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8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서혜진-
dc.creator서혜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35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35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32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78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326-
dc.description.abstract초고속 통신망의 확대, PC의 성능향상과 함께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커뮤니티의 발전은 최근 몇 년간 우리사회에서 가장 주목했던 변화 중 하나 이다. 사이버 공간에서 인터넷 사용자들이 상호작용 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사회적 집합체인 온라인 공동체(Community)는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컨텐츠(Contents)와 함께 인터넷 사업의 수익 모델로 간주됨에 따라 커뮤니티에 대한 많은 논의들이 이루어 졌다. 그러나 이들 연구의 한계는 온라인 커뮤니티를 현실공간과 분리된 대상으로 간주한다는 것에 있다. 그러나 온라인 커뮤니티가 사용자들의 일상생활에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 잡고 있는 현시점에서는 논제의 타당성이 떨어진다. 온라인 커뮤니티 사용자의 행동도 현실세계의 그것과 닮아 가고 인터넷이 강력한 미디어로 인식 되면서 매스 미디어와 사용자의 분석이론이 온라인으로 그 분석 대상을 확대 하고 있다. 이 시점에서 2003년 현재 커뮤니티에 일어나고 있는 현상과 커뮤니티가발전함에 따라 나타나는 사용자의 능동성에 초점을 맞추어 커뮤니티 사용자의 모델을 새롭게 제시하고자 한다. 사용자가 커뮤니티의 주변인으로 머물렀던 초기부터 사용자에 의해 창조되는 현재의 커뮤니티까지 사용자로부터 능동성이 생성된 과정과 최근 커뮤니티 사용자들의 요구를 분석하고 현재 인터넷에 부족한 문화적 다양성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다. 1장에서 커뮤니티의 탄생 배경과 발전과정을 알아보고 최근 나타나고 있는 1인 미디어에 작용하는 의미변화에 주목한다. 최초 지역적인 성격을 띠고 탄생한 공동체 문화는 공간적, 시간적 한계를 뛰어넘어 디지털 문화의 중추에 서서 미디어 창조자로서의 역할에 도전하고 있다. 그 과정에서 상호 작용성, 개인화, 멀티미디어의 활용 등으로 공동체의 기본개념이 많이 흐려졌으며 이에 따라 공동체의 의미를 재정립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 되었다. 2장에서는 수용자가 커뮤니티를 인지하는 과정을 통시적 관점에서 서술한다. 미디어의 소비자에 불과했던 수용자가 미디어 창조자로 거듭나기까지 수용자가 이어온 행동과 집단을 거부하고 개인화로성향이 변하면서 수용자에 대한 새로운 모델이 무엇인지 예측한다. 또 사용자를 능동성의 관점에서 몇 가지로 분류하고 특성과 장단점에 대해 분석하며 이들을 수용할 수 있는 새로운 커뮤니티의 모습을 제시한다. 3장은 지금까지 논의된 커뮤니티와 사용자의 변화에 맞추어 나타나게 될 새로운 커뮤니티의 유형을 분석한다. 능동적인 커뮤니티에서 중요해진 사용자의 자발성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방법과 그에 알맞은 애플리케이션, 그 결과로써 생성될 집합체에 대해서 연구한다. 4장에서는 3장에서 논의된 유형에 가장 알맞다고 보여 지는 커뮤니티를 개발하는 과정을 서술한다. 사용자의 은밀하고 자유로운 통로가 되는 커뮤니티를 위해 '낙서'의 개념을 도입하였으며 사용자가 컨텐츠에 대한 책임감으로부터 자유로워지기 위해익명성을 보장 한다. 사용자의 자발성을 지양하고 높은 자유도로써 풍부한 문화적 소스가 생성될 수 있는 공간으로 개발한다.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based communities thanks to expansion of high-speed communication networks and improvements in PC performance is one of remarkable changes that our society has faced recently. The online community taking its shape while Internet users are interacting each other in the cyberspace has been recognized as a profit model for the Internet-based business together with communication and contents. For this reason, many studies have been made about the online community. But existing studies have the limitation of regarding the online community as being separated from actual space. Given the influence of the online community on daily life of Internet users, they are deemed to be inadequate. Acts of online community users resemble those of offline people and traditional theories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mass media and the audience extend their concerns toward the online community. The study is to propose a new model for online community users focusing on activeness of users boosted up by community development. It also analyzes the process that the activeness has been created from the beginning when users were just situated as outsider of community to the time when they are actively creating their own communities. Through the analysis on appeal points of community users, the study is designed to seek how to create cultural diversity in the Internet. Chapter 1 addresses backgrounds of the creation of the community and its development path and keeps an eye on one-person media. The culture of community that was first created in the regional aspect transcends temporal and spatial limitations to have a pivotal role in the digital culture and create new media. During the process, basic concepts of community have been overshadowed by interaction, personalization, and use of multimedia. Accordingly, the necessity for redefining the meaning of community has emerged. Chapter 2 describes the process of the audience recognizing community in the diachronic perspectives. It predicts what will be a new model for the Internet audience who is a media creator unlike traditional media consumer and favors personalization. It also divides users into several categories in terms of activeness and offers a new community capable of accommodating them. Chapter 3 analyzes new types of community expected to come according to changes of above-mentioned community and its users. In addition, it addresses the way to induce spontaneity of users necessary for active community, and applications required and the resulting community. Chapter 4 describes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community deemed to be fit to the types discussed in Chapter 3. It introduces the concept of 'graffiti' for secret and free communications among users, giving anonymity to users and discharging them from the responsibility for contents. The cyberspace will be developed to heighten spontaneity of users and create a community where various cultural sources can be mad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 1. 서론 = 1 1.1 연구배경 및 목적 = 1 1.2 연구내용과 방법 = 2 2. 커뮤니티 = 4 2.1 커뮤니티의 개념 = 4 2.2 사이버 커뮤니티의 특성 = 5 2.3 가상 커뮤니티의 유형 = 7 3. 커뮤니티의 발전과정 = 11 3.1 커뮤니티의 생성 = 11 3.2 국내 커뮤니티의 발전 = 12 3.3 커뮤니티 포털 사이트의 대형화 = 13 3.4 커뮤니티의 분산 = 14 3.5 1인 미디어 블로그의 등장 = 16 4. 수용자 = 20 4.1 수용자의 정의 = 20 4.2 수동적 수용자에 대한 이론적 접근 = 20 4.3 능동적 수용자에 대한 이론적 접근 = 22 4.4 이용과 충족 연구 = 24 4.5 신 기능주의적 접근 = 25 4.6 상징적 상호작용 = 26 4.7 수용자 능동성의 기호학적 접근 = 28 5. 수용자에 대한 의식의 변화 = 28 5.1 전통적인 커뮤니케이션 = 29 5.2 미디어 이용자에서 미디어 사용자로 = 30 5.3 미디어 창조자로서의 수용자 = 30 5.4 디지털 미디어 수용자의 특성 = 31 6. 디지털 미디어 수용자의 종류 = 32 6.1 디지털 레밍스(Digital Lemmings) = 33 6.2 코쿤(Cocoon) 혹은 디지털 히키코모리(Digital ひきこもり) = 33 6.3 디지털 폐인(廢人) 혹은 디지털 룸펜(Digital Lumpen) = 34 6.4 디지털 노마드 (Digital Nomad) = 35 6.5 디지털 프로슈머 (Digital Prosumer) = 36 6.6 이랜서(eLancer) = 37 6.7 디지털 유니섹스(Digital Unisex) = 38 7. 가상공간 = 40 7.1 커뮤니티의 근 미래 = 40 7.2 커뮤니티 개발 = 44 8. 제작 = 48 8.1 전체개요 = 48 8.2 주제선정 및 배경 = 49 8.3 이론적 배경 = 53 8.4 커뮤니티 기본 설계 = 55 8.5 시각적 표현 연구 = 57 8.6 인터페이스 = 60 9. 결론 = 74 참고문헌 = 76 Abstract = 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82252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디지털 미디어 수용자의 능동적인 생산성을 위한 커뮤니티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i, 8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정보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4.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정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