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미현-
dc.creator이미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45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45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86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82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860-
dc.description.abstract고구려의 복식은 우리나라 고대 복식의 기본으로 민족의 기원과 문화적 영향관계를 알려주는 좋은 자료이다. 본 연구는 고구려 고분벽화 및 당시의 각종 회화 및 유물 자료에 나타난 자료를 근거로 고구려의 복식 중 남자복식의 양식을 분석하고 중국과의 대외관계 속에서 나타난 집안과 평양·안악의 지역적 차이와 시대적 차이에 따른 복식의 변화와 영향관계를 밝히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고구려의 초기 고분벽화는 생활풍속을 주요 주제로 하며 집안과 평양·안악 지방으로 그 성격이 구별된다. 집안지역의 고분벽화에는 유목문화적 특징이 발견되며 이에 반해 초기 평양지역 고분벽화에서는 漢四郡 설치에 의한 중국계의 영향이 많이 드러난다. 평양지역의 복식은 평양 천도, 남진 정책 등으로 인하여 점차로 집안 지역과 혼합되는 결과를 낳게 되며 이러한 양상은 두 지역의 고분벽화에서 각각 확인할 수 있다. 고구려 남자복식은 크게 관모, 上衣와 外衣, 下衣, 足衣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 중 관모는 鳥羽冠, 折風, 蘇骨 등을 포함하는 弁形帽와 여러 종류의 책, 黑巾, 기타 笠, 角冠, 金冠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弁形帽는 帽體가 고깔형인 折風을 기본으로 하는 관모를 말하는 것으로 折風을 비롯해 蘇骨과 鳥羽冠이 해당한다. 折風은 두 손을 합장한 듯한 형태의 가운데가 솟은 모자로 가장 기본적인 고구려의 관모이다. 蘇骨은 折風과 같은 형태이지만 그 재료가 羅로 이루어졌으며 鳥羽를 장식하였다. 鳥羽冠은 고구려의 가장 특색있는 관모 중 하나로 일반적으로 折風과 같은 弁形帽에 鳥羽를 삽식한 경우를 이르며 이 외에도 고구려에는 蘇骨, 角冠, 책, 투구 등에도 鳥羽를 삽식한 예가 발견된다. 후기의 鳥羽冠은 金屬製 鳥羽를 삽식하기도 했으며, 특히 鳥羽의 개수가 3개로 변화되는 양상이 보인다. 책은 주로 평양·안악지역의 고분벽화에 등장하며 耳의 개수에 따라 雙耳는 文官, 單耳는 武官의 것으로 구분된다. 검정색이 보통이지만 때에 따라서는 붉은색과 흰색의 책을 착용하기도 했다. 책은 중국의 영향으로 착용하게 된 것으로 생각되며, 시간이 흘러감에 따라 점차적으로 고구려만의 특징이 가미되어 형태적인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중국에는 책을 밑받침관으로 사용한 것에 비해 고구려의 책은 함께 착용하는 冠을 생략하거나 매우 간소화하여 착용했다. 籠冠 역시 중국에서 받아들인 것으로 책을 밑받침 관으로 하여 착용하는 망으로 된 武冠과 같은 것이다. 黑巾은 하급계층에서 주로 사용한 활동성 강한 관모 중 하나로 집안 지역의 鳥羽冠과 함께 수렵용으로 많이 착용했다. 이 외에 발견되는 관모들은 笠과 角冠, 金冠 등이 있다. 고분벽화에서 발견되는 笠은 주로 帽頂과 챙이 구분되는 패랭이형이며 이 외에도 方笠形 笠도 착용했을 것으로 추정한다. 角冠은 머리 위에 각이 진 네모난 것을 얹은 형태로 주로 상류층에서 사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고구려의 金冠은 신라에 비해 그 출토된 양이 매우 적은데, 그나마도 그 쓰임새가 정확히 밝혀지지 않은 것이 많다. 다만 金銀으로 관모를 장식하는 습속이 있었음을 문헌에서 확인할 수 있다. 지역별로는 책, 籠冠은 평양·안악 지역의 고분벽화에 주로 등장하며 鳥羽冠, 折風, 蘇骨은 집안 지역의 고분벽화에 주로 나타나 관모들이 각각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는 복식물임을 알 수 있었다. 上衣에는 □, 外衣에는 袍가 속하는데 대개 깃의 형태, 여밈 방식, □과 기타 장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보인다. 깃은 크게 곧은 깃과 둥근 깃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 중 곧은 깃에는 일반적으로 直領이라고 일컬어지는 유형Ⅰ과 直領으로 보이지만 깃의 아랫부분이 단절되어 구성이 확실치 않은 유형Ⅱ, 그리고 목둘레가 V자형으로 파인 듯이 보이는 유형Ⅲ이 있다. 둥근 깃은 주로 內衣에 많이 사용되었으며 주변국가들에서도 그 실물을 확인 할 수 있다. 여미는 방식으로는 布帛帶, □帶, 동물다리형 帶 등이 보이며, 이 외에 帶로 보이지만 고분벽화에 마치 고름을 표현한 듯 보이는 帶가 확인되었다. 장식으로는 깃과 섶, 도련, 소매끝, 소매와 길을 연결하는 부분에 □을 장식한 것이 보이며, 어깨에 짙은 색의 천을 대어 장식하는 방식도 사용되었다. 下衣에는 袴가 있으며 □의 형태와 바지 너비, 길이에 따라 형태가 다양하다. □의 형태는 삼각형과 사각형 등이 존재했던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바지의 모양새가 엉덩이가 뾰족한 형과 그렇지 않은 형으로 나누어진다. 바지 너비에 따라서는 바지부리가 넓은 大口袴와 바지통이 넓은 寬袴와 좁은 細袴로 나눌 수 있으며 寬袴의 경우 시대에 따라 점차 품이 넓어지는 것을 살펴볼 수 있었다. 袴 역시 바지부리의 덧대는 장식, 대님, 바지트임과 같은 세부적인 장식에 따라 구분이 되었다. 足衣에는 신으로는 履·靴가 있으며, 그 외에는 襪과 行纏이 있다. 履는 발등을 덮는 지의 여부와 발등을 여미는 방식에 따라 형태가 다양하게 보이며, 靴 역시 구성에 따라 모양이 여러 가지 등장한다. 대체로 □·袴와 같은 기본 복식은 모든 벽화에 나타나지만 관모에 있어서 집안과 평양·안악의 지역별 분포가 확연히 드러났고 깃이나 어깨장식, □장식과 같은 세부적인 사항 역시 지역적인 차이를 보였다. 이렇게 집안과 평양·안악 지역에 등장하는 복식의 종류는 서로 구분되는 경향이 있으며, 이것이 5세기 중후반에 이르러서야 조금씩 혼합되는 양상을 보인다. 이는 고구려의 평양 천도 이후 집안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고구려 문화가 평양 지역으로 전파되었음은 물론 평양의 토착 호족 세력이 가진 중국과 관련된 선진 문화 역시 복식문화와 함께 집안 지역으로 퍼져나갔을 것으로 추측 가능하다. 이상으로 고구려의 남자복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중국 문헌과 고구려 고분벽화, 기타 회화자료, 유물 등을 통해 이제까지의 연구에서 다루지 못했던 여러 복식물의 구성을 밝히고자 했으며, 통념상 간과되던 복식 특징을 새롭게 추가하고자 노력하였다. 이로써 고구려 남자복식의 다양한 형태와 시대별, 지역별 양식 변화를 알아보았으나 이에 더해 고대 한국복식의 기원과 영향관계를 보다 자세히 알기 위해서는 여자복식에 대한 연구도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또한 실크로드의 東端으로서 고구려와 서역과의 관계가 밀접했음에도 불구하고 내륙아시아의 복식에 대해서는 단편적인 부분만을 살펴보는데 그쳤다. 따라서 이와 관련한 후속 연구가 요청되며, 東晋을 비롯한 南朝와의 영향관계를 파악하는 것도 필요하다. ;The dress style of the Koguryo(高句麗) Dynasty is the basic of Korean ancient dress style and a good material showing the origin of this nation and the cultural influence of surrounding countries.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analyze the style of male dress in the Koguryo Dynasty based on Koguryo tomb wall paintings and various painting and articles in those days and to identify changes in dress style and factors influencing the changes based on differences between Jip-An(集安)and Pyeongyang(平壤)·Anak(安岳) and differences between ages appearing under the diplomatic relation with China. The style of Koguryo male dress is largely divided into headgear, upper and outer garments, lower garment and footwear. The headgear is divided into two groups; Byunhyeongmo(弁形帽) which includes Jowookwan(鳥羽冠), Jeolpoong(折風), Sogol(蘇骨), and various types of Chaik(□), HeukKun(黑巾), Rip(笠), Gakkwan(角冠), Kumkwan(金冠: golden crown). The basic type of Byunhyeongmo(弁形帽), which also includes Sogol(蘇骨) and Jowookwan(鳥羽冠), is the cone-shaped headgear Jeolpoong(折風) that resembles two hands joined in prayer-the typical Koguryo style. The shape of Sogol(蘇骨) is similar to that of Jeolpoong(折風), but it is made of Ra(羅) and decorated with Jowoo(鳥羽). Jowookwan(鳥羽冠), one of the most unique type of Koguryo headgear, is a Byunhyeongmo(弁形帽) like Jeolpoong(折風) ornamented with Jowoo(鳥羽: feather), and there are also some examples of such decoration found in Sogol(蘇骨), Gakkwan(角冠), Chaik(□), Helmet(鬪具) as well. In later period, metalic Jowoo(鳥羽: feather) was used for Jowookwan(鳥羽冠) and the number of Jowoo(鳥羽) used changed to three. Chaik(□) is often found in the tomb wall paintings of PyeongyangㆍAnak area and is classified into two, Ssang-ee(雙耳: two ears) for civil officials and Dan-ee(單耳: one ear) worn by military officials, according to the number of ear pieces. Usually Chaik(□) is black in color but red and white pieces were occasionally worn. It can be inferred that although Chaik(□) became a part of Koguryo dress due to Chinese influence, it developed into unique Koguryo style later on. For example, Chaik(□) was used as a underlying object for putting on Kwan(冠) in China, but in Koguryo Kwan(冠) was either omitted or very much simplified. Longkwan(籠冠) which also originated from China, is a net type Mukwan(武冠) that uses Chaik(□) as the underlying crown. The comfortable HeukKun(黑巾) was commonly used by lower-class people and was worn for hunting, like Jowookwan(鳥羽冠) of Jip-An area. Other headgears include Rip(笠), Gakkwan(角冠), and Kumkwan(金冠). The common type of Rip(笠) found in tomb wall paintings is like Paeraengi(패랭이: a kind of a straw hat) in which peak and visor is divided, and Bangriphyeong(方笠形) Rip(笠) is also thought to have been used. Gakkwan(角冠) which had a square board on the top, was mainly used by the high-class. Unlike that of Shilla(新羅) dynasty, the number of Koguryo Kumkwan(金冠) found is few and in many cases, the exact uses has not been identified. Only the fact that there existed a custom of decorating headgear with gold and silver is found in documents. Since Chaik(□) and Longkwan(籠冠) usually appear in PyeongyangㆍAnak region tomb wall paintings, and Jowookwan(鳥羽冠), Jeolpoong(折風), Sogol(蘇骨) in Jip-An area, it can be inferred that these headgears are representative of regionally-unique apparel. Upper and outer garments are You(□: jacket) and Po(袍: coat) that show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shape of collar and gusset, method of arrangement, Seon(□) and other ornaments. The collar is divided largely into straight and round ones, and among the straight collars are type Ⅰ) Jikryeong(直領: straight collar), type Ⅱ) which resembles Jikryeong(直領) but has undiscernable lower part, and V shaped type Ⅲ) that looks like Kwandooui(貫頭衣: Poncho). The round collar had been commonly used for inner clothing and similar usage can be found in neighboring countries. Pobaekdae(布帛帶: fabric belt), Gwadae(□帶: metalic belt), and Dae(帶: belt) with animal leg-shape attached are included in the folding style clothes, and a Dae(帶) that resembles a Gorum(고름: breast-tie) was also found on tomb walls. The collar, Sup(섶), Doryeon(도련), sleeve-ends, and the part where the sleeve and bodice meets are decorated with Seon(□), and in some cases, dark-colored fabric is attached to the shoulder. Lower garment was Go(袴: trousers) of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shape of Dang(□), width and length. The shape of short pants was triangle or square, and according to which the trousers had pointed or non pointed hips. According to width, there were wide Gwango(寬袴) and narrow Sego(細袴). Gwango(寬袴) grew wider over time, and in the late age, Daegugo (大口袴) with wide ends was worn. Trousers were also decorated elaborately with patches on the edges, leg ties, vents, etc. As for footwear, there were Ri(履: shoes), Hwa(靴: boots), socks and Haengjeon(行纏: leggings for wrapping legs). Ri(履) were divided into different forms according to whether the top side of the foot was covered or not, and shoes also had different forms according to their structure. Although the basic dress like You(□: upper garment)·Go(袴: trousers) are commonly found on every tomb wall paintings, the regional differences of headgear was significant between Jip-An and Pyeongyang·Anak areas. In this way the kinds of dress found in Jip-An and Pyeongyang·Anak we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and they began to mix little by little only from the mid and late 5th century. It is thought that Koguryo culture based on Jip-An was transmitted to Pyeongyang area with the transfer of the capital of Koguryo to Pyeongyang, and reversely advanced Chinese culture of native powerful clans in Pyeongyang was spread to Jip-An area. We have examined the style of male dress in the Koguryo Dynasty. This study aimed at disclosing the structure of Koguryo dress style through Chinese documentary records, Koguryo tomb wall paintings, paintings and other ancient articles, and tried to scrutinize parts that had been overlooked because of generally accepted ideas in dress style history. This study investigated a variety of female dress style in Koguryo and differences among them by age and by locality, but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study the style of female dress as well in order to understand the exchange of influence related to dress style. In addition, despite the close relation between Koguryo, the east end of the Silk Road, and the West of China, this study was limited to a partial review on the dress style of inland Asia. Thus it is necessary to perform a follow up research as well as research on the relation of Koguryo with the Southern Kingdoms(南朝) including Eastern-Jin(東晋) of China.-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목적과 의의 = 1 B. 연구범위 및 방법 = 3 Ⅱ. 고분벽화에 나타난 고구려 남자복식의 지역별 특징 = 5 Ⅲ. 고구려의 남자복식 = 9 A. 관모 = 10 1. 弁形帽 = 13 2. 책 = 23 3. 黑巾 = 36 4. 기타 = 39 B. 上衣와 外衣 = 46 1. 깃과 여밈 = 48 2. 帶 = 63 3. □ 및 기타 장식 = 74 C. 下衣 = 78 가. □의 형태에 따라 = 79 나. 바지통의 너비에 따라 = 84 다. 길이에 따라 = 88 라. 기타 장식에 따라 = 90 D. 足衣 = 92 1. 신발 = 92 2. 襪과 행전 = 96 Ⅳ. 결론 및 제언 = 98 참고문헌 = 102 ABSTRACT = 10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27533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남자복식의 양식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xi, 11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직물학과-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