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2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지현-
dc.creator박지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50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50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26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84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265-
dc.description.abstractThe highly developed technology of modern society brought not only abundance in material and life in comfort but also deterioration of traditional public value. Furthermore, it results in loss of touch of humanity and sense of excessive alienation. Those are caused by the western humanism which justifies the conquest and control of nature to develop human life. The counter effect of development makes people emboss the importance in oriental ecological view about the world which was thought trite. The settlement of Coexistence between man and nature based on ecological view with core of NOJANG idea about the world has been searched. The nature was the subject of matter of art from the beginning of the world, and the art made harmony of man and nature. Perfect beauty and original vigor of nature has been subject of praise and imitation, and those have inspired the artist. Unlimited concerningand craving for life made people to eager for vigorous life, and it caused the expression of artist which was concerned about visible appearance and material providence. Imitation of nature is another nature. In industrialized age, impoverishment of sensitivity of a modern is more serious than destruction of nature, and the art affected by it losses its archetype and value of existence. Because the loss of art is directly related to the loss of human nature, we should pull our thought about relation of art, human and nature to redefine archetype of art and value of existence. In my research, we try to express another nature using optical illusion centered on Trompe Loeil and Hyporealism. My work contains friendlyenvironment image of fabric based on oriental ecological view of the world from selecting motive and material of design to producing method My research method is described bellow. First, we analyzed destruction of nature and ecology effect in media, statistical data, and documents. Second, we looked for harmony of man and nature with advanced beauty of art obtained by re-lightening of existing beauty of nature and art. Also, nature expressed in arts was examined through the history of art. Third, the origin and concept of Trompe Loeiland Hyporealism was defined in this research, and also we studied optical illusion of motive in present works and artist theoretically. Also we worked on our own hyporealistic optical illusion based on Trompe Loeil and variety type of Hyporealism. Forth, we raised a question in damage on environment which was caused by using excessive material for environmentally friend production, and suggested model which is truly environment friend production from selecting motive and material of design to producing method Fifth, we developed the story line withconsidering nature and human in every work and we tried to put not only usual designs and practicalities but also environmental campaign with consumer into every work. Last, variety of design simulated with cad can be offered to consumer. Up coming 21st century, I tried to notify the importance of nature based on oriental ecological view about the world and draw another nature into art. Optical illusion of hyporealistic motive depending on imperfection of eye makes you feel like taking a walk in warm and shiny forest, feel like listening the song of birds, and feel like sailing in the ocean with interior fabrics. It will restore the humanism which was exhausted in the devastated nature and satisfy the ecological anxiety for returning to nature.;고도로 발달된 현대 과학문명은 물질의 풍요와 편리한 삶을 가져다주었다. 하지만 자연과 함께 살아온 우리의 공동체적 가치관을 퇴색시켰고, 인간미의 상실과 인간소외라는 극단적인 역기능을 초래하였다. 이는 인간중심의 서양의 인본주의 사상이 인간 삶의 개선을 위해 자연을 정복하고 지배해야한다는 생각에 정당성을 부여한 결과이다. 따라서 그동안 진부하게만 느껴왔던 동양의 생태학적 세계관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동양의 노장사상을 중심으로 한 친자연주의 생태학적 세계관을 통해 자연과 인간이 공존할 수 있는 화해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자연은 태초부터 예술의 소재로 이용되어 왔고 인간은 예술을 통해 자연과의 하모니를 이루어왔다. 이러한 자연의 완벽한 아름다움과 원초적인 생명력은 예술적 영감의 원천으로서 예술가들에게 찬사와 모방의 대상이 되어왔다. 생명에 관한 인간의 관심과 욕구는 활기찬 생명력에 대한 동경을 가져왔다. 이러한 맥락에서 많은 예술가들이 자연의 가시적 외관이나 물질적 섭리를 표현해 왔다. 자연에서 따온 예술은 또 하나의 자연이라고 했다. 산업화시대를 살면서 자연 파괴이상으로 피폐해진 현대인의 메마른 기계적 감성 속에서 예술 또한 그 본래의 모습과 존재 가치를 상실하고 있다. 예술의 상실은 곧 인간의 상실로 직결될 수밖에 없는 절박한 현실적 문제를 비추어, 우리는 예술의 원형으로서 또한 그 존재 가치를 근거로서의 예술과 인간, 자연의 관계를 다시 생각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하이포리얼리즘을 중심으로 극사실적인 기법을 통해 일어나는 착시현상을 이용해 자연을 표현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제품의 연구 내용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각종 매체와 통계자료, 문헌을 통해 현대사회의 자연훼손과 인간성 고갈에 따른 자연회귀로의 현상을 조사 분석하고 자연과 예술에 관한 기존의 시각을 재조명해 봄으로서 자연의 예술적 승화를 통한 인간과 자연의 하모니의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또한, 미술사를 통해 예술 속에서의 자연 표현을 살펴보았다. 두 번째, 하이퍼리얼리즘의 기원과 개념을 정의하고 기존의 작가와 작품을 통해 극사실적 모티브의 착시현상을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또한 하이퍼리얼리즘의 여러 기법의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만의 극사실적 착시현상 기법을 연구하였다. 이러한 극사실적 자연모티브의 효과적 표현을 위하여 자연 그대로의 내추럴칼라를 사용하였다. 또한 각 작품마다 자연과 인간을 생각하는 메시지를 담아 기존의 디자인과 실용성만을 고려한 제품이 아닌 소비자와 함께하는 환경캠페인의 의미를 담고자 하였다. 세 번째, 생산방식에 있어 디지털 프린팅방식을 채택하여 기존의 날염방식에서 불가능했던 극사실적 모티브의 표현효과를 최대화하였다. 또한 이러한 디지털 프린팅은 기존의 염색방식에서 발생하는 다량의 오염폐수와 재판제도 과정에서 생겨나는 폐기물 및 공해 부산물 등의 미발생 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프린팅은 본 연구의 디자인 제시로서 채택한 방식이고 대량생산에서 발생하는 여러 요인에 의해 실제 생산방식에서의 디지털 프린팅의 사용여부는 좀 더 연구해 볼 문제이다. 이러한 디지털 프린팅은 소재에 따라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과 전사, 실사출력의 세 가지 방식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본 연구자는 21세기를 맞이하여 현대사회에서 자연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고 또 하나의 자연을 생활 속에 끌어들이고자 하였다. 눈의 불완전성을 이용한 극사실적 모티브의 착시효과는 인테리어 패브릭만으로도 자연을 느낄 수 있다. 이는 현대사회의 황폐해진 자연 속에서 고갈되어 가는 인간성 회복과 자연 회귀로의 에콜로지욕구를 충족 시켜 줄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1. 서론 = 1 1.1. 연구의 목적 = 1 1.2. 연구 내용 및 방법 = 2 2. 인간과 자연의 하모니 = 4 2.1. 생태적 삶과 에콜로지 = 5 2.2. 예술을 통한 인간과 자연의 하모니 = 12 3. 하이포리얼리즘과 착시현상 = 18 3.1. 하이퍼리얼리즘의 기원과 착시현상 = 18 3.2. 미국의 하이퍼리얼리즘과 한국의 극사실회화 = 25 4. 작품제작 의도 및 분석 = 35 4.1. 작품 제작의도 = 35 4.2. 작품 분석 = 36 5. 결론 = 64 참고문헌 = 66 ABSTRACT = 6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1582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하이퍼리얼리즘에 의한 인테리어 패턴디자인-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 7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텍스타일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4.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텍스타일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