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42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강수진-
dc.creator강수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56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56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07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87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075-
dc.description.abstract습지는 지구상에서 가장 생산성이 높은 생태계로 수문의 저장, 오염물의 침전 및 분해기능을 수행하고, 식물 및 동물에게 서식처를 제공하고 멸종위기의 희귀종을 많이 부양하며 인간에게 휴양가치의 제공 등의 레크레이션 기능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습지의 보호는 생물학적, 수리학적, 그리고 경제적 이유에서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인간 활동이 확대됨에 따라 국토개발이라는 명목으로 습지의 손실 및 파괴가 지속되고 있다. 따라서 습지 생태계의 다양한 기능 및 중요성을 알림과 동시에 사라져 가는 습지의 보전 및 관리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습지 생태계의 통합적 평가가 요구되는 실정이며, 그러기 위해서는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습지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선정하여 정량 및 정성적으로 습지의 건강도를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이 확립되어야 한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습지의 건강도 평가를 목적으로 실시된 연구로서 간이기능평가기법을 이용하여 훼손된 습지의 현황을 파악하며, 이미 건설된 대체습지의 효율성 평가에 활용하며 일반인도 이해할 수 있는 지표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실정을 잘 반영한 습지보전정책의 수립 시 반영하며 생태계 보전지역 및 복원지역의 설정에 있어 지표로 활용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에 따라 국내 내륙습지의 환경속성을 알기 위해 환경부에서 2001년부터 2003년까지 조사 실시된 전국 내륙습지 자연환경 조사보고서의 결과를 토대로 속성별로 엑셀을 이용하여 데이터 베이스화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RAW (Rapid Appraisal Wetland Condition ndex)법과 ISC (Index of Stream Condition)법을 이용한 우리나라 습지기능평가를 위한 기준을 수립하였다. 두 방법은 모두 습지의 간이 기능평가법으로 습지의 상태를 지수화 할 수 있는 항목들로 구성된 평가법이다. 그러나 이들 방법은 현대사회에서 습지의 존속에 가장 영향을 주는 인간활동 인자의 부재로 정확한 영향력 평가를 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변토지이용, 오염이 일어날 가능성, 인간의 활동정도를 지표화하여 간이평가기법을 확립하였다. 그리고 확립된 평가기법을 이용하여 국내 현존하는 내륙습지 9곳을 평가해 보았다. 그 결과 국내 자연습지 9곳을 확립된 평가법에 적용한 결과 부처울습지, 질날늪, 박실지 습지, 정양지습지가 모두 2등급의 우선보호습지로 양호한 습지환경으로 나타났으며, 하벌습지, 대평늪, 석교천습지, 곡릉천습지, 화포습지는 3등급습지의 보호수역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접 평가하는 방법과 더불어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평가될 9곳 습지의 유사성 정도를 알아보았다. 수행 결과 대체로 기능평가를 통해 같은 등급으로 판정된 습지들끼리 묶여 연구결과 확립된 평가법의 적용결과와 군집분석을 수행한 결과는 비교적 잘 맞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내륙습지의 간이기능평가법 개발로 습지를 통합적으로 평가 할 수 있으며 습지의 건강도를 측정하는데 적절한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Wetlands represent on ecosystem supporting high biodiversity. Thier functions include floodwater storage, sedimentation and degradation of pollutant, fish and wildlife habitat, aesthetical values and recreation. As such, protection of wetland is of great importance for biological, hydrological and economical reasons. However, wetlands have been degraded as the result of human activities. Such degradation is partly attributed to lack of information on wetland values and methods for the assessment. Thus, An unified methodology for assessment of wetland functions are requested. Based on this,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integrity of wetlands in Korea. Using RAW and ISC methods, we selected indexes (water quality, soil, vegetation) and add human activity, physical form, invertebrate and fish index to them. Both of the methods are rapid assessment method. This assessment scheme, then, was applied to 9 natural wetlands (Bucheoul wetland, Jilnalup, Habeul wetland, Daepyungnup, Sukyochon wetland, Kukrungchon wetland, Hwapo wetland, Baksilji wetland, Jungyangji wetland in Korea). The results showed that Bucheoul wetland, Jilnalup, Baksilji wetland, Jungyangji wetland ranked as category Ⅱ and Habeul wetland, Daepyungnup, Sukyochon wetland, Kukrungchon wetland, Hwapo wetland ranked as category Ⅲ. The results of cluster analysis indicate that the evaluation of wetland condition corresponded to the results of cluster analysis. This module is available to be used more widely to assess in wetland condi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표목차 = ⅵ 그림목차 = ⅶ 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 1 2. 기능 평가를 위한 속성 및 지표의 의의 = 6 3. 연구목적 = 7 Ⅱ. 이론적 배경 = 8 1. 국내 선행연구 = 8 2. 국외 선행연구 = 10 Ⅲ. 재료 및 방법 = 17 1. 습지 평가기준의 확립 및 범위설정 = 17 1) 환경부 내륙습지 조사 = 17 2) ISC법과 RAW법의 지표속성 = 19 2. 실제 습지의 평가 = 25 1) 곡릉천 습지 = 25 2) 부처울습지 = 26 3) 박실지 습지 = 26 4) 정양지 습지 = 27 5) 하벌습지 = 27 6) 석교천 습지 = 28 7) 질날늪 = 28 8) 대평늪 = 28 9) 화포 습지 = 29 3. Cluster 분석 = 30 Ⅳ. 결과 및 고찰 = 31 1. 선정된 지표 = 31 1) 물리적 속성 = 32 2) 수환경 = 32 3) 토양 = 34 4) 인간 활동 = 34 5) 식생 = 35 6) 무척추 동물 = 35 7) 어류 = 36 2. 평가기준의 확립 및 범위 설정 = 36 3. 국내 습지의 평가 = 39 1) 곡릉천 습지 = 39 2) 부처울습지 = 41 3) 박실지 습지 = 43 4) 정양지 습지 = 45 5) 하벌습지 = 47 6) 석교천 습지 = 49 7) 질날늪 = 51 8) 대평늪 = 53 9) 화포습지 = 55 4. 평가법 적용결과와 환경부 평가결과의 비교 = 57 5. Cluster 분석결과 = 58 Ⅴ. 결론 = 60 Reference = 64 ABSTRACT = 7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3548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dc.title습지 기능을 고려한 한국 내륙습지의 간이 평가 기법 개발 및 적용-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ix, 7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과학기술대학원 환경학과-
dc.date.awarded2004. 8-
Appears in Collections:
과학기술대학원 > 환경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