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황옥희-
dc.creator황옥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39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39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71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80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710-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nurses working for lung cancer department and their patients for contents and effects of nurses' education for lung cancer patients as well as for patients 'knowledge about lung cancer. The population for this study were 28 hospitals registered as their cancer patients' ratio exceeding 1% by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annual report in 2002. Then, 137 nurses were sampled from 13hospitals and 114 patients were sampled from 5 hospital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8 to June 8, 2004.The questionnaire of the survey consisted of 52 items about lung cancer in addition to those about demographic variables. The collected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with SPSS program by applying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t-test, and Duncan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1. It was found that nurses were educating the lung cancer patients on possible side-effects of treatment most, followed by management of symptoms, medication, process of treatment, other information, ordinary life and diet, and disease itself in their order. The performance of education perceived scored 3.26 ± .67.2. Staff nurses accounted for 66.4% of the nurses who were educating the lung cancer patients, and special clinical nurses or special education nurses accounted for 21.2%. The leaflets produced by nurses were used in 43.1% of the cases, and 41.6% of the educational media were about general information about lung cancer.3. The performance of nurses' education was correlated with the nurses' educational background (F=3,627, p=.015), the current job position (F=4.448,p=.005), the type of hospital (t=4.8000, p=.0000), the ratio of nurses to number of beds (F=5.328, p=.006) and the type of nursing delivery systems (F=8.263, p=.000).4. The area known most by lung cancer patients was other information, followed by side-effects of treatment, ordinary life and diety, management of symptoms, disease itself, medication and treatment process in their order Patients level of knowledge scored2.47±.78.5. The channel used most frequently by lung cancer patients for information was doctor, followed by Internet, newspaper or magazine, family members, friends, nurses and TV in their order.6. Patients' level of knowledge was correlated with monthly family income (F=3.134, p=.047) and participation in education (t=4.150, p=.000).In conclusion, performance of nurses' education of lung cancer patients was 3.26 ± .67, while patients' level of knowledge about their disease was 2.47±.78Nurses' education performanc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 who had completed a graduate school than in the group who had graduated from college or lower schools.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special clinical nurses were performing far more significantly in their education than RN or CN. On the other hand, the educational performances were higher at the special hospitals, the team nursing delivery system or in case of a lower ratio of nurses to the number of hospital beds than at university hospitals, the functional or mixed nursing delivery system or in case of a higher ratio of nurses to the number of hospital beds. Such a finding may suggest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s' education performances and types of hospital organization, while making continued efforts to construct an efficient team-wise nursing service delivery system and recruiting more nurses. Since those patients who had ever participated in an education program about lung cancer were significantly more informed of the disease, it is essential to develop a proper educational program meeting patients' needs. ;본 연구는 간호사와 폐암환자를 대상으로 간호사가 폐암환자에게 제공하는 교육내용과 교육수행정도 및 폐암환자의 폐암관련 지식정도를 파악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2002년 한국중앙암등록사업 연례보고서의 병원별 암둥록분율1%이상인 28개 병원의 폐암관련부서 근무 간호사 및 폐암환자를 모집단으로 하여, 간호사 13개 병원 137명, 환자 5개 병원 11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04년 5월 8일부터 2004년 6월 8일까지 총 32일간이었다. 연구도구는 문헌 고찰 및 미국의 NCI, ACS, AICR, MSKCC의 환자 교육자료를 토대로 작성하였으며, 간호사용 설문지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19문항과 폐암관련 내용 52문항으로 구성하였고, 환자용 설문지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7문항과 폐암관련 내용 52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으로 전산통계 처리하였으며 기술통계, t-test,ANOVA, Duncan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간호사의 폐암환자 대상 각 세부영역별 교육수행정도는 치료 부작용에 관한 내용을 가장 많이 수행하고 있었고, 증상관리, 투약, 치료과정, 기타정보, 일상생활 및 식이, 질병순이었으며, 총 교육내용의 수행정도는 3.26± .6「(가능범위, 1~5)이었다. 2. 폐암환자의 교육을 수행하는 담당자는 일반간호사가 66.4%로 가장 많았고, 임상전문간호사 및 교육전담간호사 21.2% 순이었다. 교육방법은 자체 제작 리플렛을 이용하는 경우가 43.1%로 가장 많았고, 사용하는 교육매체의 내용은 폐암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와 관련된 것이 41.6%로 가장많았다. 3. 간호사의 교육수행정도는 간호사의 교육정도(F=3.627, p=.015), 직위(F=4.448, p=.005), 병원유형(t=4.8000, p=.0000), 병상수대 간호사수 비율(F=5.328, p=.006), 병동간호전달체계(F=8.263, p=.000)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폐암환자의 폐암관련 각 세부영역별 지식정도는 기타정보 관련 내용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치료부작용, 일상생활 및 식이, 증상관리, 질병,투약, 치료과정 순이었고, 총 지식정도는 2.47±.78(가능범위, 1~5)이었다. 5. 폐암환자의 폐암관련 정보습득 경로는 의사가 가장 많았고, 인터넷,신문이나 잡지, 가족이나 친구, 간호사, TV순이었다. 6. 폐암환자의 폐암관련 지식정도는 가계 월수입(F=3.134, p=.O47), 폐암관련 교육 참여 여부(t=4.150, p=.000)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간호사의 폐암환자 대상 교육수행정도는 3.26±.67(가능범위1-5)이었고, 폐암환자의 폐암관련 지식정도는 2.4「±.78(가능범위 1~5)이었다. 간호사의 폐암환자 대상 교육수행정도는 대학졸업이하의 군보다 대학원졸업이상의 군에서, 일반간호사나 책임간호사보다 임상전문간호사의 교육수행정도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임상전문간호사의 대학원 교육과 연관된 것으로 해석된다. 임상전문간호사의 역할중 핵심영역이 환자교육이고, 각 기관에서 이들의 자격기준으로 석사(최소 학사이상)이상을 요구하는 것과 연관된다. 병원유형별로는 대학부속병원에 비해 전문병원의 교육수행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간호사의 교육수행정도와 조직체계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병동간호전달체계에 따라서는 팀 간호전달체계가 기능적 및 혼합형 간호전달체계보다교육수행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병상수 대 간호사수의 비율이 낮을수록 교육수행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효율적인 팀 간호전달체계 구축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 및 적절한 간호인력 확보를 통하여 간호사들이 환자의 교육에 보다 더 관심을 가지고 시간을 할애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폐암환자의 폐암관련 지식정도는 폐암관련 교육에 참여한 경험이있는 대상자에서 유의하게 높게 측정되어, 대상자의 요구에 맞는 적절한교육 참여 기회의 확대가 필요하다 하겠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2 II. 문헌 고찰 = 4 A. 폐암환자 간호 = 4 B. 암환자교육 = 9 III. 연구 방법 = 14 A. 연구 설계 = 14 B.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기간 = 14 C. 연구 도구 = 14 D. 자료 수집 방법 = 16 E. 자료 처리 및 분석 방법 = 16 F. 연구 대상자에 대한 윤리적 고려 = 17 IV. 연구 결과 및 논의 = 18 A.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18 B. 간호사가 폐암환자에게 실시한 교육수행정도 = 28 C.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교육수행정도 = 29 D. 폐암환자의 폐암관련 지식정도 = 32 E. 폐암환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폐암관련 지식정도 = 34 F. 연구의 제한점 = 36 V. 결론 및 제언 = 38 참고문헌 = 42 부록 = 53 ABSTRACT = 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09297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폐암환자의 교육실태 조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x, 8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0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