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부선-
dc.creator김부선-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47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47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98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83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987-
dc.description.abstract모든 민족은 그들 나름대로의 전통 문화를 갖고 있다. 그 민족의 기질, 풍토, 역사, 생활방식은 주변의 문화와 환경에 영향을 받아 발전되기도 하고, 변질되면서 고도화되어 하나의 전통문화로 정립된다. 이러한 면에서 한국 전통문화가 어떤 방식으로 계승되고 발전되었는가 하는 문제에 보다 다각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한국의 미는 꾸밈없는 질박함과 소박하고 순수함이 함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좀 더 관심을 기울여 보면 나름대로의 규칙과 질서를 가지고 있어 그에 따른 세련된 멋과 독특한 정취를 찾아낼 수 있다. 우리 조상들은 옛부터 건축을 자연의 일부로 동화시켜서, 능선과 비슷한 곡선을 가진 지붕과 야트막한 기둥, 처마와 담장의 조화, 나무와 같은 자연 속의 재료를 이용하여 주어진 환경에 순응하며, 주거 문화를 형성해 왔다. 우리 전통 문화에서도 고건축 소재인 기와는 그 시대의 문화를 대변해 주고 있는 문화유산이다. 한국 기와의 멋은 한 건축 안에서 그 모양이 수시로 변화하여 보는 각도와 위치에 따라 다른 모습으로 끊임없이 달라진다는 점이다. 사계절 속의 자연은 아름다운 능선과 파란 창공과도 잘 어우러져, 같은 기와라도 보는 시각과 위치에 따라 다르게 보인다. 지붕의 단정한 기왓골과 용마루의 긴 선을 타고 흘러내리는 처마의 곡선은 뛰어난 비례감각과 간결함을 느끼게 한다. 기와지붕에서 보여지는 수직과 사선의 조화로움은 위엄 있는 모습을 보여주며 하늘을 향해 뻗은 기와지붕의 모서리는 긴장감을 주기도 한다. 기와는 한가지로 구성된 것이 아니라 음양의 조화와 같이 암키와와 수키와의 결합과 반복으로 율동적인 선율을 나타낸다. 한국 고건축에서 나타나는 전통 기와의 구조적 형태와 조형적 측면을 연구하고, 각각의 기능 분리가 연출하는 반복적인 선과 결합을 통한 미적 구성들을 도자 조형에 접목시키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전통 기와 중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많은 수량을 차지하고 있는 수키와와 암키와를 중심으로 재해석하여 반복, 나열, 적재, 결합하는 형태 구성원리와 조형요소를 알아보고, 보다 창의적인 형태 변화의 가능성을 도자조형으로 찾는데 목적을 두었다. 기와의 조형적 특성과 종류, 형태를 정리하고 표현을 단순화 하여 주관적으로 바라보는 시각에 따라 변화되어지는 모습을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작품 제작에 있어서는 일정 모양의 반복적인 선을 표현하기 위해서 석고형틀을 이용한 이장주입 성형기법으로 하였고, 태토는 백색도를 높이기 위해 자기질 점토를 사용하였다. 유약처리는 결합되는 곡선은 무유 처리하였고 한국적인 느낌을 살리기 위해 백색으로 표현될 수 있는 투명유와 백matt유로 담금시유하였고, 부분적으로는 흑유와 철유를 사용하였다. 1차 소성은 0.5㎥ 가스가마에서 최고 온도 800℃까지 8시간 동안 소성하였고, 2차 소성은 0.3㎥ 가스가마에서 <작품2> <작품4> <작품6> <작품7> 를 최고 온도 1260℃까지 10시간에 걸쳐 환원염으로 소성하였고, 0.5㎥ 전기가마에서는 <작품1> <작품3> <작품 5> <작품8> <작품9> <작품10>을 최고 온도 1250℃까지 9시간 동안 산화염으로 소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전통기와에서 보여지는 구조적 형태미와 반복되는 유려한 곡선에 중점을 두고 작업했으며, 한국적 이미지를 부각시켜 전통문화의 조형의식을 주관적인 해석 과정을 거쳐 다양한 형태로 시도할 수 있었다. 세부적으로는 암키와와 수키와의 결합된 형태를 연출해 새로운 조형미를 표현하였으며, 처마 끝에 사용되는 막새는 곡선의 반복으로 밋밋해질 수 있는 부분에 적용시켜 다양한 형태미를 찾아낼 수 있었다. 서까래 기와와 장식적인 요소가 강한 망새의 기본적인 특성을 살려 현대적인 시각으로 한국의 자연과 어울려 도자 조형미를 창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전통문화에 더욱 관심을 갖게 된 계기가 되었으며, 우리만의 미의식을 찾아내는 작업은 모든 이에게 주어진 숙제일 것이다. 한국적 조형미의 고찰과 이를 응용한 조형작품이 지속적으로 발전되길 기대한다. ;All race has their unique traditional culture. Their temper, feature, history, and lift style become a traditional culture after developing and transiting by the surrounding culture and environment. It is needed that the diversified approaches to solve the problem; how the Korean traditional culture must be succeeded and developed. The feature of the Korean beauty is that the simplicity and purity are implied in it. But, if considering more, we can find its unique rule, order, elegant style, and charms. Our ancestors believe a building as a part of nature and adapt them to circumstances. They has constructed houses with the roof as like as a ridgeline, the shallow poles, the harmony of the eaves and wall, and the natural materials such as wood. In our traditional culture, the tile, a material of old building, is one of the cultural inheritance speaking the culture of that time. The charm of Korean tile is that the image of a building changes incessantly according to the visual angle and position. Because the tile in the four seasons is harmony with a beautiful ridgeline and blue sky, even the same tile can be visible differently by the visual angle and position. We can find excellent proportional sense and simplicity from the curves of the eaves and the graceful valley of the roof tiles. The accord of a vertical line and trajectory in the roof tiles shows its dignity. On the other hand, the corner of the roof tiles stretching to the sky gives us a tension. The tile shows an effect of rhythmical melody through the combination and repetition of the male and female tiles in the harmony of the male and female principles. This study had investigated the tiles in the structural forms and formative aspect. And using the repeated lines and combination presented from the functional separation of the tiles, it had tries to apply the beauty composition to the formative ar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possibility about more creative shape change by the repetition, arrangement, stacking, and combination of the male and female tiles, which are the basic and the majority in the Korean traditional tiles. The slip casting technique and the porcelain clay with a high level of whiteness were used to express the invariable and repetitive lines. The combined curves are unglazed. To express the Korean images, the dipping technique is performed with the transparent glaze, transparent matt glaze, and white matt glaze. Partially, the black glaze and iron glaze are used. The first firing was progressed in maximum 800℃ for eight hours in an 0.5㎥ gas kiln. The second firing for <Works 1, 3, 5, 8, 9 and 10> was done in maximum 1260℃ for ten hours in an 0.3㎥ gas kiln. The second firing for <Works 2, 4, 6, and 7> was done in maximum 1250℃ oxidized-chlorine for nine hours in an 0.5㎥ electric kiln.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can try emboss the Korean images by the structural beauty and repetitive elegant lines in the traditional tiles, and try various methods for the formative senses analyzed subjectively in the traditional culture. In details, the researcher expressed the geometric curves and lines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male and female tiles. By apply the convex tiles at the edge of eaves to the dry fragment using the repetition of curves, the researcher could find the various formative beauty. And the researcher could also present the ceramic formative beauty by combining the Korean nature with the rafter tiles, the Chimi, and the decorative tile in a modern view. This study made interest the researcher to the traditional culture more and more. But, to finding our unique beauty sense is a question given to all of us. It is the researcher's sincere hope that this study contributes to further studies about the Korean formative beauty and formative arts applying tha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ⅸ 1. 서론 = 1 1.1 연구의 동기 및 목적 = 1 1.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2 2. 한국의 미와 기와 = 4 2.1 자연과 한국의 미 = 4 2.2 기와의 역사 = 6 2.3 기와의 종류 및 형태 = 9 3. 기와의 조형성 = 12 3.1 기와의 조형성 = 12 3.2 기와의 이미지가 나타난 작품 사례 = 15 4. 작품 제작 과정 및 해설 = 25 4.1 조형 과정 = 25 4.2 작품 제작 과정 및 해석 = 37 5. 결론 = 61 참고문헌 = 63 ABSTRACT = 6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6679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한국전통 기와를 모티브로한 도자조형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x, 6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도자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도자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