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3 Download: 0

고등학교 자연지리교육의 개념학습 방법과 효과에 관한 연구

Title
고등학교 자연지리교육의 개념학습 방법과 효과에 관한 연구
Authors
신화진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지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In this study, I have researched the method of concept learning in geography education. Geography concept is classified with the concrete and abstract concept. Mostly, physical geography concepts are a concrete concept which is defined by observation, and human geography concepts are a abstract concept which is defined by definition. Also, when I have reviewed concept learning models, it is classified with the attribute model based critical attribute and the prototype model based typical example. Then I have developed the model of geography concept learning through using this results. And this model has been applied in physical geography concept and that applied in human geography concept. And then these model has been applied to experiment groups. As result, the prototype model has more effective than the attribute model. So when we teach human geography concepts, it is necessary to use typical examples. Therefore I think that it is important to practise geography teaching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geography concepts.;지리수업활동에서 지리과 개념의 이해는 지리 교육의 출발점이다. 이는 개념이 사고의 기본 단위이기 때문이다. 지리 교과에서 학습하는 개념들은 난이도 면에서 매우 다양한데, 가장 단순한 개념은 직접 관찰이 가능하고 학생들이 실생활 속에서 경험할 수 있는 현상을 표현하는 개념들이다. 반면에 가장 어려운 개념은 추상적인 관례를 표현하는 이른바 '정의된 개념'들이다. 관찰에 의한 개념은 지적 발달의 초기 단계에서 알게 되지만 언어나 기호에 의해 공식적으로 정의된 개념은 학습자가 가설-연역적인 방법으로 추론할 수 있는 지적 발달 단계에 도달해야만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지리 개념의 구체성 정도에 따른 개념학습방법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자연지리를 연구 대상으로 취한 이유는 많은 학생들이 자연지리를 어렵게 느끼기 때문이다. 그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는데, 첫째, 자연지리 개념은 일상성이 부족하다. 교과서에서 다루어지는 자연지리 내용 중 학생들이 직접 삶에서 접할 수 있는 내용은 그리 다양하지 못하다. 둘째로 개념 특성상 다양한 변수들의 복잡한 관계 속에서 새로운 하나의 개념이 설명되어진다는 점이다. 눈에 보이는 구체적인 개념이건 그렇지 않은 추상적인 개념이건 간에, 다른 개념들과의 관계를 알아야 새로운 개념을 설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문헌조사에 의한 이론적 연구 부분과 실험연구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이론적 연구 부분에서는 개념학습의 이론적 배경을 분석하고 자연지리 영역의 개념을 분류한다. 그 결과 지리개념은 구체성 정도에 따라 구체적 개념과 추상적 개념으로 분류될 수 있었다. 자연지리개념은 크게 지형과 기후 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주요 개념을 추출하여 분석해 본 결과 대체로 지형은 구체적 개념이, 기후는 추상적 개념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또한 기존의 개념학습모형을 살펴본 결과, 개념의 결정적 속성을 중심으로 수업을 하는 속성모형과 대표적 사례를 중심으로 하는 원형모형으로 크게 구별되었다. 이러한 두 모형의 특성을 중심으로 하여 지리개념학습모형을 개발하여 각각의 모형별로 수업지도안을 작성하고 각각의 수업에서 이용되는 시각자료도 만들었다. 이렇게 해서 만들어진 개념학습 모형을 토대로, 결정적 속성을 중심으로 한 모형에는 자연지리 중 구체적 개념인 하천지형을, 그리고 대표적인 사례를 중심으로 한 모형에는 추상적 개념인 기후인자를 적용시킬 경우에 학습효과가 클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실험 대상으로는 서울에 위치한 한 인문계 여자 고등학교에서 사전에 치러진 중간고사 결과를 토대로 10학년 중 성적이 가장 비슷한 4반을 선정했다. 사전평가를 통해 실험집단들 간의 이질성이 없음을 확인하고, 각각의 개념수업모형을 하천지형과 기후라는 두 가지 자연지리개념에 각각 투입하고 사후평가를 통해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가설은 부분적으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 개념의 학습에서는 속성모형과 원형모형 모두 큰 차이가 없었으나, 추상적 개념을 학습할 경우에는 원형모형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생들의 인지구조상 관찰이 가능한 구체적 개념의 경우는 속성을 먼저 제시하나 원형을 먼저 제시하나 큰 어려움이 없는데 반해, 다양한 변수들 간의 관계를 통해 복잡하게 정의되어지는 추상적 개념의 경우에는 정의적 속성을 인지하기 전에 원형, 즉 학습자가 경험한 현실 세계의 많은 예들이 학습자의 마음에서 구성된 것을 먼저 학습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눈에 보이지 않는 추상적인 개념은 사례를 먼저 학습함으로서 개개인의 외부세계와 개인 내부를 개념의 원형이 연결시켜 줄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볼 때, 부분적이기는 하지만, 추상적 지리개념을 가르칠 때는 대표적 사례를 중심으로 수업을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실험수업을 함에 있어 몇 가지 제한점이 있었다. 하천지형과 기후라는 단원은 각각이 2차시에 걸쳐 수업이 이루어져야 할 내용임에도 불구하고 실험수업의 시간적 제약이라는 특성상 1차시 분으로 축약해서 지도안을 짜고, 그것을 토대로 수업을 한 결과 너무 많은 분량의 내용을 학생들에게 제시할 수밖에 없었다는 점, 그리고 기존에 개념학습 방법에 익숙하지 않은 학생들이라 사전에 개념학습방법을 적용하여 수업을 했다면 더 정확한 연구가 되었을 것이라는 점이다. 이상과 같은 연구의 결과는 추후의 새로운 연구들에 의해 확인되어야 하겠고,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한 개념학습방법과는 다른 새로운 개념학습방법을 선정하고, 실험대상의 학년 범위를 넓혀 적용하여서 보다 일반화된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어야 하겠다. 또한 개념학습 방법에 있어 더욱 효율적인 세부 절차를 연구하여 각 모형을 적용한 경우의 학습효과를 극대화 시키는 노력도 필요할 것이다. 또한, 개념의 구체성 정도 외에도 개념학습에 영향을 주는 기타의 적성도 선정하여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 이렇게 되면 개념학습을 통한 고차적 인지학습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