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4 Download: 0

선인장의 이미지를 통한 도자조형연구

Title
선인장의 이미지를 통한 도자조형연구
Authors
이경은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도자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자연은 예로부터 인간 생활의 터전이었고 관심의 대상이 되어왔다. 자연의 형태는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환경과 상황에 의해 이룩된 것으로 모든 형상의 기초이자 조화의 척도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자연의 절대적 미는 인간에게 자연에 대한 경외심과 창작 욕구를 불러 일으켰으며 예술의 소재로서 동경되어 왔다. 자연의 외형적 모방만이 아닌 자연에 내재되어있는 생명력을 주관적으로 재해석하고 표출하여 창조적인 예술작품을 만들게 되는 것이다.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선인장 역시 다양하고 독특한 형태만큼이나 많은 예술가들에게 흥미로운 소재가 되었고 작품으로 재탄생하게 하였다. 선인장은 위엄과 장수, 신선을 상징하는 것으로 그 특유의 조형적인 아름다움을 통해 많은 이들로부터 사랑을 받고 있는 생명체이다. 다양한 선인장의 종류와 형태, 풍부한 질감과 색채, 그리고 생장하는 과정을 관찰하면서 본 연구자는 자연의 신비로움에 많은 감동과 감성을 느끼게 되었으며 조형적인 창작의지를 갖게 되었다. 이에 본 논문은 자연이 예술로써 표현되는 과정과 어떻게 조형예술로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지에 대한 이론적 배경에 대해 파악하고 선인장의 형태적인 특징을 살펴본 후 연구자의 주관적 심상을 통해 점토의 특성을 살려 독창적으로 표현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자연이 예술에 미치는 영향력과 상관관계를 연구하고, 자연이 조형예술에 있어 무한한 에너지와 생명력을 가져다주는 매개체로서의 역할에 대해서 전개하였다. 또 문헌을 통해 자연의 일부인 선인장의 생태와 꽃과 가시, 능의 형태와 색채에 대해 관찰하고 다양한 종류에 따른 조형적 특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작품표현에 관한 근거 제시로 선인장의 이미지를 소재로 다룬 다른 작가들의 조형사례를 수집하여 표현의 다양성을 연구하였으며, 선인장의 이미지를 조형화하는 과정에서 선인장의 생태적 형태의 특징을 살려 구조적 특성에 따라 가시, 능, 꽃의 형태와 유기적 형상을 단순화, 변형, 강조하여 조형화 하였고, 선인장이 가지는 이미지와 생명력을 연구자의 주관적인 감성으로 표현하였다. 제작 방법은 선인장의 독특한 형태와 질감을 자유롭게 표현하기 위해 코일링과 속파기 기법을 주로 사용하였고 반복적인 표현을 위하여 가압성형과 이장주입 성형방법을 병행하였다. 태토로는 질감과 강도가 좋은 석기질 점토를 주로 사용하였고 곡선과 세밀한 표현을 위해서는 백색도가 뛰어난 백자토를 사용하여 다양한 느낌을 표현하였다. 유약 처리는 선인장의 본래의 색채를 고려하여 연구자의 실험을 거친 무광택유와 색 화장토를 사용하였고 시유 시 석기질 점토의 유약 흡수율을 줄이고 발색효과를 높이기 위해 먼저 백색무광유를 얇게 시유하거나 흑유를 바른 후 닦아내기도 하였다. 시유 방법으로는 붓으로 바르거나 분무 시유를 하였고 소성은 0.5㎥ 가스 가마와 0.3㎥ 전기가마에서 최고온도 900℃까지 8시간동안 1차 소성을 하였고 2차 소성 역시 0.5㎥ 가스가마와 0.3㎥ 전기가마에서 최고 1250℃까지 10시간에 걸쳐 산화염 소성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자연의 위대함과 조형예술로 표현함에 있어 무한한 가치와 생명력을 느낄 수 있었다. 또 선인장의 생태와 다양한 조형적 특징에 대해 연구하면서 자연의 경이로움과 신비로움을 경험하였으며 선인장의 형태적 특성과 내제된 이미지를 통하여 도자 조형물로 나타냄으로써 선인장의 아름다운 형상과 은근한 생명력에 대해 알게 되었고 조형작품으로 표현하기에 무한한 가능성과 조형적 가치를 갖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선인장의 다양한 색감과 질감을 나타내기위해 점토의 특성과 유약의 깊이감에 대해 연구함으로서 더욱 독창적이고 아름다운 조형미를 나타낼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이에 연구자의 주관적인 감성과 해석을 통해 다양성을 가진 작품으로 표현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며, 앞으로도 본 연구를 통하여 후진들이 선인장의 이미지를 조형화하는데 있어 자신의 감성과 생명력을 표현할 수 있는 창작활동을 기대해본다. ;Nature has long been the ground of the human life and the center of interest. The forms of nature have been created by environments and situations for a long time. It is a basis of all figures and a criterion of harmony. Human being have been conscious of the absolute beauty from nature and been stired up an awe of nature and an appetite for creation. A creative artwork is made through re-analysizing and expressin nature's internal vitality of life subjectively as well as external imitation. Because a cactus is met with everywhere and has various and special form, it is a interesting material to many artists and is re-created as artwork. The cactus is a beloved creature due to its symbolic meanings such as dignity, longevity and freshness, and formative beauty. Observing various kinds and forms, abundant touch and color, and a growth process, this researcher was impressed by mystery of nature and have the will to creation.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heoretical background about how nature becomes the necessary process as art and is progressed to the formative arts. And the second is to create the formative ceramic arts from mixing the ecological features of a cactus and a researcher's subjective image. This study introduces the nature and the formative arts to express various forms and images of cactus formatively. The study also examines the ecology, kinds, and formative features of a cactus for general survey. In formalize the image of a cactus, the works simplify, transform, and emphasize shapes of thorns, edges and flowers, and organic shape by the ecological and structural features of a cactus. And the image and vitality of a cactus are expressed by the subjective senses. To express the specific shape and touch of a cactus, the clay work was made by using the coiling and digging. The press moulding and slip casting techniques were performed for repetitive expression. A stoneware clay body was used for touch and intensity. On the other hand, The delicte curves and details were expressed by the porcelain clay with a high level of whiteness. The researcher mixed non-shiny glaze and white matt by rate found from expreimental data. To reduce the suction rate of a stoneware clay and enhance colors, the researcher tried to glaze white matt thinly or wash after black glaze. The researcher decorated the works with brushing and spraying methods. The first firing was progressed in maximum 900℃ for eight hours in an 0.5㎥ gas kiln and 0.3㎥ electric kiln, and the second firing was done in maximum 1250℃ oxidized-chlorine for ten hours in the same kilns. After this study, the researcher was aware of the beautiful shape and courteous vitality of a cactus as the formative arts, and the unlimited possibility and formative value as the formative arts. The study helps the researcher to express various works through subjective sense and analysis. It is the researcher's sincere hope that this study contributes to further studies about the formative arts based on the image of a cactus, which expresses an artist's sensitivity and vital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도자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