서 가장 높았다. 또 새로운 자극에 대한 위축 정도를 나타내는 접근회피성은 불안-회피 애착과 불안-저항 애착에서 안정 애착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셋째, 낯선 상황 실험 중 재결합 에피소드에서 영아가 보이는 정서조절 행동들을 변인으로 하여 정서조절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그 결과 정서조절 유형을 개방적 정서표현(43.8%), 억제된 정서표현(28.1%), 과장된 정서표현(28.1%)의 세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넷째, 영아의 애착 유형과 정서조절 유형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안정 애착은 개방적 정서 표현 유형과, 불안-회피 애착은 억제된 정서 표현 유형과, 불안-저항 애착은 과장된 정서 표현 유형과 관련되는지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애착 유형과 정서조절 유형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각 유형 간에 54.2%의 일치율을 보였다. 다섯째, 정서조절 유형별로 어머니 민감성과 영아의 기질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정서조절 유형 간에 어머니 민감성과 영아의 기질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 민감성은 개방적 정서표현 유형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 이 유형 영아의 어머니들이 영아의 신호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해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기질의 하위 영역중 접근회피성, 반응강도, 지구성에서 정서조절 유형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새로운 자극에 대한 위축 정도를 의미하는 접근회피성과 반응 표현의 격렬함을 나타내는 반응강도는 억제된 정서표현 유형과 과장된 정서표현 유형에서 개방적 정서표현 유형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고, 어떤 한가지 일을 계속하는 시간이 짧음을 의미하는 지구성은 과장된 정서표현, 억제된 정서표현, 개방적 정서표현 유형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영아의 애착과 정서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으로 어머니 민감성과 영아의 기질을 살펴보았고, 두 변인 모두 영아의 애착 및 정서조절의 개인차와 관련이 있음을 밝혔다. 또 영아의 애착과 정서조절간의 이론적인 관련성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여 애착 유형에 따라 정서조절 전략을 다르게 발달시켜 간다는 것을 밝혔다. 따라서 영아기 자녀를 둔 부모나 예비 부모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영아의 사회·정서적 발달에 대한 어머니 민감성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영아의 기질적 특성을 고려한 내용을 포함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ⅰ) to investigate the factors which affect the attachment and emotion regulation of infant, especially focused on the infant' temperament and maternal sensitivity (ⅱ) to examine whether attachment was linked with emotion regulation. The subject of the study were 36 infants of middle class housewives residing Seoul and Kyungki Area(Shinchon, Eunpyoung, Yeo-ui-do, Ilsan) whose age is 12-18 months. In order to assess the pattern of infant-mother attachment and emotion regulation, each infant-mother dyad was observed in the Strange Situation, and each dyad was observed for 3 minutes in the Questionnaire Situation(Smith & Pederson, 1988) to assess maternal sensitivity responding to infant's cues. Mothers were asked to complete Likert-type questionnaire to assess infant's tempera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As a result of attachment type classification, type B holds 63.9% of the sample, type A holds 13.9%, and type C & D hold 11.1% separately.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attachment types in maternal sensitivity and infant's temperament. That is, mothers of secure attachment infants tended to react sensitively and promptly on the infant's need and sign more than mothers of insecure-avoidant and insecure-resistant infants did. Insecure-avoidant infants showed low physiological rhythmicity and low adaptability, and insecure-avoidant and insecure-resistant infants showed high initial withdrawal. 3. In the type of infant's emotion regulation, 9 infants(28.1%) were classified as 'open emotion expression', 14 infants(43.8%) were as 'minimized emotion expression', 9 infants(28.1%) were as 'heightened emotion expression'. 4.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infant-mother attachment and emotion regulation. 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attachment types in maternal sensitivity and infant's temperament. That is, mothers of 'open emotion expression' infants tended to react sensitively and promptly on the infant's need and sign more than mothers of 'minimized emotion expression' and 'heightened emotion expression' infants did. And 'minimized emotion expression' and 'heightened emotion expression' infants showed high initial withdrawal, high intensity and low persistence more than 'open emotion expression' infants did. This study confirmed that attachment and emotion regulation was closely linked. A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aternal sensitivity and infant's temperament according to the type of attachment and emotion regul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B. 연구문제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애착 = 6 1. 애착의 개념 = 6 2. Ainsworth의 낯선 상황 실험을 통한 애착의 개인차 측정 = 8 3. 애착의 질과 관련 변인 = 11 (1) 애착과 어머니 민감성 = 11 (2) 애착과 영아 기질 = 13 B. 정서조절 = 14 1. 정서조절의 개념 = 14 2. 영아의 정서조절과 관련 변인 = 15 (1) 정서조절과 어머니 민감성 = 15 (2) 정서조절과 영아 기질 = 17 C. 애착과 정서조절 = 18 Ⅲ. 연구 방법 = 21 A. 연구 대상 = 21 B. 연구 도구 = 23 1. 낯선 상황 절차(SSP) = 23 (1) 실험 절차 = 23 (2) 낯선 상황 절차를 위한 실험실의 물리적 환경 = 23 2. 발달 검사 = 25 3. 어머니 민감성 평정 = 26 4. 영아 기질 검사 = 27 5. 영아 정서조절 평정 = 28 C. 연구 절차 = 30 1. 예비 실험 = 30 2. 본 실험 = 31 D. 자료 분석 = 31 Ⅳ. 연구결과 = 33 A. 낯선 상황 절차에 의한 애착 유형 분포 = 33 B. 애착과 관련 변인과의 관계 = 34 1. 애착 유형과 어머니 민감성 = 34 2. 애착 유형과 영아 기질 = 35 C. 영아의 정서조절 유형 = 37 D. 영아의 애착 유형과 정서조절 유형간의 관련성 = 41 E. 정서조절과 관련 변인과의 관계 = 43 1. 정서조절 유형과 어머니 민감성 = 43 2. 정서조절 유형과 영아 기질 = 44 Ⅴ. 결론 및 제언 = 46 A. 결과 요약 및 논의 = 46 B. 연구의 의의 및 제언 = 54 참고문헌 = 56 부록 = 62 ABSTRACT = 7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6564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낯선 상황에서 (Strange Situation) 영아들의 애착과 정서조절-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i, 7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0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