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성선아-
dc.creator성선아-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35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35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33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78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330-
dc.description.abstract세계적으로 고령화가 일어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는 빠른 속도로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였다. 인구구조의 고령화와 함께 나타나는 변화는 노인의 빈곤화이며, 이러한 노인의 빈곤문제나 건강문제는 여성노인의 문제인 경우가 더 많다. 저소득 여성 노인은 인구사회학적으로 높은 독거율, 낮은 취업률과 급여수준, 낮은 교육수준 등으로 사회경제적으로 취약한 상태에 있는 전형적인 소외계층이며 높은 만성질환 유병률 등으로 신체적 기능이 일반 노인에 비하여 불량한 상태와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사회심리적 위축, 우울 등의 정신건강상태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경제적 어려움이 일상생활 및 건강유지에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저소득 여성 노인을 위한 경제적인 건강증진 방안의 일환으로 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체력,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는 노화와 더불어 상대적으로 낮은 체력 상태, 높은 만성질환 유병률 등을 특성으로 하는 소외계층인 저소득 여성 노인의 신체적, 심리 사회적 측면의 건강 증진에 기여하게 될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의 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 사후 유사실험연구로, 2004년 3월 14일부터 2004년 5월 6일까지 8주동안 실험군 26명, 대조군 22명 총 48명의 65세 이상의 저소득 여성 노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처치로 총 8주 동안 주 2회, 1회 45-50분의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운동프로그램은 스트레칭, 관절가동성, 근력강화운동을 한국 노인의 정서에 알맞은 동요, 민요, 대중가요의 리듬에 맞춘 율동 동작을 기본 구성으로 하였다. 준비운동, 본 운동, 정리운동으로 구성하였으며, 첫 4주 동안 운동에 대한 전반적인 교육을 1회 50분의 운동프로그램 시간 중 15분 동안 총 8회로 나누어 실시하였고, 운동강도와 1회 운동지속시간을 점차적으로 증가시켜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건강관련 특성, 운동 실태와 종속변수인 체력과 우울은 연구자가 연구보조자의 도움을 받아 운동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측정하였다. 체력은 신체구성, 심폐지구력,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과 평형성을 포함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을 이용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 동질성은 χ^(2)-test와 t-test로, 제 변수간의 운동프로그램 전후 차이 비교는 paired t-test로 분석하였고, 실험군과 대조군간의 평균변화차이 비교는 t-test로 분석하였다. 모든 통계의 유의수준은 p<.05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BMI가 유의하게 감소하여 신체구성이 향상되었다(p=.004). 2)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군의 심폐지구력은 대조군에 비해 안정시 수축기혈압과 심박동수가 감소하였으나 유의하지 않아 심폐지구력의 향상을 보이지 않았다. 3)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군은 오른손 악력과 왼손 악력 모두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왼손 악력만 유의하였다(p=.078, p=.016). 4)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군의 근지구력은 대조군과 비교시 전후차이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17). 5)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군의 유연성은 대조군과 비교시 전후차이가 증가하였으나 유의하지 않았다. 6)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군의 평형성은 운동 전후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 대조군과 비교시에도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02). 7) 운동프로그램 종료 후 실험군의 우울은 운동 전후 유의한 감소를 보였고 대조군과 비교시에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 이상의 연구 결과는 8주간의 운동프로그램이 저소득 여성 노인의 체력 요인을 증가시키고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8주간의 운동을 통하여 본 운동프로그램이 저소득 여성 노인의 체력과 우울에 효과가 있는 것을 시사해 주는 것이므로 사회경제적 상태가 낮아 생활 스트레스 사건들과 경제적 부담으로 노인 스스로 해결하기 곤란한 저소득 여성 노인의 특성을 감안할 때 긍정적이고 독립적인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역사회 노인간호중재 방안으로 제시할 수 있다. 앞으로 장기적으로 효과의 지속성에 대한 추후 검증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으며, 상대적으로 운동프로그램의 부재로 인한 규칙적 운동실천비율이 낮은 농어촌 거주 노인의 건강증진을 위한 간호중재 방법으로 효과적인 운동프로그램을 모색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xercise program on health related fitness and depression of low-income elderly women. The design of research wa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subject was 26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2 in the control group. The independence variable is exercise program and the dependent variables are the health related fitness and depression. The exercise program was performed for 45-50 minutes, twice each week for 8weeks to the experimental group. Interview-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physical measures assessed general characteristics, depression, health related fitness status. To analyse depression CES-D was used. The data was collected from March 2004 to May 2004. The data was analyzed by SPSS 12.0 program, yielding means, standard deviations, frequencies, percentiles, χ2-test, t-test, and paired t-test. Participants were pre-tested and post-tested for the selected variables. Significant differences(p<.05) were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related characteristics and exercise habits were heterogeneous. 2. There were statistically no difference on health related fitness except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depression level applying the exercise program between two groups. 3. After the exercise program, body mass index in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more increased compared control group(p=.004). 4. After the exercise program, cardiopulmonary endurance was not improved because systolic blood pressure and pulse rate at rest in experimental group were not significantly decreased. 5. After the exercise program, muscle strength measured by right and left hand grip strength in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control group(p=.016). 6. After the exercise program, muscle endurance in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more increased compared control group(p=.017). 7. After the exercise program, flexibility in experimental group was improved compared control group but there was statistically no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8. After the exercise program, balance in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control group(p=.002). 9. After the exercise program, depression in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more decreased compared control group(p=.001). In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an exercise program has the potential to improve performance in a number of physiological variables, functional activities and to decrease depression in low-income elderly women. Furthermore the exercise program can enhance life satisfaction in low-income elderly wome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ⅰ 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4 C. 용어 정의 = 5 Ⅱ. 문헌 고찰 = 7 A. 노인 운동프로그램 = 7 B. 노인과 체력 = 15 C. 노인과 우울 = 20 Ⅲ. 연구 방법 = 24 A. 연구 설계 = 24 B. 연구 대상 = 24 C. 연구 도구 = 24 D. 자료 수집 방법 및 절차 = 27 E. 자료 분석 = 32 F. 윤리적 고려 = 32 Ⅳ. 연구 결과 = 33 A.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증 = 33 B. 운동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 40 C. 연구의 제한점 = 45 Ⅴ. 논의 = 46 A. 운동프로그램이 체력에 미치는 효과 = 46 B. 운동프로그램이 우울에 미치는 효과 = 52 Ⅵ. 결론 및 제언 = 55 A. 결론 = 55 B. 제언 = 57 참고문헌 = 59 부록 = 68 Abstract = 8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0888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운동프로그램이 저소득 여성 노인의 체력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 8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0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